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도시화에 선진국 도약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성장 속에서 양적성장을 이루었을 뿐 도시경관과 디자인 품격 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86770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9-60(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도시화에 선진국 도약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성장 속에서 양적성장을 이루었을 뿐 도시경관과 디자인 품격 형...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도시화에 선진국 도약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성장 속에서 양적성장을 이루었을 뿐 도시경관과 디자인 품격 형성 측면에서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부족함이 있다. 공공사업의 질적 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좋은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이 물색·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국내·외공공사업과 관련된 평가시스템들을 분석하여 어떠한 변화와 가치를 생성하였는지 비교함으로써 국내 공공사업 제도의 개선을위한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국내·외 공공사업 디자인 품질관리시스템 유사 사례를 조사한 후 비교·분석하여 장단점을 도출, 공공사업 디자인 품질관리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공공건축의 기획에서설계, 시공 등 전 과정에 걸쳐 디자인 품질관리시스템을 적용·운영 중인 영국의 품질관리시스템과 시스템이 반영된 사례를 분석하여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품질관리시스템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둘째, 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국내·외 품질관리시스템 사례를 통해 정책 방향 및 운영방식에 대해 비교·분석하여 품질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경제발전과 함께 공공사업에 대한 기대와 질적인 요구사항이 늘어나는 변화의 과정에 놓여 있다. 주 사용자들의 요구사항들이 전문가들에게 그들의 의견이 전달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며, 공공기관은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검토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공공사업의 가치와 효과적인 조성 방안을 위하여 품질관리시스템의 개발은 필요하며 단계 및 사용자별 필요에 따른 기존의 지침과 제도들을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조성 전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품질관리시스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공공사업 디자인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공공사업 디자인에 관한 시민들의 인식 수준도 높아졌으며 공공사업 디자인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공공사업의 특성과 결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지표와 사용자와 전문가들의 참여가 어려운 상황이다. 공공사업으로서 공공성, 사용성, 기능성 등 공공사업의 가치에 대한 시민의식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관계자들의 의견 수렴을 반영할 수 있는 체계와 단계별 디자인 기대 수준을 정량화하여 검토할 수 있는 지표 마련이 필요하며, 공공사업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한 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충훈, "충청남도 통합디자인을 위한 사전진단지표구축 시스템 개발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2014
2 김정후, "영국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시사점" 2008
3 정수진, "수원시 공공사업 디자인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 수원시정연구원 2014
4 이상규, "공공디자인의 범주와 유형분석을 통한 공간적 적용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1 (21): 579-584, 2012
5 최인규, "공공디자인 행정업무 안내서" 문화체육관광부‧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20
6 장영호, "공공디자인 표준 과업 제안요청서(RFP)개발" 문화체육관광부‧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21
7 육근형 ; 장영호, "공공디자인 사업의 발주절차 개선방안 기초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267-276, 2022
8 김상호, "공공건축의 디자인품질 향상을 위한 디자인품질지표 개발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0
9 기정훈, "경기도 공공디자인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진단지표" 경기도 디자인총괄추진단 2012
10 Um, Woonjin, "DQI's Application, Policy and Possibilities in Korea"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AURI) 2010
1 이충훈, "충청남도 통합디자인을 위한 사전진단지표구축 시스템 개발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2014
2 김정후, "영국의 공공디자인 정책과 시사점" 2008
3 정수진, "수원시 공공사업 디자인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 수원시정연구원 2014
4 이상규, "공공디자인의 범주와 유형분석을 통한 공간적 적용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1 (21): 579-584, 2012
5 최인규, "공공디자인 행정업무 안내서" 문화체육관광부‧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20
6 장영호, "공공디자인 표준 과업 제안요청서(RFP)개발" 문화체육관광부‧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21
7 육근형 ; 장영호, "공공디자인 사업의 발주절차 개선방안 기초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267-276, 2022
8 김상호, "공공건축의 디자인품질 향상을 위한 디자인품질지표 개발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0
9 기정훈, "경기도 공공디자인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진단지표" 경기도 디자인총괄추진단 2012
10 Um, Woonjin, "DQI's Application, Policy and Possibilities in Korea"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AURI) 2010
11 CABE, "By Design-Urban Design in the Planning System : Towards Better Practice" CABE and DETR 2000
12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Better Public Buildings: A proud legarcy for the future"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000
13 Kim, Sangho, "A Study on the Design Quality of Public Buildings with Indicator Management system"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AURI) 2010
14 Kim, Bumsik, "A Study on Design Quality Indicators for Public Design" Chung-Ang University 2009
15 문화체육관광부, "2020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연구용역" 2021
A Study on Color Image through Color Psychological Analysis of Playing Space in Kids Cafe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Considering Local Identity
포스트-휴먼 시대에서 예술 프로젝트의 사회적 가치 탐색
소셜 미디어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라이프스타일 호텔 공간 선호 요인에 관한 연구 - 2021년 이후 성수기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