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IS를 활용한 2차원 침수해석에서의 건물영향 분석 = An Evaluation of Building Effect in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Using G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437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for Taehwa watersh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to analyze flow behaviors, inundation depth and inundation stage, considering the building effect. Lidar having the interval of 1 m was employed to generate topographic data with 10m interval, and building data extracted from digital map was combined with the constructed topographic data for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A few scenarios were constructed for the analysis to provide an effective and accurate inundation analysis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results. The disagreement based on the areas of inundation showed over 10% between the cases with and without consideration of building effect. The maximum inundation depth without considering the effects of buildings was 0.29m higher than that with considering the building effects. On the contrary, the maximum inundation stage with consideration of building effects was 0.49m higher than that without consideration of building effec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for Taehwa watersh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to analyze flow behaviors, inundation depth and inundation stage, considering the building effect. Lidar having the interval of 1 m was empl...

      In this study,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for Taehwa watersh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to analyze flow behaviors, inundation depth and inundation stage, considering the building effect. Lidar having the interval of 1 m was employed to generate topographic data with 10m interval, and building data extracted from digital map was combined with the constructed topographic data for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A few scenarios were constructed for the analysis to provide an effective and accurate inundation analysis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results. The disagreement based on the areas of inundation showed over 10% between the cases with and without consideration of building effect. The maximum inundation depth without considering the effects of buildings was 0.29m higher than that with considering the building effects. On the contrary, the maximum inundation stage with consideration of building effects was 0.49m higher than that without consideration of building effe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건연, "홍수터에서의 범람홍수류에 의한 2차원 수치모의" 33 (33): 483-493, 2000

      2 건설교통부, "홍수지도제작지침"

      3 국토해양부, "홍수위험지도 기본계획 보완 보고서. 3장" 109-220, 2008

      4 강수만, "홍수범람해석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 대한토목학회 27 (27): 583-590, 2007

      5 이종태, "하천제방의 붕괴로 인한 제내지의 침수예측모형" 22 (22): 223-231, 1989

      6 김종해, "하천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불확실도 해석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36 (36): 661-671, 2003

      7 김영주, "지하저류조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30 (30): 41-51, 2010

      8 한건연, "도시하천에서의 홍수범람도 작성을 위한 2차원 모형의 개발" 28 (28): 119-131, 1995

      9 최규현, "댐 붕괴 해석을 위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개발:Ⅰ.이론 및 모형의 검증" 대한토목학회 25 (25): 135-142, 2005

      10 최규현, "댐 붕괴 해석을 위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개발: Ⅱ. 적용 예" 대한토목학회 25 (25): 143-150, 2005

      1 한건연, "홍수터에서의 범람홍수류에 의한 2차원 수치모의" 33 (33): 483-493, 2000

      2 건설교통부, "홍수지도제작지침"

      3 국토해양부, "홍수위험지도 기본계획 보완 보고서. 3장" 109-220, 2008

      4 강수만, "홍수범람해석모형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 대한토목학회 27 (27): 583-590, 2007

      5 이종태, "하천제방의 붕괴로 인한 제내지의 침수예측모형" 22 (22): 223-231, 1989

      6 김종해, "하천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불확실도 해석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36 (36): 661-671, 2003

      7 김영주, "지하저류조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30 (30): 41-51, 2010

      8 한건연, "도시하천에서의 홍수범람도 작성을 위한 2차원 모형의 개발" 28 (28): 119-131, 1995

      9 최규현, "댐 붕괴 해석을 위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개발:Ⅰ.이론 및 모형의 검증" 대한토목학회 25 (25): 135-142, 2005

      10 최규현, "댐 붕괴 해석을 위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개발: Ⅱ. 적용 예" 대한토목학회 25 (25): 143-150, 2005

      11 전민우, "낙동강 제방 붕괴에 따른 범람홍수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38 (38): 259-269, 2005

      12 최승용, "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GIS기반의 제내지 홍수범람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2 (12): 1-17, 2009

      13 유재홍, "구리지역의 홍수범람해석" 1174-1178, 2005

      14 Fennema, R.J, "computer model to simulate natural everglades hydrology. The Ecosystem and its Restoration" St. Lucie Press 249-289, 1994

      15 이종형, "XP-SWMM 모형을 적용한 도시지역의 침수해석" 한국방재학회 08 (08): 155-161, 2008

      16 Hromadka II, T.V, "Solving the two-dimensional diffusion flow model" 555-562, 1985

      17 이창희, "SWMM을 연계한 DEM기반의 도시침수해석 모형" 한국수자원학회 39 (39): 441-452, 2006

      18 Lai, C, "Numerical Modeling of Unsteady Open-Channel Flow" 14 : 161-333, 1986

      19 최계운, "MOUSE 및 MIKE21 통합모델을 이용한 도시유역의 침수분석" 한국방재학회 7 (7): 75-83, 2007

      20 최경록, "MIKE FLOOD를 이용한 홍수 범람해석 -우이천 유역을 중심으로-" 서울 시립대학교 2005

      21 조완희, "GIS와 연계한 확산파 침수해석 모형의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2 (12): 88-100, 2009

      22 하창용, "GIS를 활용한 LiDAR 자료의 밀도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74-88, 2010

      23 이창희,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침수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 9 (9): 115-125, 2006

      24 이창희, "Dual-Drainage 개념에 의한 도시침수해석모형의 개발" 대한토목학회 26 (26): 379-387, 2006

      25 Akan, A.O, "Diffusion -wave flood routing in channel networks" ASCE 107 (107): 719-732, 1981

      26 Tayfur, G, "Applicability of St. Venant equations for two-dimensional overland flows over rough infiltrating surface" ASCE 119 (119): 15-63, 1993

      27 신영호,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홍수지도 제작 연구" 2576-2580,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 0.9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