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 중심의 교육에서 학생은 교육 소비자로서 소비자 주권을 행사하며, 시장의 원리를 대학에 적용시키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학습자 중심의 이념은 대학의 교과과정 역시 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5080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서 학생은 교육 소비자로서 소비자 주권을 행사하며, 시장의 원리를 대학에 적용시키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학습자 중심의 이념은 대학의 교과과정 역시 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서 학생은 교육 소비자로서 소비자 주권을 행사하며, 시장의 원리를 대학에 적용시키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학습자 중심의 이념은 대학의 교과과정 역시 서비스 교육시대에 맞게 탈바꿈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소비자인 학생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모델의 교육상품이 나와야 한다. 이는 시장 경제가 소품종 다량 생산에서 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변해 가는 추세를 교육의 영역에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는 대전제와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양 교육과정을 연구 개발함으로써, 그 연구 성과를 대학교육 발전 특히 기초 교육 분야의 개선에 실질적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목표로 추진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머리말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Ⅱ.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 강화 1. 발전목표 2. 교육시스템 개선 Ⅲ. 신규교과과정 및 교과목 개발 1. 학생 중심의 참여형 ...
Ⅰ. 머리말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Ⅱ.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 강화
1. 발전목표
2. 교육시스템 개선
Ⅲ. 신규교과과정 및 교과목 개발
1. 학생 중심의 참여형 수업 개발
2.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수준별 교육 확대
3. 보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Ⅳ. 교양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법의 개발
1. 왜 새로운 교수법인가?
2. 교수법 유형
3. 교수법의 실태와 문제점
4. 교수법 개선을 위한 연구 및 개발
5. 효과적인 교수법 방안
6. 담임교수와 학습도우미(Peering Tutoring)를 통한 학습지원
Ⅴ. 영역별 교양교육의 과제와 개선방안
1. 2002년 교양교육체제(현행 교양체제)
2. 영역별 과제와 개선방안
Ⅵ. 요약과 결론 -교육현장에의 활용 실적 및 계획-
<참고문헌>
<별첨 1>
<별첨 2>
<별첨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