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 상호텍스트 서사 구성과 독서 과정 = The Multi-layered Intertext Narrative Construction of Yuhyogong seonhaengnok and Reading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56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텍스트적 관점에서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인 상호텍스트 서사 구성의 특질을 논의하고 이러한 서사 구성이 독자의 독서 과정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유효공선행록>의 선행텍스트는 ‘우순의 서사’와 ‘명효종의 역사’이다. <유효공선행록>의 메인스토리인 유연의 서사는 ‘우순의 서사’ 중 우순의 효우담을 근간으로 하여 유연의 효우담을 구성하였다. <유효공선행록>의 서브스토리인 태자의 서사는 ‘우순의 서사’ 중 우순의 성군담과 ‘명효종의 역사’에서 나타나는 효종의 성군담을 근간으로 태자의 성군담을 구성하였다. 이런 점에서 효우담으로서 유연의 서사와 성군담으로서 태자의 서사는 선행텍스트를 상호 보완적 관계로 통합한 것이며, 성군담으로서 태자의 서사는 우순의 성군담과 함께 명효종의 성군담이라는 유사한 의미를 지닌 서사를 중첩적으로 재현하여 <유효공선행록>을 다층적인 상호텍스트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인 상호텍스트 서사 구성은 독자의 독서 과정에 일정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독자는 <유효공선행록>을 읽으면서 1차적으로 텍스트와 지적인 소통을 활성화한다. 독자는 선행텍스트와 후행텍스트의 반복소를 찾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독자는 지적인 독서 활동을 활성화하고 분석적 소설 읽기를 하게 된다. 또한 2차적 독서 과정에서 독자는 소설 텍스트를 사이에 두고 당대의 윤리적 가치를 자기 신념으로 삼으면서 자기 의식을 수련하는 독서를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3차적 독서 과정에서 독자는 <유효공선행록>을 읽으면서 효우의식과 성군에 대해 공감과 비판의 양가적 태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텍스트적 관점에서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인 상호텍스트 서사 구성의 특질을 논의하고 이러한 서사 구성이 독자의 독서 과정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텍스트적 관점에서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인 상호텍스트 서사 구성의 특질을 논의하고 이러한 서사 구성이 독자의 독서 과정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유효공선행록>의 선행텍스트는 ‘우순의 서사’와 ‘명효종의 역사’이다. <유효공선행록>의 메인스토리인 유연의 서사는 ‘우순의 서사’ 중 우순의 효우담을 근간으로 하여 유연의 효우담을 구성하였다. <유효공선행록>의 서브스토리인 태자의 서사는 ‘우순의 서사’ 중 우순의 성군담과 ‘명효종의 역사’에서 나타나는 효종의 성군담을 근간으로 태자의 성군담을 구성하였다. 이런 점에서 효우담으로서 유연의 서사와 성군담으로서 태자의 서사는 선행텍스트를 상호 보완적 관계로 통합한 것이며, 성군담으로서 태자의 서사는 우순의 성군담과 함께 명효종의 성군담이라는 유사한 의미를 지닌 서사를 중첩적으로 재현하여 <유효공선행록>을 다층적인 상호텍스트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인 상호텍스트 서사 구성은 독자의 독서 과정에 일정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독자는 <유효공선행록>을 읽으면서 1차적으로 텍스트와 지적인 소통을 활성화한다. 독자는 선행텍스트와 후행텍스트의 반복소를 찾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독자는 지적인 독서 활동을 활성화하고 분석적 소설 읽기를 하게 된다. 또한 2차적 독서 과정에서 독자는 소설 텍스트를 사이에 두고 당대의 윤리적 가치를 자기 신념으로 삼으면서 자기 의식을 수련하는 독서를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3차적 독서 과정에서 독자는 <유효공선행록>을 읽으면서 효우의식과 성군에 대해 공감과 비판의 양가적 태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ulti-layered intertext narrative construction of Yuhyogongseonhaengnok from intertextual perspectives and explore their effect upon the reading process. The precedent texts of Yuhyogongseonhaengnok are The Narratives of Usun and The History of Myeonghyojong. The main story of Yuhyogongseonhaengnok, Yuyeon's narrative constructs the story of Yuyeon's filial piety and friendship based on Usun's story of filial piety and friendship in The Narratives of Usun. The sub-story of Yuhyogongseonhaengnok, the Prince's narrative constructs the Prince's story of a wise king based on Usun's story of a wise king in The Narratives of Usun and King Hyojong's story of a wise king depicted in The History of Myeonghyojong. In this regard, Yuyeon's narrative as a story of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nd the Prince's narrative as a story of a wise king are an integration of precedent texts in a complementary relation. Reproducing Usun's and Myeonhyojong's comparable narratives, the Prince's narrative as a story of a wise king makes Yuhyogongseonhaengnok a multi-layer intertext. This multi-layer intertext narrative construction of Yuhyogongseonhaengnok takes certain effects upon the reading process. In the first place, readers of Yuhyogongseonhaengnok have their intellectual communication activated with the text. They look for reciprocated elements in the precedent and the subsequent texts, during which process the readers are engaged in intellectual reading activities. In the second reading process, readers train their self-awareness by adopting the ethical values of the time as their faith. In the third reading process of Yuhyogongseonhaengnok, readers take a double-sided attitude of empathy and criticism towards the sense of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nd the concept of a wise k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ulti-layered intertext narrative construction of Yuhyogongseonhaengnok from intertextual perspectives and explore their effect upon the reading process. The precedent texts of Y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multi-layered intertext narrative construction of Yuhyogongseonhaengnok from intertextual perspectives and explore their effect upon the reading process. The precedent texts of Yuhyogongseonhaengnok are The Narratives of Usun and The History of Myeonghyojong. The main story of Yuhyogongseonhaengnok, Yuyeon's narrative constructs the story of Yuyeon's filial piety and friendship based on Usun's story of filial piety and friendship in The Narratives of Usun. The sub-story of Yuhyogongseonhaengnok, the Prince's narrative constructs the Prince's story of a wise king based on Usun's story of a wise king in The Narratives of Usun and King Hyojong's story of a wise king depicted in The History of Myeonghyojong. In this regard, Yuyeon's narrative as a story of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nd the Prince's narrative as a story of a wise king are an integration of precedent texts in a complementary relation. Reproducing Usun's and Myeonhyojong's comparable narratives, the Prince's narrative as a story of a wise king makes Yuhyogongseonhaengnok a multi-layer intertext. This multi-layer intertext narrative construction of Yuhyogongseonhaengnok takes certain effects upon the reading process. In the first place, readers of Yuhyogongseonhaengnok have their intellectual communication activated with the text. They look for reciprocated elements in the precedent and the subsequent texts, during which process the readers are engaged in intellectual reading activities. In the second reading process, readers train their self-awareness by adopting the ethical values of the time as their faith. In the third reading process of Yuhyogongseonhaengnok, readers take a double-sided attitude of empathy and criticism towards the sense of filial piety and friendship and the concept of a wise k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 상호텍스트 구성의 양상
      • 1) 효우담으로서의 유연의 서사
      • 2) 성군담으로서의 태자의 서사
      • 3)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 상호텍스트 구성의 특징
      • 1. 서론
      • 2.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 상호텍스트 구성의 양상
      • 1) 효우담으로서의 유연의 서사
      • 2) 성군담으로서의 태자의 서사
      • 3)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 상호텍스트 구성의 특징
      • 3. <유효공선행록>의 다층적 상호텍스트 구성과 독서 과정
      • 1) 상호텍스트의 다층적 구성 파악과 지식 소통의 독서
      • 2) 상호텍스트의 의미 파악과 자기 의식 수련의 독서
      • 3) <유효공선행록>의 통합적 의미 파악과 공감과 비판의 독서
      •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백효, "현토완역 서경집전" 전통문화연구회 1998

      2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 민음사 179-226, 2004

      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193-210, 2004

      4 진순신, "진순신 이야기중국사 6" 살림 167-175, 2014

      5 앤 팔루던, "중국황제" 갑인공방 170-180, 2004

      6 중국사학회, "중국통사 4" 범우 74-83, 2013

      7 후민․마쉐창, "중국을 말한다 3" 신원 117-125, 2008

      8 임종욱,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412-446, 2010

      9 박일용, "유효공선행록의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식 재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5 : 151-176, 1995

      10 최길용, "유효공선행록연작 연구" 국어국문학회 107 : 131-160, 1992

      1 성백효, "현토완역 서경집전" 전통문화연구회 1998

      2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 민음사 179-226, 2004

      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193-210, 2004

      4 진순신, "진순신 이야기중국사 6" 살림 167-175, 2014

      5 앤 팔루던, "중국황제" 갑인공방 170-180, 2004

      6 중국사학회, "중국통사 4" 범우 74-83, 2013

      7 후민․마쉐창, "중국을 말한다 3" 신원 117-125, 2008

      8 임종욱,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412-446, 2010

      9 박일용, "유효공선행록의 형상화 방식과 작가의식 재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5 : 151-176, 1995

      10 최길용, "유효공선행록연작 연구" 국어국문학회 107 : 131-160, 1992

      11 양혜란, "유효공선행록에 나타난 전통적 가족윤리의 제문제" 한국고소설학회 4 : 253-292, 1998

      12 이승복, "유효공선행록에 나타난 孝友의 의미와 作家意識" 서울대 국어교육과 19 : 162-184, 1991

      13 임치균, "유효공선행록 연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4 : 209-229, 1989

      14 사마천, "사기본기" 까치 1994

      15 이지하, "대하소설 속 親同氣 간 善惡 구도와 그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339-361, 2013

      16 이지하, "고전장편소설과 여성의 효의식 -<유효공선행록>과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 171-200, 2005

      17 송성욱, "고전소설에 나타난 부의 양상과 그 세계관"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5 : 151-171, 1990

      18 조광국, "閥閱小說의 孝 具現 樣相에 대한 연구-閥閱小說 전개의 한 측면: ?柳孝公善行錄?, ?嚴氏孝門淸行錄?, ?報恩奇遇錄?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135-162, 2005

      19 林廷淸, "明史硏究的新成果-《弘治帝》 读后" 3 : 78-79, 1996

      20 阵时龙, "守成令主-朱祐樘小传" 故宮博物院 8 : 24-25, 2009

      21 김문희, "『劉孝公善行錄』의 인물에 대한 共感과 距離化의 讀書心理"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9 (39): 231-256, 2011

      22 최윤희, "<유효공선행록>이 보이는 유연 형상화의 두 양상" 한국문학회 (41) : 189-209, 2005

      23 정혜경, "<유효공선행록>의 孝悌 담론과 문제의식" 우리문학회 (44) : 287-324, 2014

      24 장시광, "<유효공선행록>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 배달말학회 (45) : 217-255, 2009

      25 조광국, "<유효공선행록>에 구현된 閥閱家門의 自己更新" 한중인문학회 (16) : 145-170, 2005

      26 조광국, "<유효공선행록>과 <옥원전해>의 옹서대립담 고찰" 한국고전문학회 (36) : 165-188, 2009

      27 김기동, "<유효공선행록>, 필사본고소설전집 15, 16" 아세아문화사 1980

      28 김성철, "<유효공선행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29 강우규, "<유효공선행록> 계후갈등의 서술전략과 의미" 중앙어문학회 57 : 35-5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7 1.6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