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곡원류』 편찬 연대 재고 = Reconsideration of Gagokwonryu's published d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7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all 17 versions of Gagogwonryu's(歌曲源流) different edi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which one among them is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 and when it was compiled. In the discussion process, it found out several facts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朴孝寬) was transmitted to Ha Soon-il(河順一), Ha Soon-il to Ha Kyu-il(河圭一), and finally Ha Kyu-il to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econd, there is a certain year called 'Im-shin'(壬申) in the abbreviated Gagogwonryu's postscript edited by Ha Soon-il, and the year is 1872.
      Third, the same one as the abbreviated Gagogwonryu's postscript edited by Ha Soon-il is also printed in <Gugakwon's version>
      Fourth, <Gugakwon's version> is the only version that completely got editing form whish was written in Park Hyo-Kwan's postscript.
      Fifth, Park Hyo-Kwan's postscript was also printed in <Il-suk's version> and <Ga-ram's version>, but these are the early postscripts that is written before <Gugakwon's version>.
      Sixth, works in <Il-suk's version> and <Ga-ram's version> was edited before <Gugakwon's version>
      Seventh, 『Yeochang-gayorok』 shows women's song collected by compilers in 1870.

      Through above facts, it found out that ①<Gugakwon's version> is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 ②its compiled year was 1872, ③there are several early different versions of <Gugakwon's version> before 1872.
      번역하기

      There are all 17 versions of Gagogwonryu's(歌曲源流) different edi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which one among them is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 and when it was compiled. In the discussion process, it found out se...

      There are all 17 versions of Gagogwonryu's(歌曲源流) different edi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which one among them is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 and when it was compiled. In the discussion process, it found out several facts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朴孝寬) was transmitted to Ha Soon-il(河順一), Ha Soon-il to Ha Kyu-il(河圭一), and finally Ha Kyu-il to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econd, there is a certain year called 'Im-shin'(壬申) in the abbreviated Gagogwonryu's postscript edited by Ha Soon-il, and the year is 1872.
      Third, the same one as the abbreviated Gagogwonryu's postscript edited by Ha Soon-il is also printed in <Gugakwon's version>
      Fourth, <Gugakwon's version> is the only version that completely got editing form whish was written in Park Hyo-Kwan's postscript.
      Fifth, Park Hyo-Kwan's postscript was also printed in <Il-suk's version> and <Ga-ram's version>, but these are the early postscripts that is written before <Gugakwon's version>.
      Sixth, works in <Il-suk's version> and <Ga-ram's version> was edited before <Gugakwon's version>
      Seventh, 『Yeochang-gayorok』 shows women's song collected by compilers in 1870.

      Through above facts, it found out that ①<Gugakwon's version> is the finished work made by Park Hyo-Kwan, ②its compiled year was 1872, ③there are several early different versions of <Gugakwon's version> before 187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가곡원류』는 총 17종 이본이 존재한다. 이 중에서 박효관의 原稿本과 編纂年代를 밝혀내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논의 과정에서 알아낸 개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효관 원고본→하순일 소장→하규일 소장→국립국악원 소장’으로 전해졌다.
      둘째, 하순일 편집의 略式 『가곡원류』 발문의 간기 ‘壬申’은 1872년이다.
      셋째, 하순일 편집의 약식 『가곡원류』 발문과 동일한 발문이 <국악원본>에도 실려 있다.
      넷째, <국악원본>은 발문에서 언급한 편자의 편집방식을 온전하게 갖춘 유일본이다.
      다섯째, <일석본> <가람본>에도 박효관 발문이 실려 있으나, 이들 이본은 <국악원본> 이전에 작성된 초기 발문이다.
      여섯째, <일석본> <가람본>의 수록작품은 <국악원본> 이전에 편집된 것이다.
      일곱째, 『여창가요록』은 편자에 의한 1870년의 여창 모습을 보여준다.

      이상의 사실들을 통해, ①<국악원본>이 박효관 원고본이고, ②편찬연대는 1872년이며, ③1872년 이전에도 여러 초기 이본들이 존재, 유통되고 있었음을 밝혀냈다.
      번역하기

      『가곡원류』는 총 17종 이본이 존재한다. 이 중에서 박효관의 原稿本과 編纂年代를 밝혀내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논의 과정에서 알아낸 개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효관 원...

      『가곡원류』는 총 17종 이본이 존재한다. 이 중에서 박효관의 原稿本과 編纂年代를 밝혀내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논의 과정에서 알아낸 개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효관 원고본→하순일 소장→하규일 소장→국립국악원 소장’으로 전해졌다.
      둘째, 하순일 편집의 略式 『가곡원류』 발문의 간기 ‘壬申’은 1872년이다.
      셋째, 하순일 편집의 약식 『가곡원류』 발문과 동일한 발문이 <국악원본>에도 실려 있다.
      넷째, <국악원본>은 발문에서 언급한 편자의 편집방식을 온전하게 갖춘 유일본이다.
      다섯째, <일석본> <가람본>에도 박효관 발문이 실려 있으나, 이들 이본은 <국악원본> 이전에 작성된 초기 발문이다.
      여섯째, <일석본> <가람본>의 수록작품은 <국악원본> 이전에 편집된 것이다.
      일곱째, 『여창가요록』은 편자에 의한 1870년의 여창 모습을 보여준다.

      이상의 사실들을 통해, ①<국악원본>이 박효관 원고본이고, ②편찬연대는 1872년이며, ③1872년 이전에도 여러 초기 이본들이 존재, 유통되고 있었음을 밝혀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440-441, 1978

      2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1 (1): 125-150, 2007

      3 함화진, "증보가곡원류" 종로인문사 2-, 1943

      4 "조선후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가곡원류』" 70-,

      5 구자균, "조선평민문학사" 민학사 109-, 1974

      6 심재완,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51-, 1972

      7 신경숙, "근대 초기 가곡 교습 - 초기 조선정악전습소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7) : 213-244, 2007

      8 이병기, "가람문선" 신구문화사 106-, 1966

      9 장사훈, "가곡원류 해제 in: 가곡원류" 국립국악원 4-, 1981

      10 조윤제, "가곡원류 해제" 조선어학회 5 : 1932

      1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440-441, 1978

      2 신경숙, "하순일 편집 '가곡원류'의 성립" 한국시조학회 1 (1): 125-150, 2007

      3 함화진, "증보가곡원류" 종로인문사 2-, 1943

      4 "조선후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가곡원류』" 70-,

      5 구자균, "조선평민문학사" 민학사 109-, 1974

      6 심재완,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51-, 1972

      7 신경숙, "근대 초기 가곡 교습 - 초기 조선정악전습소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7) : 213-244, 2007

      8 이병기, "가람문선" 신구문화사 106-, 1966

      9 장사훈, "가곡원류 해제 in: 가곡원류" 국립국악원 4-, 1981

      10 조윤제, "가곡원류 해제" 조선어학회 5 : 1932

      11 황충기, "가곡원류 편자에 대한 이견(Ⅱ)" (76) : 1992

      12 (강경호)康京浩, "歌集 『海東樂章』의 作品 收錄 양상과 編纂 특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213-240, 2007

      13 "『女唱歌謠錄』 해제 및 영인" 한국음악사학회 16 : 253-,

      14 오종각, "『가곡원류』의 새로운 이본인 『지음』 연구" 단국대 국어국문학회 15 : 306-311, 1997

      15 황인완, "『가곡원류』 이본 계열 연구" 고려대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