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약선 식당에서 사용하는 한약재에 대한 조사연구 = A Survey of Herbs Used in Yaksun Restaur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842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kinds of medicinal herbs actually used in Yaksun(medicianal food) restaurants, the frequency and the way of using herbs in Yaksun. Through this study, we assumed that it will be used basis data on further Korean Yaksun research. Method : We conducted survey targeting for 26 Yaksun restaurants and Temple food restaurants serving Yaksun cuisine(medicinal food) menu from July 2012 to January 2013.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several parts including the kinds of medicinal herbs that was used in Yaksun, medicinal food types that use a lot of medicinal herbs, medicinal herbs criteria used in the selection of medicinal food, and education experience learning Yaksun cuisine. Results : Only 11 restaur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mong the targeting restaurants of survey objects. The number of Herbs was investigated in each restaurant was maximum 65 kinds and minimum 7 kinds (average 32 kinds). All restaurants used Angelicae Gigantis Radix in their restaurant. And Nelumbinis Semen, Zingiberis Rhizoma, Glycyrrhizae Radix, Acanthopanacis Cortex, and Gardeniae Fructus are well used medicinal herbs in Yaksun. Types of medicinal food using a lot of herbs were rices porridges rice cakes, both vegetables salads and stews soups. Almost chefs or restaurant's representatives learned cooking medicinal food at temples, food research centers, university attached institutions, and cooking schools. Conclusion : Medicinal herbs used in Yaksun restaurants are familiar with Korean and easily available. These herbs has better efficacy, taste, scent, color in comparison of the other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Yaksun, further research of divers parts in Yaksun materials should be conducted.
      번역하기

      Objective :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kinds of medicinal herbs actually used in Yaksun(medicianal food) restaurants, the frequency and the way of using herbs in Yaksun. Through this study, we assumed that it will be used ba...

      Objective : This study is a survey research that investigates the kinds of medicinal herbs actually used in Yaksun(medicianal food) restaurants, the frequency and the way of using herbs in Yaksun. Through this study, we assumed that it will be used basis data on further Korean Yaksun research. Method : We conducted survey targeting for 26 Yaksun restaurants and Temple food restaurants serving Yaksun cuisine(medicinal food) menu from July 2012 to January 2013.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several parts including the kinds of medicinal herbs that was used in Yaksun, medicinal food types that use a lot of medicinal herbs, medicinal herbs criteria used in the selection of medicinal food, and education experience learning Yaksun cuisine. Results : Only 11 restaur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mong the targeting restaurants of survey objects. The number of Herbs was investigated in each restaurant was maximum 65 kinds and minimum 7 kinds (average 32 kinds). All restaurants used Angelicae Gigantis Radix in their restaurant. And Nelumbinis Semen, Zingiberis Rhizoma, Glycyrrhizae Radix, Acanthopanacis Cortex, and Gardeniae Fructus are well used medicinal herbs in Yaksun. Types of medicinal food using a lot of herbs were rices porridges rice cakes, both vegetables salads and stews soups. Almost chefs or restaurant's representatives learned cooking medicinal food at temples, food research centers, university attached institutions, and cooking schools. Conclusion : Medicinal herbs used in Yaksun restaurants are familiar with Korean and easily available. These herbs has better efficacy, taste, scent, color in comparison of the other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Yaksun, further research of divers parts in Yaksun materials should be condu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재근, "한의학과 중의학 담당행정조직의 기능과 역할 비교 연구" 대한한의학회 29 (29): 13-29, 2008

      2 조영신, "한약재 및 약선 식재료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77-84, 2006

      3 박성혜, "한약자원을 이용한 약선차 조성물이 전북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여대생의혈액 성상에 미친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136-144, 2006

      4 이보람, "충북 지역 학교 급식 영양사들의 약선에 대한 인식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882-890, 2009

      5 국가중의약관리국(国家中医药管理局中), "중의약표준화중장기발전계획강요(中医药标准化中长期发展规划纲要)(2011-2020)"

      6 남희정, "전통 사찰음식과 약선(일상식을 중심으로)" 31 (31): 17-27, 2005

      7 김선업, "유기농 시장의 소비자 특성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1247-1270, 2013

      8 최성웅, "외식소비자의 건강지향 메뉴가 LOHAS와 약선 음식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 16 (16): 96-109, 2010

      9 이상미, "외식산업에서 약선(藥膳)음식의 인지도" 한국콘텐츠학회 6 (6): 65-73, 2006

      10 최만순, "약선의 역사" 3 (3): 258-272, 2010

      1 오재근, "한의학과 중의학 담당행정조직의 기능과 역할 비교 연구" 대한한의학회 29 (29): 13-29, 2008

      2 조영신, "한약재 및 약선 식재료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77-84, 2006

      3 박성혜, "한약자원을 이용한 약선차 조성물이 전북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여대생의혈액 성상에 미친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136-144, 2006

      4 이보람, "충북 지역 학교 급식 영양사들의 약선에 대한 인식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882-890, 2009

      5 국가중의약관리국(国家中医药管理局中), "중의약표준화중장기발전계획강요(中医药标准化中长期发展规划纲要)(2011-2020)"

      6 남희정, "전통 사찰음식과 약선(일상식을 중심으로)" 31 (31): 17-27, 2005

      7 김선업, "유기농 시장의 소비자 특성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6 (26): 1247-1270, 2013

      8 최성웅, "외식소비자의 건강지향 메뉴가 LOHAS와 약선 음식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 16 (16): 96-109, 2010

      9 이상미, "외식산업에서 약선(藥膳)음식의 인지도" 한국콘텐츠학회 6 (6): 65-73, 2006

      10 최만순, "약선의 역사" 3 (3): 258-272, 2010

      11 박건태, "약선을 이용한 건강 기능식 개발에관한 연구" 9 (9): 191-202, 2003

      12 복혜자, "약선(藥膳)음식 개발을 위한 전통 식품재료와 한의학이론의 적용방향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5 (15): 346-356, 2005

      13 박성혜, "약선 장수차가 고지혈증 성인 여성의 혈청지질 수준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병리학회 20 (20): 1180-1186, 2006

      14 정진우, "약선 요리의 맛과 조리방법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5 (15): 357-365, 2005

      15 이용대, "약선 요리에 관한 식행동, 인식 및 기호도 조사 연구" 한국외식산업학회 5 (5): 35-51, 2009

      16 안문생, "안문생 약선기" 한국약선교육개발원 18-, 2003

      17 권기태, "식약공용 한약재의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 27 (27): 25-29, 2012

      18 심기현,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국 약선음식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한국조리학회 17 (17): 39-58, 2011

      19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10-18, 2011

      20 박서란, "매일 먹는 건강한 한식 밥상" 웅진리빙하우스 141-, 2013

      21 김명선, "당귀에 대한 기호도 및 이용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783-790, 2009

      22 고성희, "단체급식을 위한 콩국의 곽향 첨가에 따른 품질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9 (29): 841-846, 2013

      23 임현정, "뇌졸중 환자에서 한방치료식의 인지도 및 요구도 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한 한방 치료식단(藥膳) 개발" 대한영양사협회 14 (14): 36-50, 2008

      24 김운주, "관상동맥 질환의 예방을 위한 약선차의 식품영양학적 구성 및 안전성 평가" 대한동의병리학회 21 (21): 219-225, 2007

      25 안상영, "食治의 개념 정립 및 적용 이론의 이해" 한국한의학연구원 14 (14): 27-33, 2008

      26 박성혜, "藥食同源에 입각한 藥膳食의 이해와 활용" 한의병리학회 19 (19): 1520-1527, 2005

      27 김정은, "藥膳粥 메뉴개발을 위한 인식조사 - 대전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0 (30): 219-227, 2014

      28 김은민, "『의방유취』 식치편에 수록된 죽의 약선식료학적 연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29 오준호, "16세기 조선 의서 『이석간경험방』에 나타난 전통지식 분석 : 죽과 밥을 이용한 식치 처방을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 17 (17): 125-135, 2013

      30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12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분석결과 발표" 식품의약품안전처 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riental Preventive Medicine ->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KCI등재
      2015-02-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9 0.63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