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모션그래픽의 학문적 기초연구(과학적 접근 방법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0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모션그래픽 관련 학문의 이론 기초조사와 함께 연구사례를 통한 독립된 모션그래픽 이론정립과 함께 모션그래픽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모션그래픽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었다.
      1차년도 연구는 모션그래픽 조형요소의 개별연구와 특히 영상에서 중요한 움직임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를 모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영상에서의 중요한 움직임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영화와 영상미학의 이론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카메라의 움직임이 아닌 그래픽 이미지의 움직임도 움직임 자체만으로 다양한 이야기로 해석이 달라지기 때문에 영화에서의 카메라 움직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참고하여 영화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성을 갖는 애니메이션, TV광고, 뮤직비디오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모션그래픽 분야에서도 내러티브의 구조를 더욱 탄탄히 할 수 있는 소통하는 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이론은 모션그래픽의 조형 요소인 이미지에 대한 개별연구로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형, 크기, 컬러에 따라 달라지는 시지각 반응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이미지의 형과 크기, 컬러가 시지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배경을 증명하며 시지각 반응을 관찰하고 측정하여 분석하는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과학적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에서는 이미지 요소 중 더 많은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1차년도의 마지막 연구는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에 따른 표현 분석으로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를 형태적 측면과 커뮤니케이션 측면으로 분류하고 형태적 측면에는 그래픽, 움직임, 사운드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는 기호와 내러티브로 세분화 하였다. 분석방법은 소쉬르의 기호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는 형태적 측면의 그래픽, 움직임, 사운드의 요소들이 커뮤니케이션 측면인 기호와 결합하여 매체 특성에 맞는 내러티브를 더욱 강화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들을 매체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활용한다면 영상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시청자나 관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뿐 아니라 정보와 감성을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도 큰 효과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1차년도 연구를 다시 정리하면 먼저 영상미학을 바탕으로한 움직임에 대한 연구와 함께 시지각 이론을 통한 이미지의 형, 크기 컬러의 개별 연구, 그리고 현재 모션그래픽의 사례를 기호학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요소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모션그래픽 관련 학문의 이론 기초조사와 함께 연구사례를 통한 독립된 모션그래픽 이론정립과 함께 모션그래픽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모션그래픽의 커뮤니케이션 효...

      본 연구의 목적은 모션그래픽 관련 학문의 이론 기초조사와 함께 연구사례를 통한 독립된 모션그래픽 이론정립과 함께 모션그래픽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모션그래픽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었다.
      1차년도 연구는 모션그래픽 조형요소의 개별연구와 특히 영상에서 중요한 움직임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를 모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영상에서의 중요한 움직임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고, 영화와 영상미학의 이론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카메라의 움직임이 아닌 그래픽 이미지의 움직임도 움직임 자체만으로 다양한 이야기로 해석이 달라지기 때문에 영화에서의 카메라 움직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참고하여 영화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성을 갖는 애니메이션, TV광고, 뮤직비디오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모션그래픽 분야에서도 내러티브의 구조를 더욱 탄탄히 할 수 있는 소통하는 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이론은 모션그래픽의 조형 요소인 이미지에 대한 개별연구로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형, 크기, 컬러에 따라 달라지는 시지각 반응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이미지의 형과 크기, 컬러가 시지각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배경을 증명하며 시지각 반응을 관찰하고 측정하여 분석하는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과학적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에서는 이미지 요소 중 더 많은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1차년도의 마지막 연구는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에 따른 표현 분석으로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를 형태적 측면과 커뮤니케이션 측면으로 분류하고 형태적 측면에는 그래픽, 움직임, 사운드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는 기호와 내러티브로 세분화 하였다. 분석방법은 소쉬르의 기호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는 형태적 측면의 그래픽, 움직임, 사운드의 요소들이 커뮤니케이션 측면인 기호와 결합하여 매체 특성에 맞는 내러티브를 더욱 강화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들을 매체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활용한다면 영상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시청자나 관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뿐 아니라 정보와 감성을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도 큰 효과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1차년도 연구를 다시 정리하면 먼저 영상미학을 바탕으로한 움직임에 대한 연구와 함께 시지각 이론을 통한 이미지의 형, 크기 컬러의 개별 연구, 그리고 현재 모션그래픽의 사례를 기호학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요소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상호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ctual case of motion graphic along with establishing independent motion graphic theory through a research case together with basic survey of theory on learning related to motion graphic, and to verify communication effects of motion graphic through scientific method.
      The primary-year research sought a systematic research on important motion especially in image in addition to an individual research on formative element of motion graphic. For this study, a research was begun on important motion in image. A theory of movie and applied media aesthetics was intensively analyzed. Even motion in graphic image, not camera motion, can be varied analysis as diverse stories just with motion itself. Thus, it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available for making narrative structure firmer even in motion graphic field, which can be utilized as animation, TV advertising, and music video of having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s well as movie, by referr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camera motion in a movie.
      As the secondary theory is individual research on image, which is formative element of motion graphic, it discussed about visual perception response, which is varied according to shape, size and color of image b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ctual case of motion graphic along with establishing independent motion graphic theory through a research case together with basic survey of theory on learning related to motion graphic, and to verify commun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ctual case of motion graphic along with establishing independent motion graphic theory through a research case together with basic survey of theory on learning related to motion graphic, and to verify communication effects of motion graphic through scientific method.
      The primary-year research sought a systematic research on important motion especially in image in addition to an individual research on formative element of motion graphic. For this study, a research was begun on important motion in image. A theory of movie and applied media aesthetics was intensively analyzed. Even motion in graphic image, not camera motion, can be varied analysis as diverse stories just with motion itself. Thus, it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available for making narrative structure firmer even in motion graphic field, which can be utilized as animation, TV advertising, and music video of having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s well as movie, by referr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camera motion in a movie.
      As the secondary theory is individual research on image, which is formative element of motion graphic, it discussed about visual perception response, which is varied according to shape, size and color of image b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