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Curriculum Applic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8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raise the higher professional staffs that can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globalization and local industry demand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to accept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conducted with the measur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by pre/post, 3 dignosis test. As a result, There were improvements in Educational Performance. Based upon Educational performance and analysis, several new directions for NCS education in the filed of LIS curriculum are suggested. We hope from this study that an application of NCS would be activated fully in Library,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and that diverse feedbacks from related parties would make a lead to a better updated version of NCS development in libra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raise the higher professional staffs that can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globalization and local industry demands and to improve the qu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raise the higher professional staffs that can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globalization and local industry demand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to accept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conducted with the measur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by pre/post, 3 dignosis test. As a result, There were improvements in Educational Performance. Based upon Educational performance and analysis, several new directions for NCS education in the filed of LIS curriculum are suggested. We hope from this study that an application of NCS would be activated fully in Library,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and that diverse feedbacks from related parties would make a lead to a better updated version of NCS development in libr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연,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22-46, 2013

      2 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6 (46): 55-82, 2012

      3 노영희,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5-29, 2011

      4 한주리, "출판학과의 커리큘럼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의 비교 및 출판종사자의 업무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37 (37): 123-155, 2011

      5 국립중앙도서관,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사서제도 개발 연구.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07

      6 변경숙, "조리 관련학과 교과과정 개설현황 및 외식호텔조리산업계열 2012 교육과정 개발"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271-296, 2012

      7 안인자,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 48 (48): 27-52, 2014

      8 김종성,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17 (17): 135-159, 2006

      9 이재원, "반도체 산업의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훈련수요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178-5187, 2011

      10 고용노동부, "문헌정보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 패키지"

      1 김동연,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22-46, 2013

      2 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6 (46): 55-82, 2012

      3 노영희,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5-29, 2011

      4 한주리, "출판학과의 커리큘럼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의 비교 및 출판종사자의 업무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37 (37): 123-155, 2011

      5 국립중앙도서관,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사서제도 개발 연구.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07

      6 변경숙, "조리 관련학과 교과과정 개설현황 및 외식호텔조리산업계열 2012 교육과정 개발"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271-296, 2012

      7 안인자,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 48 (48): 27-52, 2014

      8 김종성,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17 (17): 135-159, 2006

      9 이재원, "반도체 산업의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훈련수요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178-5187, 2011

      10 고용노동부, "문헌정보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 패키지"

      11 백종면,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촉진 방안 연구" 45-62, 2012

      12 장봉기,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기술분야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420-5429, 2011

      13 백정희,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조경분야 자격종목 재설계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 40 (40): 129-139, 2012

      14 최영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응하는 전문대학 건축과의 산업체 맞춤형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5 (15): 1-8, 2013

      15 김기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사례조사" 직무능력표준원 2014

      16 주인중,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사업의 현안 및 정책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17 정향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따른 실행과제 및 추진전략" 16 (16): 7-24, 2013

      18 양혜련,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기법을 활용한 S여대 비서과의 교육과정 개발" 22 : 62-95, 2013

      19 김영규, "관광분야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81-95, 2015

      20 교육과학기술부,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개발, 운영 및 평가, 질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5

      21 고용노동부, "NCS 개발 가이드북"

      22 Bloom, Benjamin. S, "Learning for mastery" 1976

      23 Bloom, Benjamin. S, "Learning for Mastery. Instruction and Curriculum. Regional Education Laboratory for the Carolinas and Virginia" 1 (1): 1968

      24 Bishop, Bradley Wade, "Job Analyses of Emerging Information Professions: A Survey Validation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s Map and Geospatial Information Round Table (MAGIRT)Core Competencies to Inform Geographic Information Librarianship (GIL)Curriculum" 85 (85): 64-84, 2015

      25 Coleman, James. S,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26 Dewald, Nancy H.,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grams: A Library Perspective" 151-162, 2015

      27 Bronstein, Jenny, "An Explora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 Skills and Personal Competencies: An Israeli Perspective" 37 (37): 130-138, 2015

      28 고용노동부, "2015 NCS 기반 능력 중심 채용 가이드북"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