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비파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65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처리와 추출용매에 따른 비파 잎의 항산화활성 비교에서, 열수 추출물보다 80% ethanol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RLE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SC50이 1.71 ㎎/mL로 가장 ...

      전처리와 추출용매에 따른 비파 잎의 항산화활성 비교에서, 열수 추출물보다 80% ethanol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RLE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은 SC50이 1.71 ㎎/mL로 가장 강한 효과를 보였으며, nitric oxide 소거능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total phenolic compound와 total flavonoid 함량 측정에서 각각 215.4 ㎎/g, 110.3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결과와 상당한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 조건별로는 건조를 실시하지 않은 RL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FL과 DL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열수 추출물 가운데에서 FLW가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다른 열수 추출물(RLW, DLW)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가열건조와 동결건조 한 시료를 비교하면 FL이 DL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비파 잎을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할 경우 생잎을 바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활성을 기대할 수 있지만 불가피하게 건조를 해야 할 경우 가열건조보다는 동결건조를 선택하는 것이 생리활성물질의 보존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FL의 추출수율을 함께 고려할 경우 항산화 활성은 RL보다 다소 낮지만 추출수율은 RL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으므로 동결건조가 유리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항균활성 실험에서는 RLE가 거의 모든 균주에 대해서 가강 강한 생육저해 활성을 보였다. 다만 건조를 실시한 시료의 경우 MRSA와 S. aureus 균주에 대해서 FL이나 DL 모두 열수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함께 비파 잎 추출물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MRSA에 대해서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것은 비파잎을 활용한 천연 항균물질 개발 가능성을 밝게 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각 추출물의 세포독성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MTT assay 이용한 Raw 264.7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RLE가 가장 양호한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으며, 80% ethanol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열수 추출물보다 낮아 세포보호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비파 잎을 항산화 및 항균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RLE가 가장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건조의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경우에는 가열건조보다는 동결건조를 이용하는 것이 생리활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Raw 264.7 cell viability as cytotoxic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leaf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dried by different methods were investigated for processing as functional ingredient. In DPPH radi...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Raw 264.7 cell viability as cytotoxic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leaf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dried by different methods were investigated for processing as functional ingredient.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LE (80% EtOH extract of raw leaf) and FLE (80% EtOH extract of freeze-dried leaf) exhibited strong scavenging effect on 300 ㎛ DPPH radical solution (1.71 ㎎/mL and 2.11 ㎎/mL for RLE SC50 and FLE SC50). Also in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RLE and FLE showed strong activities (83.9% and 82.2% in 5 ㎎/mL sample concentration).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each extracts were found to be 73.7~215.4 ㎎/g and RLE was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mpound content. Also,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found to be 24.85~110.3 ㎎/g and RLE was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In antimicrobial activity, RLE was showed higher growth inhibition effect against all microbial strains. RLE, RLW (hot water extract of raw leaf), and FLW (hot water extract of freeze-dried leaf)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MRSA and S. aureus. In measurement of cytotoxicity by MTT assay, Raw 264.7 cell viabilities of 80% EtOH extracts showed better effect than water extracts. Especially viability of RLE was found be over 100% in every tested sample concent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방약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약리학" 도서출판 신일상사 290-292, 2005

      2 박춘근, "수종 한약재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9 (9): 251-258, 2001

      3 Bae YI,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97-101, 2002

      4 Bae YI,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92-96, 2002

      5 임진아, "배암차즈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183-188, 2007

      6 정보섭, "도해 향약(생약)대사전(圖解 鄕藥(生藥)大事典)" 영림사 610-612, 2003

      7 Marcocci L, "The nitric oxide-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201 : 748-755, 1994

      8 Hamada A, "The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oxidative stress in adriamycin-induced nephropathy in rats" 27 : 1961-1964, 2004

      9 Ku KM, "Screening of cancer preventive activities from medicinal plants" 14 : 590-591, 2006

      10 Yokota J,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29 : 467-471, 2006

      1 한방약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약리학" 도서출판 신일상사 290-292, 2005

      2 박춘근, "수종 한약재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9 (9): 251-258, 2001

      3 Bae YI,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97-101, 2002

      4 Bae YI, "비파 부위별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항돌연변이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9 (9): 92-96, 2002

      5 임진아, "배암차즈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183-188, 2007

      6 정보섭, "도해 향약(생약)대사전(圖解 鄕藥(生藥)大事典)" 영림사 610-612, 2003

      7 Marcocci L, "The nitric oxide-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201 : 748-755, 1994

      8 Hamada A, "The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oxidative stress in adriamycin-induced nephropathy in rats" 27 : 1961-1964, 2004

      9 Ku KM, "Screening of cancer preventive activities from medicinal plants" 14 : 590-591, 2006

      10 Yokota J,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29 : 467-471, 2006

      11 Liu RH,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mechanism of action" 134 : 3479-3485, 2004

      12 Radi R, "Peroxynitrite oxidation of sulfhydryls, the cytotoxic potential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4244-4250, 1991

      13 Haenen GR, "Peroxinitrite scavenging by flavonoids" 236 : 591-593, 1997

      14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25, 2000

      15 Bae YI,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5 : 57-63, 1998

      16 Chung HT, "Nitric oxide as a bioregulator of apoptosis" 282 : 1075-1079, 2001

      17 Soung DY, "Nat Prod Sci" 5 : 80-84, 1999

      18 Amerine MA, "Method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176-180, 1980

      19 Dewick PM, "Medicinal natural products" Wiley & Sons 149-151, 2002

      20 Chung HS, "Isolation of new bioactive phytochemicals from natural products" 6 : 53-59, 2001

      21 Chen J, "Hypoglycemic effects of a sesquiterpene glycoside isolated fr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15 : 98-102, 2008

      22 Park MY, "Germplasm evaluation and breeding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23 Koba K, "Effect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extracts on LDL oxidation" 104 : 308-316, 2007

      24 Cho YS, "Composition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loquat flesh" 20 : 89-93, 1991

      25 Lee YC, "Composition of Opuntia ficus-india" 29 : 847-853, 1997

      26 Collins CH, "Collins and Lyne's microbiological methods" Butterworth-Heinemann Ltd 178-205, 1995

      27 Ryu SW, "Changes i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Antioxidant Activities of Hibiscus cannabinus L."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307-310, 2006

      28 Manach C, "Bioavailability and bioefficacy of polyphenols in humans" 81 : 230-242, 2005

      29 Bae YI,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picatechin Isolated fr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0 (10): 118-121, 2005

      30 Yu Yin,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Fractionsfrom 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Methanolic Extract"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329-334, 2007

      31 In Soo Bang,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Compositionof Extracts from Mulberry (Morus alba L.) Fruit"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120-127, 2007

      32 Banno N,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promoting effect of the triterpene acid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28 : 1995-1999, 2005

      33 Lee BY,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fruit" 28 : 428-432, 1996

      34 신경민, "Amygdalin의 Murine 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 in vitro 항염효과" 한국생약학회 34 (34): 223-227,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