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도서관 이용에 대한 플로우 경험과 만족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y U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8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of school libraries suggest that school library should be run to give useful and pleasant experiences to students. This study applies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their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ies use. The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are students' satisfaction, flow experience, library skill, challenge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The research model is designed by using these 6 variables in this study.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93 students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ntire casual relationships show that library skills influence in types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ffect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influence in satisfaction through flow.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y use,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ways related to teacher librarians' role performances to expand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increase their library skills.
      번역하기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of school libraries suggest that school library should be run to give useful and pleasant experiences to students. This study applies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l...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of school libraries suggest that school library should be run to give useful and pleasant experiences to students. This study applies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their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ies use. The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are students' satisfaction, flow experience, library skill, challenge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The research model is designed by using these 6 variables in this study.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93 students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ntire casual relationships show that library skills influence in types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ffect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influence in satisfaction through flow.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y use,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ways related to teacher librarians' role performances to expand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increase their library skil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 한국도서관협회 2013

      2 김병철, "플로우(Flow) 경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사연구학회 3 (3): 2002

      3 윤설민, "플로우 경험의 구성요소,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적 관계 - 템플스테이 방문객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6 (26): 227-246, 2012

      4 장필식, "컴퓨터 이러닝에서 학습만족도와 자기주도성, 플로우(Flow)경험 간의 관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7 (17): 69-77, 2012

      5 이병기, "초·중등 학생의 독서 플로우 성향과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1 (41): 51-72, 2010

      6 손준상, "인터넷게임에서 감정반응이 플로우(flow)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1 (11): 1-19, 2006

      7 유상진, "모바일 인터넷 특성이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8 (8): 125-139, 2006

      8 이병기,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독서 플로우의 유형 분류와 검사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29-49, 2011

      9 Csikszentmihalyi, M., "“The measurement of flow in everyday life: Toward a theory of emergent motivation,”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Th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3

      10 Csikszentmihalyi, M, "eyond boredom and anxiety: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1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 한국도서관협회 2013

      2 김병철, "플로우(Flow) 경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사연구학회 3 (3): 2002

      3 윤설민, "플로우 경험의 구성요소,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적 관계 - 템플스테이 방문객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6 (26): 227-246, 2012

      4 장필식, "컴퓨터 이러닝에서 학습만족도와 자기주도성, 플로우(Flow)경험 간의 관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7 (17): 69-77, 2012

      5 이병기, "초·중등 학생의 독서 플로우 성향과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1 (41): 51-72, 2010

      6 손준상, "인터넷게임에서 감정반응이 플로우(flow)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1 (11): 1-19, 2006

      7 유상진, "모바일 인터넷 특성이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8 (8): 125-139, 2006

      8 이병기,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독서 플로우의 유형 분류와 검사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29-49, 2011

      9 Csikszentmihalyi, M., "“The measurement of flow in everyday life: Toward a theory of emergent motivation,”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Th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3

      10 Csikszentmihalyi, M, "eyond boredom and anxiety: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11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12 Csikszentmihalyi, M, "The Evolving Self: A Psychology for the Third Millennium" HarperCollins 1993

      13 Csikszentmihalyi, M, "Play and Intrinsic Rewards" 15 (15): 41-63, 1975

      14 Csikszentmihalyi, M.,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15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and Row 1990

      16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Basic Books 1997

      17 AASL, "Empowering learners: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AASL 2009

      18 김계수,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