본 연구는 장애연구에 있어 영국에서 발전된 사회적 모델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과 미국에서 출발한 자립생활의 이념이 어떻게 다차원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와, 실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7598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연구에 있어 영국에서 발전된 사회적 모델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과 미국에서 출발한 자립생활의 이념이 어떻게 다차원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와, 실제...
본 연구는 장애연구에 있어 영국에서 발전된 사회적 모델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과 미국에서 출발한 자립생활의 이념이 어떻게 다차원적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와, 실제로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차별금지및권리구제에관한법률』의 제정을 이끌어낸 장애운동의 주요 참여자들이 사회적 모델과 자립생활모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향후 양 법의 구체화 과정에서 이 양자가 장애운동에의 어떠한 이념적 지향 틀로 역할할 수 있을 것인지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양 모델을 단순히 소개하는 차원에서 그치고 양자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기존 연구가 전무하다는 현실적 한계와 상기의 두 법률의 제․개정과정에서의 장애운동의 역할을 살펴보면서 생겨난 연구자의 학문적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동 연구는 양 모델의 구체적인 내용을 충분히 고찰한 후 양자간의 관계를 개념적 측면, 이념적 측면, 장애운동적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해 보고, 이러한 양 모델이 한국 장애운동에 갖는 함의를 고찰하기 위해 장애운동 주요참여자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양 모델이 어떻게 이해되고 왔고 장애운동에 적용하려고 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에 대한 자료는 문헌조사, 인터뷰, 포커스그룹에 대한 집단인터뷰를 통해 수집될 것이며 인터뷰의 내용은 질적연구결과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이 탁월한 Atlasti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주제분석기법(Thematic analysis)과 대화분석기법(Conversation analysis)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될 것이다.
이 연구가 갖는 함의는 양 모델간의 다차원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장애운동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정책내용에 따라 어떤 차원에서의 어느 모델의 내용이 이념적 틀로서 제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준거 틀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 장애인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분석 틀을 형성하는데 이념적 준거로서 역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양 모델간의 관계에 대한 끝없는 학문적 의구심을 해소하고 적확한 이해없이 사용되어져 왔던 장애운동의 실천현장이 갖는 이념적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