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원명부"
2 "한국농업금융사"
3 정연태, "한국근대와 식민지 근대화 논쟁" 푸른역사 2011
4 김근배, "한국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문학과지성사 2005
5 이혜영, "한국 근대 학교교육 100년사 연구Ⅱ : 일제시대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 93-307, 1997
6 "학적부"
7 오성철, "중등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선호․기피 현상의 역사적 변천" 청주교육대 85-, 2004
8 "조선총독부조사월보 3-11"
9 정재정,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고용구조, In 근대조선의 경제구조" 비봉출판사 443-, 1989
10 문정창, "조선농촌단체사" 일본평론사 252-290, 1942
1 "회원명부"
2 "한국농업금융사"
3 정연태, "한국근대와 식민지 근대화 논쟁" 푸른역사 2011
4 김근배, "한국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문학과지성사 2005
5 이혜영, "한국 근대 학교교육 100년사 연구Ⅱ : 일제시대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 93-307, 1997
6 "학적부"
7 오성철, "중등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선호․기피 현상의 역사적 변천" 청주교육대 85-, 2004
8 "조선총독부조사월보 3-11"
9 정재정,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고용구조, In 근대조선의 경제구조" 비봉출판사 443-, 1989
10 문정창, "조선농촌단체사" 일본평론사 252-290, 1942
11 이병례, "일제하 전시 기술인력 양성정책과 한국인의 대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2 최재성, "일제하 금융조합 활동과 인적구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13 이경란, "일제하 금융조합 연구" 혜안 2002
14 이경숙, "일제시대 시험의 사회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15 백순근, "일제강점기의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9-51, 2003
16 정연태, "일제강점기 한・일공학 중등학교의 관행적 민족차별 -충남 강경상업학교의 사례-" 한국사연구회 (159) : 151-196, 2012
17 박철희, "일제강점기 인문중등학교 졸업생의 진로를 통해 본 식민교육의 차별성"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09-133, 2003
18 박철희, "일제 강점기 여자고등보통학교 교육 기회 분배와 졸업생 진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사학회 28 (28): 47-73, 2006
19 오성철, "식민지기의 교육적 유산" 8 : 230-231, 1998
20 박철희, "식민지기 한국 중등교육 연구 : 1920~30년대 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1 "마산상업70년사"
22 "동아일보 1940년 7월 3일자"
23 허수열, "근대교육과 기술의 발전, In 개발 없는 개발 :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 은행나무 2005
24 朝鮮總督府學務局, "관공립학교졸업자 狀況調, In 조선총독부조사월보 7-1"
25 "경기상교50년"
26 "錦江 15, 16호"
27 허수열, "20세기 한국경제와 일제시대 경제변화, In 일제 강점 지배사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70-71, 2010
28 문영주, "1920~1930년대 금융조합 유치운동과 지역사회" 역사문제연구소 13 (13): 185-21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