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주도 경제개발정책의 연속과 단절: 경제엘리트의 경험을 중심으로 =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Government-Initiat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Experience of Economic Eli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3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examines the experience of economic elites in the government-initiat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in order to determine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initiat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in the developmental pe...

       This essay examines the experience of economic elites in the government-initiat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in order to determine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initiat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in the developmental period compared to the period at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Above all, many of the Ministers and the vice-Ministers of economic planning board have experienced imperialism through education or bureaucratic experience under Japanese rule, but few participated in the planned economic policy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y came to realize the urgent need of modernization through their study or training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lso, the actual leaders who created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did not have social experience under the Japanese government, but instead had experienced American-style modernization while taking undergraduate or graduate courses in Korea or the United States. In this respect, it may be safe to say that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discontinuity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under Japanese rule and that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개발연대의 국가 주도 경제개발과 일제 말기의 경제개발 방식 사이의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경제엘리트의 경험을 분석해 보았다. 첫째, 경제기획 부처 장차관은 일제시대에 교육이...

      개발연대의 국가 주도 경제개발과 일제 말기의 경제개발 방식 사이의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경제엘리트의 경험을 분석해 보았다. 첫째, 경제기획 부처 장차관은 일제시대에 교육이나 관료생활을 통해 식민지를 경험한 사람이 다수 있지만 일제 말기의 계획경제정책에 직접 참여한 사람이 없었고, 광복 이후 미국 유학 또는 연수를 통해 근대화의 필요성을 급속히 인식하게 된다. 둘째, 경제개발계획을 작성한 실무주역들은 일제시대에 사회경험이 거의 없고, 국내 또는 미국에서 대학, 대학원을 이수하며 미국식 근대화 방식을 체험하게 된다. 따라서 일제시대와 광복 이후의 경제개발 사이에는 단절성이 강하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혁명은 어디로 갔나」 인물연구소." 1987

      2 "해방 직후 일본인 잔류자들: 식민지배의 연속과 단절" 64 : 129-149, 2003

      3 "해방 전후 경제계획론의 수렴과 전쟁 후 남북에서의 적대적 분화" 17 : 241-273, 2004

      4 "한국의 내포적 공업화전략의 좌절 16군사정부의 국가자율성의 구조적 한계」" 1992

      5 "한국의 경제관료」" . 경제기획원. 신성순 외. 「 25-, 1979

      6 "한국에서 ‘국가주도적’ 자본주의 발전방식의 형성 과정」" 1993

      7 "한국에 있어서의 경제발전과 근대사연구" 126-136, 1995

      8 "한국사에 있어서 근대로의 이행과 특질" 71-97, 1996

      9 "한국기업 성장 50년의 재조명" 500 : 1-29, 2005

      10 "한국경제학교육사연구」 한국연구원." 1982

      1 "혁명은 어디로 갔나」 인물연구소." 1987

      2 "해방 직후 일본인 잔류자들: 식민지배의 연속과 단절" 64 : 129-149, 2003

      3 "해방 전후 경제계획론의 수렴과 전쟁 후 남북에서의 적대적 분화" 17 : 241-273, 2004

      4 "한국의 내포적 공업화전략의 좌절 16군사정부의 국가자율성의 구조적 한계」" 1992

      5 "한국의 경제관료」" . 경제기획원. 신성순 외. 「 25-, 1979

      6 "한국에서 ‘국가주도적’ 자본주의 발전방식의 형성 과정」" 1993

      7 "한국에 있어서의 경제발전과 근대사연구" 126-136, 1995

      8 "한국사에 있어서 근대로의 이행과 특질" 71-97, 1996

      9 "한국기업 성장 50년의 재조명" 500 : 1-29, 2005

      10 "한국경제학교육사연구」 한국연구원." 1982

      11 "한국경제성장의 장기추세(1910~현재): 경제성장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5-30, 1995

      12 "한국경제성장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13 중앙일보, "중앙일보(www.joins.com) 인물정보(검색일: 2006.5. 25.)" 중앙일보 2006

      14 "제국 건설의 행정 직제와 직무 지침서: 주례" 서울: 자유문고 2002

      15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작성과 미국의 역할, 1960~1965" 서울: 백산서당 11-157, 1999

      16 "전환시대의 행정가" 나남출판. 1994

      17 "재정금융의 회고" 1958

      18 "임종국 저/반민족문제연구소 편." 1994

      19 "일제하 한국경제" 서울: 해남 2003

      20 동아일보, "인물정보 www.donga.com 검색일: 2006. 5. 10" 동아일보 2006

      21 "역대정권 고위직 행정엘리트 연구" 박영사. 19941948-1993

      22 "실록 군인 박정희" 서울: 개마고원 2004

      23 "식민지체제와 근대적 규율" 서울: 문화과학사 13-29, 2003

      24 "식민지 사회론의 제문제. 「" 68-113, 1994

      25 "사회변동과 행정」" 박영사. 1968

      26 "비사 경제기획원 33년: 영욕의 한국경제"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1999

      27 "부흥과 성장」" 21세기북스. 1994

      28 법제처 종합법령정보센터, "법제처 종합법령정보센터(www.klaw.go.kr)(검색일: 2006. 4. 6.)" 법제처 종합법령정보센터 2006

      29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서울: 동서문화사 2006

      30 "미군정기의 경제구조 귀속기업체의 처리와 노동자 자주관리운동을 중심으로」" 1990

      31 "미국의 제3세계정책과 1960년대 한국사회의 근대화" 서울: 선인 21-57, 2004

      32 "대한민국관료연구: Ⅰ・Ⅱ・Ⅲ" 서울: 연세대 사회과학연구소 1996

      33 "대통령의 경제적 리더십 노태우 정부의 경제정책관리」" 한국경제신문사. 1994

      34 "다시찾는 우리역사" 서울: 경세원 2002

      35 "그 몰역사성의 성격. 한길사. 「 한국사회연구」" 87-107, 1983

      36 "국가와 혁명과 나」" 1963

      37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68

      38 "경제근대화의 숨은 이야기" 서울: 보이스사 1999

      39 "개발 없는 개발: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 서울: 은행나무 2005

      40 "朝鮮工業化の史的分析" 서울: 전통과 현대 1995

      41 "工業化政策の展開における韓日比較の視點」" 1980

      42 "Total War,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Change in Late Colonial Korea"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9, 19961931-1945

      43 "The Politics of Change. Asian Survey" scalapi : 31-40, 1963?

      44 "The Interplay of Politics and Economics. Cambridge" David C. and Princeton N. Lyma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45 "Political Power and Policy Design. In Merilee S. Grindle . Politics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the Third World" 281-303.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0

      46 "Modernity and Revolution. A Zone of Engagement . 근대성과 혁명. 「" 336-371, 19921993

      47 "Financial Systems and the Politics of Industrial Change.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48 "Diffusion of Innovations. 4th(ed.)" New York: The Free Press 1995

      49 "Big Business, Strong State: Collusion and Conflict in South Korean Development, 1960-1990"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50 "8・15 직후 신국가 건설을 위한 정책대안의 성격과 특징: 경제정책을 중심으로" 515-550, 2000b

      51 "85년판 한국의 50대재벌」 경영능률연구소 출판부." 1985

      52 "1956~1964년 한국 경제개발계획의 성립과정: 경제개발론의 확산과 미국의 대한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00a

      53 "1950년대 미국의 교육원조와 친미 엘리트의 형성" 서울: 역사비평사 128-185, 1998

      54 "1950년대 경제개발론 연구" 61 : 219-249, 2002

      55 ". 해방후 귀속사업체의 실태와 그 처리과정. 안병직・ 근대조선의 경제구조」" 비봉출판사. 472-, 1989

      56 ". 한국장기개발계획의 내막. 「" 100-120, 1966・

      57 ". 한국의 재벌 경제에리뜨의 사회적 배경 계층적 상황과 그 영향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206-232, 1975

      58 ". 한국기업인의 의식구조 경제엘리뜨의 행태와 정치발전의 방향전망. 한국정치학회. 「" 1979191-219.

      59 ". 한국기업가사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 일제하의 민족생활사」" 3-, 1982

      60 ". 한국 행정부의 고급관리자의 자격조사. 「" 65-93, 1968

      61 ". 한국 경제엘리뜨의 자본형성에 관한 분석 1953-1960년을 중심으로. 「" 179-194, 1981

      62 ". 우리나라 경제개발계획의 비교고찰 수립과정과 주체 목표와 수단등을 중심으로. 「" 1-20, 1982

      63 ". 부흥부! 한국경제의 초석은 그때 놓여졌다. 「" 16-21, 1989・

      64 ". 독립후의 한국교육재건과 미국의 교육원조. 阿部洋 편. 「 해방후 한국의 교육개혁」 한국연구원." 167-, 1987

      65 ". 기획원 30년의 영광의 발자취. 「" 81-98, 1992・

      66 ". 경제관료와 정치적 리더쉽 경제제일주의에 대한 반성을 중심으로. 「" 51-69, 1972

      67 ". 경제계획의 주역들 그 뒷이야기를 이제야 밝힌다. 「" 71-78, 1987・

      68 ". 韓國社會 그 非理와 弊習 연줄과 편가름病. 8월27일" 3-, 1980

      69 ". 經濟安定 第一主義를 指向. 8월14일" 동아일보」 1-, 1960a

      70 ". The employees of Japanese banks in colonial Korea. Harvard University Ph. D. Thesis" 19791986

      71 ". The Military in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New Nations An Essay in Comparative Analysis. Chicago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ja (ja): 1964

      72 ". South Korea's Search for Leadership. Pacific Affairs" 20-36, 1964

      73 ". Offspring of Empire The Koch’ang Kims and the Colonial Origins of Korean Capitalism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1

      74 ". Economic Planning in Korea. Asian Survey" 22-28, 1962?

      75 ". EPB는 이렇게 태어났다. 「" 14-23, 1989・

      76 ". E.D.C.-초창기의 경제개발계획의 산실. 「" 29-30, 1987・

      77 ". Asia's Next Giant"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78 ". 5개년경제계획의 성격과 문제점. 「" 134-143, 19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