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50년대 실존주의라는 철학사조의 수용에 대한 연구사이다. 특히 이 글은 50년대 한국 지성사의 공백을 메우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50년대에 실존주의가 한국 지성사회에 가장 큰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27926
2010
Korean
박종홍 ; 조가경 ; 1950년대 실존주의 ; 실존주의 ; 근대화 담론 ; 전통 ; Park Jong Hong ; Cho Kah Kyung ; Existentialism of the 1950's ; Existentialism ; Tradition ; Modernization Discourse
100
KCI등재
학술저널
1-3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50년대 실존주의라는 철학사조의 수용에 대한 연구사이다. 특히 이 글은 50년대 한국 지성사의 공백을 메우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50년대에 실존주의가 한국 지성사회에 가장 큰 영...
이 글은 50년대 실존주의라는 철학사조의 수용에 대한 연구사이다. 특히 이 글은 50년대 한국 지성사의 공백을 메우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50년대에 실존주의가 한국 지성사회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철학의 분야에서 이 시대의 실존주의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실존주의가 50년대 한국 철학계에 수용되는 방식을 박종홍과 조가경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실존주의가 50년대 철학계에서 수용되는 방식을 분명히 하기 위해 전통과 현대의 화합의 가능성이라는 당대의 중요한 지적 논쟁의 맥락에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 글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부분에서 다루어지는 것은 50년대 박종홍과 조가경이 실존주의에 대해 취한 입장의 비교 분석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50년대에 존재했던 한국 지식사회에서 진행된 ‘전통’ 논쟁과 관련하여 박종홍과 조가경이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러면서도 박종홍과 조가경이 동양과 서양의 창조적인 만남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차이점도 분석할 것이다. 박종홍은 유학의 전통을 그리고 조가경은 노장사상의 전통을 비판적으로 섭취하여 동양과 서양의 만남을 모색한다는 점을 들어 이두 철학자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분명히 한다.
마지막으로 다루어지는 쟁점은 50년대 한국의 지식인 사회의 공통적인 화두였던 근대화론에 대해 박종홍과 조가경이 어떤 입장을 보이는가 하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우리는 박종홍이 왜 60년대에 박정희가 주도하는 개발 독재적 근대화의 길에 동참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한국의 지성사에서 50년대와 60년대의 연속성과 단절이라는 문제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조가경은 근대화 담론에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그것은 박종홍과 과연 유의미한 차이점을 안고 있었는지 하는 문제도 분석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d to analyse how the existential philosophy was received in South-korea of the 1950's. This article is focusing on Park Jong Hong and Cho Kah Kyung, who were leading philosophers in the 1950's and had played a crucial ro...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d to analyse how the existential philosophy was received in South-korea of the 1950's. This article is focusing on Park Jong Hong and Cho Kah Kyung, who were leading philosophers in the 1950's and had played a crucial role in receiving the existentialism in 1950's.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the author analysed that two important philosophers(Park Jong Hong and Cho Kah Kyung) of 1950's have an ambivalent attitude about the existential philosophy. At the same time the author tried to shed light on subtle differences in their interpretations of existentialism. In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I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se two philosophers about the possibilities of creative discussion between western existential philosophy and eastern traditional philosophical thoughts.
In the final part the author treated the problem of 'modernization discourse' in the 1950's. The author analysed how Park Jong Hong and Cho Kah Kyung of 1950's had thought about the methods and courses of modernization of Korea. This analysis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for us to research further for the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the history of intellectual idea of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