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陶齋 尹昕이 저술한 『溪陰漫筆』에 대한 연구이다. 『계음만필』은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이 책은 윤흔의 호를 붙여서『陶齋隨筆...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陶齋 尹昕이 저술한 『溪陰漫筆』에 대한 연구이다. 『계음만필』은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이 책은 윤흔의 호를 붙여서『陶齋隨筆...
본고는 陶齋 尹昕이 저술한 『溪陰漫筆』에 대한 연구이다. 『계음만필』은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이 책은 윤흔의 호를 붙여서『陶齋隨筆』이라고도한다. 『溪陰漫筆』에는 서문이나 발문이 붙어 있지 않아 이 책을 집필한 시기, 편찬자의 의도, 집필과정, 서술방식, 서술 체제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알 수 없다. 그러나『溪陰漫筆』 卷3의 마지막 기사앞의 내용이 정축년(1637)에 金慶徵의 기사를 미뤄 보건대 1637년 겨울이거나 윤흔이 임종한 해인 1638년 초반으로 추측해 볼 수가 있다. 그리고 漫筆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漫錄, 雜錄, 筆談등과 같이 筆記에 속한다. 필기는 일관된 서술체제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제재 역시 정치 역사 경제 및 문화 전반, 자연현상, 인물 일화 등 온갖 영역에 미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야사, 시화, 소화 등의 구성요소를 지닌다. 해당 내용들을 권별로 분류하면 권1에 141화, 권2에 136화, 권3에 111화로 모두 388화의 주제가 실려있다. 『계음만필』이 筆記의 요소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인 면에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의 필기의 총화집인 『大東野乘』이나 『稗林』 등 기타총화집에는 『溪陰漫筆』의 書名조차 거론되지 않았다. 『계음만필』에 관한 소개는 서울대 규장각의 해제가 있을 뿐, 연구 논문이나 번역본은 없는 실정이다.
『계음만필』은 조선왕조의 시대상 내지는 인물, 학문, 문학, 풍속, 상례, 천문등 다양한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는 수필집이다. 학문적 자료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16 • 7세기 사회, 정치, 문화, 역사 등에 대해서도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어 매우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개인 문집 실려져 있지 않은 야사 기록 등을 통해 인물의 내면세계와 진면목까지 살펴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우리나라 필기문학의 외연을 확장함과 동시에 문학사적 지평을 넓혀 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자못 크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계음만필』자체에 대한 미시적 접근에서 출발하였다. 필기전체에서『계음만필』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한국문학사에 있어서『계음만필』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 자세히 조명하지 못한 것이 본고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Gyeeummanpil(溪陰漫筆)』 written by Dojae Yun Heun.『Gyeeummanpil』 consists of three volumes and three books of manuscripts and is at present owned by Kyujanggak Librar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book is also call...
This study examines 『Gyeeummanpil(溪陰漫筆)』 written by Dojae Yun Heun.『Gyeeummanpil』 consists of three volumes and three books of manuscripts and is at present owned by Kyujanggak Librar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book is also called as 『Dojaesupil(陶齋隨筆)』 following Yun Heun"s pen name.『Gyeeummanpil』 doesn"t have a preface or an epilogue, so when this book was written, what the compiler"s intention was, the writing process, its narrative style, its narrative system and others have been unknown. Yet,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first half of the last story of Volume 3 of 『Gyeeummanpil』 is about Kim Gyeong-jing in the year of Jeongchuk(1637), it can be assum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winter of 1637 or the early 1638 when Yun Heun passed away. And, as the title of causery shows, it belongs to note literature with light essays, miscellaneous records, conversation by writing and etc. Its notes are not composed of a consistent narrative system, and its topics also cover all the areas including politics, history, economics, culture in general, natural phenomena, anecdotes of individuals and usually has the components of hidden histories, pictorial poems, short stories and so on. When relevant contents are categorized in each volume, Volume 1 has 141 stories, Volume 2 has 136 stories, and Volume 3 has 111 stories, therefore 388 stories in total. Even though 『Gyeeummanpil』 has not only the elements of note literature but also a rich stock of information in terms of contents, even its name was not mentioned in『Daedongyaseung(大東野乘)』 or 『Paerim(稗林)』, the whole collection of note literature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other ones including. As for the introduction of 『Gyeeummanpil』, there is a bibliography by Kyujanggak, SNU, but no research theses or translation.
『Gyeeummanpil』 is a collection of essays containing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the times, figures, study, literature, customs, funeral rites, astronomy and etc. of Joseon dynasty. It not only has the values as an academic material, but also is very worthy because it includes the contents about the society, politics, culture, history and etc. of the 16th and 17th century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records. In particular, it is very useful in that this material helps investigate a person"s inner world and true qualities through unofficial recordes and others included in a personal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n addition, it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 denotation of Korean note literature and simultaneously broadens the prospect of literary history. This article begins from a microscopic approach to 『Gyeeummanpil』 itself. The limits of this study is that the importance of 『Gyeeummanpil』 in the whole note literature and the meanings of 『Gyeeummanpil』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re not examined close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2 신상필, "필기의 서사화 양상에 관한 연구 : 『용재총화』와 『어우야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3 신상필, "조선조 野史의 전개와 <寒皐觀外史>의 위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2) : 203-231, 2005
4 尹昕, "陶齋集(일본 동경대학교 소장본)"
5 李滉, "退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90
6 柳成龍, "西厓集" 민족문화추진회 1986
7 表沿沫, "藍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89
8 許篈, "荷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9 李德弘, "艮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96
10 崔岦, "簡易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1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2 신상필, "필기의 서사화 양상에 관한 연구 : 『용재총화』와 『어우야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3 신상필, "조선조 野史의 전개와 <寒皐觀外史>의 위상"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2) : 203-231, 2005
4 尹昕, "陶齋集(일본 동경대학교 소장본)"
5 李滉, "退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90
6 柳成龍, "西厓集" 민족문화추진회 1986
7 表沿沫, "藍溪集" 민족문화추진회 1989
8 許篈, "荷谷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9 李德弘, "艮齋集" 민족문화추진회 1996
10 崔岦, "簡易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11 尹昕, "溪陰漫筆1․2․3(규장각소장본)"
12 趙翼, "浦渚集" 민족문화추진회 1992
13 "東國諡號"
14 尹根壽, "月汀漫筆"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15 정선용, "後光世牒" 해평윤씨 지족암공파 종중 2009
16 柳長源, "常變通攷" 東巖亭 1926
17 "仁祖實錄"
18 鄭道傳, "三峯集" 민족문화추진회 1991
<호남철도가(湖南鐵道歌)>와 호남본선 공간의 심상지리 형성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79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