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지속되어 온 피아노 교수학 관련 연구들의 연구유형과 주제들을 파악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을 밝히고 미래의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가 나아가야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23312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3-262(2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지속되어 온 피아노 교수학 관련 연구들의 연구유형과 주제들을 파악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을 밝히고 미래의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가 나아가야할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지속되어 온 피아노 교수학 관련 연구들의 연구유형과 주제들을 파악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을 밝히고 미래의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출간되는 대부분의 논문이 포함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논문 검색엔진인 RISS(www.riss.kr)를 통해, 그동안 한국에서 출간되어온 피아노교수법 관련 논문들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는 한국 피아노교수법 학회의 발전과 맥을 함께하고 있었으며, 5시기로 구분된 피아노교수법학회의 역사적 흐름과 정확히 일치하는 발전 양상을 보였다. 둘째, 피아노 교수법 학회지인 ‘음악교수법연구’가 전체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논문의 73%(n=112)를 포함하고 있어, 피아노 교수법 연구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아노교수법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 62.7%(n=96)가 대학생(전문가) 및 초등학생에 집중되어 있고, 유아, 성인, 특수계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어 연구대상의 쏠림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76%(n=117)의 논문이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양적연구는 11%(n=18)에 그쳐,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연구방법론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thodological trend of piano pedagogy research in Korea and provide suggestions to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piano pedagog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RISS (www.riss.k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thodological trend of piano pedagogy research in Korea and provide suggestions to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piano pedagog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RISS (www.riss.kr), the web search-engine regulated by Korean government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Korean piano pedagogy research was the same as thos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iano Pedagogy(KAPP). Secondly, the ‘Research in Music Pedagogy(RMP)’, a main journal of KAPP, was the most important journal contributing studies of Korean piano pedagogy in that 73% of piano pedagogical studies in Korea was published in RMP. Thirdly, research subjects in Korean piano pedagogy focused on college and elementary students while toddlers, adults, and special needs were very limited. Lastly, majority of Korean piano pedagogy studies were review articles(76%). Thus, studies in Korean piano pedagogy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es and subjects.
참고문헌 (Reference)
1 RISS,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
2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피아노교수법학회 연역"
3 최진호,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연주경험과의 관계"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169-190, 2011
4 박지영, "피아노 교육의 문제 및 개선방안: 피아노교수법 학회와 피아노학원 연합회를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7) : 87-105, 2016
5 최진호, "피아노 교수학 전공 선택요인 분석과 졸업 후 진로 조사" 한국음악교육학회 37 : 215-244, 2009
6 정완규, "피아노 교수법의 활성화를 위한 고찰" 4 : 19-48, 2005
7 김석기, "최근 신생아수 감소추이와 그 시사점" 26 (26): 10-11, 2017
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II" 아카데미프레스 2010
9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2) : 205-220, 2011
10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1 RISS,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
2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피아노교수법학회 연역"
3 최진호,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주불안과 연주경험과의 관계"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169-190, 2011
4 박지영, "피아노 교육의 문제 및 개선방안: 피아노교수법 학회와 피아노학원 연합회를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7) : 87-105, 2016
5 최진호, "피아노 교수학 전공 선택요인 분석과 졸업 후 진로 조사" 한국음악교육학회 37 : 215-244, 2009
6 정완규, "피아노 교수법의 활성화를 위한 고찰" 4 : 19-48, 2005
7 김석기, "최근 신생아수 감소추이와 그 시사점" 26 (26): 10-11, 2017
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II" 아카데미프레스 2010
9 최진호,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2) : 205-220, 2011
10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11 박유미, "쇼팽 발라드 No. 4, Op. 52의 구조적 내러티브"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16) : 29-52, 2015
12 최재원, "록버그의 <나흐 바하>와 <파르티타 변주곡> 연구: 바로크 어법의 차용과 재창조"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16) : 205-231, 2015
13 배수영, "대학 피아노 전공 실기 지도교수들의 연습전략 지도방법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5 (45): 93-113, 2016
14 성태제, "교육연구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3
15 Montandon, M. I., "Trends in piano pedagogy as reflected by th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conference on piano pedagogy (1981-1995)" University of Oklahoma 1998
16 Uszler, M, "The piano pedagogy major in the college curriculum: The undergraduate piano pedagogy major" 1984
17 Fraenkel, J. R.,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ucation" McGraw-Hill 2003
18 Crowder, J., "Handbook for teaching piano classes" MENC 1952
19 Mehr, N., "Group piano teaching" Summy-Birchard 1965
현 클래식 음악 시장 정체의 원인 고찰을 통한 음악교육의 방향 제시 -역사ㆍ사회ㆍ철학적 배경들을 바탕으로-
윌리엄 길록(William Gillock)의 피아노곡집 <리듬과 양식: 바로크, 고전, 낭만, 그리고 근대 양식>의 중급 보충교재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