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대학 강의실 수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H형 블렌디드 이러닝 적용 효과 분석 =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 ction : Investigation of H model blended e-learning technique in enhanced effectiveness of class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724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블렌디드 이러닝이 대학의 강의실 위주의 수업에서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블렌디드 이러닝 운영방식으로 CbE(Class based E-learning)와 EbC(E-learning based Class) 방식을 도출하고, 수업구조로 Z형(Zigzag model)과 H형(Ladder model)을 정의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대학의 “엑셀실무” 과목에 CbE 방식의 H형 블렌디드 이러닝을 운영하였다. 집단은 사이버강의 학습참여비율의 50%이상인 집단(그룹 1)과 그렇지 않은 집단(그룹 2)으로 나누고, 자료의 분석은 -검정,-검정으로 학업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사이버강의 학습참여비율과 합격여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그룹 1이 학업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 사이버강의 학습참여비율은 합격여부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규명됨에 따라, 블렌디드 이러닝의 효과성이 확증되었다. 연구 결과, H형 블렌디드 이러닝은 강의실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여 학업 성취도와 학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습자가 블렌디드 이러닝 수업 방식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성공적으로 블렌디드 이러닝을 운영하기 위한 전략과 대학에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블렌디드 이러닝이 대학의 강의실 위주의 수업에서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블렌디드 이러닝 운영방식으로 CbE(Class based E-...

      본 연구는 블렌디드 이러닝이 대학의 강의실 위주의 수업에서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블렌디드 이러닝 운영방식으로 CbE(Class based E-learning)와 EbC(E-learning based Class) 방식을 도출하고, 수업구조로 Z형(Zigzag model)과 H형(Ladder model)을 정의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대학의 “엑셀실무” 과목에 CbE 방식의 H형 블렌디드 이러닝을 운영하였다. 집단은 사이버강의 학습참여비율의 50%이상인 집단(그룹 1)과 그렇지 않은 집단(그룹 2)으로 나누고, 자료의 분석은 -검정,-검정으로 학업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사이버강의 학습참여비율과 합격여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그룹 1이 학업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 사이버강의 학습참여비율은 합격여부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규명됨에 따라, 블렌디드 이러닝의 효과성이 확증되었다. 연구 결과, H형 블렌디드 이러닝은 강의실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여 학업 성취도와 학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학습자가 블렌디드 이러닝 수업 방식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성공적으로 블렌디드 이러닝을 운영하기 위한 전략과 대학에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at the blended e-learning c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ecture performed in classroom. At first, both the CbE(Class based E-learning) and the EbC(E-learning based Class) mode have been generated in blended e-learning operation method following the process which analyze the various studies of interest. In addition, the instruction structures of Z Type(Zigzag model) and H-Type(Ladder model) were established as proposed model. The H-Blended e-learning based on CbE mode was introduced in the Excel Spread Sheet subject which held in A Universit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Learners were categorized and belonged to either the group 1(over 50% of attendance in cyber lecture) or the group 2(the rest of them).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est,-test to compare the achievement of study between groups.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learning with group 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e learner in group 2. The effectiveness of the blended e-learning has been proved a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the attendance in the cyber lecture functioned as indicator that enable to predict the acceptance.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at the blended e-learning c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ecture performed in classroom. At first, both the CbE(Class based E-learning) and the EbC(E-learning based Class) mode have be...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at the blended e-learning c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ecture performed in classroom. At first, both the CbE(Class based E-learning) and the EbC(E-learning based Class) mode have been generated in blended e-learning operation method following the process which analyze the various studies of interest. In addition, the instruction structures of Z Type(Zigzag model) and H-Type(Ladder model) were established as proposed model. The H-Blended e-learning based on CbE mode was introduced in the Excel Spread Sheet subject which held in A Universit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Learners were categorized and belonged to either the group 1(over 50% of attendance in cyber lecture) or the group 2(the rest of them).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est,-test to compare the achievement of study between groups. The -test result show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learning with group 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e learner in group 2. The effectiveness of the blended e-learning has been proved as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the attendance in the cyber lecture functioned as indicator that enable to predict the accept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치경, "혼합학습 환경에서 이러닝 학습참여와 이러닝학습시스템 접속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35 : 90-98, 2011

      2 최화춘, "이러닝과 블랜디드러닝의 플로우 경험구조 및 학습만족 비교" 한국관광학회 32 (32): 397-413, 2008

      3 김미량, "웹활용 수업사례에 기초한 사이버 교수-학습 운영의 기본 전략 및 향후 과제" 16 (16): 48-58, 2000

      4 박찬욱, "사례연구를 통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중국어 회화수업 설계"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4 (14): 15-31, 2011

      5 김미영,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만족도 비교" 대한공업교육학회 30 (30): 106-119, 2005

      6 최윤경,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초중국어’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 Causative Marker(CM)로의 문법화를 중심으로 -"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3 (13): 1-21, 2011

      7 이현주,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1-24, 2012

      8 이옥형, "블렌디드 러닝과 면대면수업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27, 2008

      9 한지영,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e-learning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 -S 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69-77, 2010

      10 강인애, "디지털시대의 학습테크놀러지" 문음사 2006

      1 성치경, "혼합학습 환경에서 이러닝 학습참여와 이러닝학습시스템 접속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35 : 90-98, 2011

      2 최화춘, "이러닝과 블랜디드러닝의 플로우 경험구조 및 학습만족 비교" 한국관광학회 32 (32): 397-413, 2008

      3 김미량, "웹활용 수업사례에 기초한 사이버 교수-학습 운영의 기본 전략 및 향후 과제" 16 (16): 48-58, 2000

      4 박찬욱, "사례연구를 통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중국어 회화수업 설계"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4 (14): 15-31, 2011

      5 김미영,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만족도 비교" 대한공업교육학회 30 (30): 106-119, 2005

      6 최윤경,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초중국어’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 Causative Marker(CM)로의 문법화를 중심으로 -"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3 (13): 1-21, 2011

      7 이현주,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에서의 상호작용과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1-24, 2012

      8 이옥형, "블렌디드 러닝과 면대면수업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27, 2008

      9 한지영,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e-learning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 -S 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69-77, 2010

      10 강인애, "디지털시대의 학습테크놀러지" 문음사 2006

      11 김준호,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관리회계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국제회계학회 31 (31): 111-127, 2010

      12 우종정,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7 (7): 219-225, 2009

      13 김동일,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Blended e-Learning 체제 정착 방안 연구 - S대학교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6 (6): 97-123, 2005

      14 정숙경, "대학 사이버 영어수업의 효과적인 블렌디드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3 (13): 253-278, 2010

      15 임정훈, "대학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온라인-오프라인 혼합방식 및 성찰활동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49-76, 2007

      16 임병노, "고등교육에서의 e-러닝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17 Hughes, G., "Using blended learning to increase learner support and improve retention" 12 (12): 349-363, 2005

      18 Sanprasert, N., "The application of a course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autonomy in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38 (38): 109-123, 2010

      19 Kim, Jeong-ryeol, "Interactional Analysis in On/Off-blended Learning for a Pre-Service English Education Course Using FIAC" 한국영어교육학회 62 (62): 55-74, 2007

      20 Meskill. C., "Foreign language learning with CMC : Forms of online instructional discourse in a hybrid Russian class" 33 (33): 89-105, 2005

      21 Christensen, T., "Finding the balance : Constructivist pedagogy in a blended course" 4 (4): 235-243, 2003

      22 이상수,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225-250, 2007

      23 George-Palilonis, J., "Blended learning in the visual communications classroom : Student reflection on a multimedia course" 3 : 247-256, 2009

      24 Cottrell, D. M., "Blended learning in an accounting course" 4 (4): 261-269, 2003

      25 Driscoll, M., "Blended learning : Let's get beyond the hype" 3 (3): 54-56, 2002

      26 이혜정, "Blended e-Learning 환경에서 학생 간 온라인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 만족도, 학습자가 인지하는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131-157, 2007

      27 김도헌, "Blended Learning을 통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연구Blended Learning을 통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147-176, 2003

      28 Anderson, T.,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5 (5): 1-17, 2001

      29 Doering, A., "Adventure learning : Transformative hybrid online education" 27 (27): 197-215, 2006

      30 Kerres, M., "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 28 (28): 101-113,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42 2.25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