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품첨가물 안전성 정보수집 활용의 과학화(Ⅱ) = Scientific collec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about food additives safety(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0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project
      - While food additives which are produced and sold domestically are strictly regulated by the Food Additives Codes in Korea, the toxicity of food additives is being identified by the use of foreign databases mainly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 Considering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control usage of food additives through gathering foreign information and establishing databases about toxicity of food additives. Especially under the WTO regime, the different application of the related matters of the food additives permission for usage between countries can raise trade conflict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sufficient scientific data must be secured as an act before the facts.
      -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afety of the food additives through setting up databases about metabolism, toxicity test, and estimation reports which have been performed by JECFA and European Union.
      - In this project, we have tried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national health and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ndustry with offering various and beneficial information about food additives to related food industries, academical institutes, public officials and consumers.
      ■ Contents and scope of the project
      - Selection of food additives for investigation (250 items including Ferric citrate)
      - Gathering and classifying data related to the metabolism of food additives
      - Investigation of estimating reports about food additives
      - Identification of databases for food additives materials
      ■ Results of the project
      In this project, data on metabolism and toxicity of registered food additive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First of all, 250 food additives as 18 usage categories, such as Nutrient supplement, Acidity regulator, Coloring agent, Enzyme preparation and so on, were selected as the investigation target with classifying individual food additives for its usages. Related data of the selected food additives about metabolic mechanism and toxicity which were investigated in Japan, JECFA, EU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are then gathered and classified. And finally, we herein suppose the way of utilizing database of the related information for the future.
      ■ Application of the results
      - Securing safety through the proper use of food additives with offering information about metabolism and toxicity test results of the food additives.
      - Contributing to safe usage of food additives
      - Using the results as the basic information of food additives
      번역하기

      ■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project - While food additives which are produced and sold domestically are strictly regulated by the Food Additives Codes in Korea, the toxicity of food additives is being identified by the use of foreign databas...

      ■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project
      - While food additives which are produced and sold domestically are strictly regulated by the Food Additives Codes in Korea, the toxicity of food additives is being identified by the use of foreign databases mainly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 Considering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control usage of food additives through gathering foreign information and establishing databases about toxicity of food additives. Especially under the WTO regime, the different application of the related matters of the food additives permission for usage between countries can raise trade conflict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sufficient scientific data must be secured as an act before the facts.
      -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afety of the food additives through setting up databases about metabolism, toxicity test, and estimation reports which have been performed by JECFA and European Union.
      - In this project, we have tried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national health and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ndustry with offering various and beneficial information about food additives to related food industries, academical institutes, public officials and consumers.
      ■ Contents and scope of the project
      - Selection of food additives for investigation (250 items including Ferric citrate)
      - Gathering and classifying data related to the metabolism of food additives
      - Investigation of estimating reports about food additives
      - Identification of databases for food additives materials
      ■ Results of the project
      In this project, data on metabolism and toxicity of registered food additive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First of all, 250 food additives as 18 usage categories, such as Nutrient supplement, Acidity regulator, Coloring agent, Enzyme preparation and so on, were selected as the investigation target with classifying individual food additives for its usages. Related data of the selected food additives about metabolic mechanism and toxicity which were investigated in Japan, JECFA, EU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are then gathered and classified. And finally, we herein suppose the way of utilizing database of the related information for the future.
      ■ Application of the results
      - Securing safety through the proper use of food additives with offering information about metabolism and toxicity test results of the food additives.
      - Contributing to safe usage of food additives
      - Using the results as the basic information of food addi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식품첨가물들은 화학적인 합성을 하거나, 천연 소재로부터의 추출, 농축, 정제 과정등을 거치게 됨으로써 인체에 위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식품첨가물이 개발되어 판매될 때까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독성 시험 등 엄격한 등록 절차를 통하여 판매 또는 사용이 되고 있음.
      ○ 우리 나라의 경우 식품첨가물 공전에 의해 국내에서 생산되고 판매되는 식품첨가물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는 반면 우리 나라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독성 자료 등은 아직까지는 미흡한 수준으로서 주로 외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을 하고 있음.
      ○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외국의 독성관련 자료의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WTO체제하에서 식품첨가물의 허용여부와 관련된 사항이 국가별로 상이하게 적용되고 있어 무역 마찰의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전적인 차원에서 충분한 과학적인 자료의 확보가 요구되고 있음.
      ○ 따라서 현재 식품첨가물 공전에 등록된 식품첨가물들의 대사, 독성시험 및 평가자료에 대한 JECFA, 일본, 유럽의 최신 데이터 수집과 정리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함.
      ○ 본 사업을 통하여 식품업계, 식품첨가물업계, 학계, 공무원 및 소비자 등에게 식품첨가물에 대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내식품산업의 발전 및 국제화에 기여하며 대 국민의 보건향상에 이바지 하고자 함.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조사대상 식품첨가물의 선정 (구연산철 등 250품목)
      - 식품첨가물공전에 등록된 첨가물을 대상으로 함.
      - 화학적 합성품, 천연첨가물을 고려하여 편중되지 않도록 선정함.
      - 식품첨가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강화제 등 18가지 용도에 해당하는 첨가물을 선정
      ○ 식품첨가물 대사 관련 자료의 수집 정리
      - 미국, 일본, EU, Codex 등
      ○ 식품첨가물 평가자료 조사
      - 미국, 일본, EU, Codex 등의 독성시험 자료
      ○ 식품첨가물 정보 활용화 방안 검토
      ...[중략] 원문참조○ 연구목표 : 본 연구사업의 목표는 우리 나라 식품첨가물공전에 등재된 화학적합성품, 천연첨가물, 혼합제제류 등에 대한 개별품목별 대사 및 독성시험결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자, 식품업계 등에 식품첨가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개별품목의 종합적이고 정확한 독성 관련 정보를 통해 올바른 식품첨가물 사용을 유도하여 기능이 향상되고 안전한 가공식품을 국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 연구내용
      - 조사대상 식품첨가물의 선정 (구연산철 등 250품목)
      ․ 화학적합성품, 천연첨가물을 고려하여 편중되지 않도록 선정함.
      ․ 식품첨가물 공전에 등재된 첨가물중 용도를 고려하여 선정
      - 식품첨가물 대사 관련 자료의 수집 정리
      ․ 미국, 일본, EU, Codex 등 국내외 관련도서 수집
      ․ 인터넷 등을 통한 자료의 검색
      ․ 자료의 선별 및 요약 정리
      - 식품첨가물 평가자료 조사
      ․ 대상국가 : 미국, 일본, EU, Codex
      ․ 국가별, 품목별 평가자료 조사 검토
      - 식품첨가물 정보 활용화 방안 검토
      ․ 작성 완료된 식품첨가물 정보의 취합 정리 방법
      ․ 향후 정보 보완 방안
      번역하기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식품첨가물들은 화학적인 합성을 하거나, 천연 소재로부터의 추출, 농축, 정제 과정등을 거치게 됨으로써 인체에 위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식품첨가물이 ...

      ■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식품첨가물들은 화학적인 합성을 하거나, 천연 소재로부터의 추출, 농축, 정제 과정등을 거치게 됨으로써 인체에 위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식품첨가물이 개발되어 판매될 때까지 안전성 확보를 위한 독성 시험 등 엄격한 등록 절차를 통하여 판매 또는 사용이 되고 있음.
      ○ 우리 나라의 경우 식품첨가물 공전에 의해 국내에서 생산되고 판매되는 식품첨가물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는 반면 우리 나라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독성 자료 등은 아직까지는 미흡한 수준으로서 주로 외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을 하고 있음.
      ○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외국의 독성관련 자료의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WTO체제하에서 식품첨가물의 허용여부와 관련된 사항이 국가별로 상이하게 적용되고 있어 무역 마찰의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전적인 차원에서 충분한 과학적인 자료의 확보가 요구되고 있음.
      ○ 따라서 현재 식품첨가물 공전에 등록된 식품첨가물들의 대사, 독성시험 및 평가자료에 대한 JECFA, 일본, 유럽의 최신 데이터 수집과 정리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함.
      ○ 본 사업을 통하여 식품업계, 식품첨가물업계, 학계, 공무원 및 소비자 등에게 식품첨가물에 대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내식품산업의 발전 및 국제화에 기여하며 대 국민의 보건향상에 이바지 하고자 함.
      ■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조사대상 식품첨가물의 선정 (구연산철 등 250품목)
      - 식품첨가물공전에 등록된 첨가물을 대상으로 함.
      - 화학적 합성품, 천연첨가물을 고려하여 편중되지 않도록 선정함.
      - 식품첨가물의 용도를 고려하여 강화제 등 18가지 용도에 해당하는 첨가물을 선정
      ○ 식품첨가물 대사 관련 자료의 수집 정리
      - 미국, 일본, EU, Codex 등
      ○ 식품첨가물 평가자료 조사
      - 미국, 일본, EU, Codex 등의 독성시험 자료
      ○ 식품첨가물 정보 활용화 방안 검토
      ...[중략] 원문참조○ 연구목표 : 본 연구사업의 목표는 우리 나라 식품첨가물공전에 등재된 화학적합성품, 천연첨가물, 혼합제제류 등에 대한 개별품목별 대사 및 독성시험결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소비자, 식품업계 등에 식품첨가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개별품목의 종합적이고 정확한 독성 관련 정보를 통해 올바른 식품첨가물 사용을 유도하여 기능이 향상되고 안전한 가공식품을 국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 연구내용
      - 조사대상 식품첨가물의 선정 (구연산철 등 250품목)
      ․ 화학적합성품, 천연첨가물을 고려하여 편중되지 않도록 선정함.
      ․ 식품첨가물 공전에 등재된 첨가물중 용도를 고려하여 선정
      - 식품첨가물 대사 관련 자료의 수집 정리
      ․ 미국, 일본, EU, Codex 등 국내외 관련도서 수집
      ․ 인터넷 등을 통한 자료의 검색
      ․ 자료의 선별 및 요약 정리
      - 식품첨가물 평가자료 조사
      ․ 대상국가 : 미국, 일본, EU, Codex
      ․ 국가별, 품목별 평가자료 조사 검토
      - 식품첨가물 정보 활용화 방안 검토
      ․ 작성 완료된 식품첨가물 정보의 취합 정리 방법
      ․ 향후 정보 보완 방안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