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대전광역시 월평공원과 전북 격포해수욕장 주변 야생화와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과 생리 활성 = Isolation of Wild Yeasts and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Unrecorded Wild Yeasts Obtained from Flowers and Soils of the Wolpyung Park, Daejeon City and Gykpo Beach, Buan, Jeollabuk-do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5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사람들이 다녀가는 도시공원과 해변 환경의 효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광역시 월평공원 갑천 누리길과 내원사 주변의 야생화와 토양 75점에서 모두 88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

      많은 사람들이 다녀가는 도시공원과 해변 환경의 효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광역시 월평공원 갑천 누리길과 내원사 주변의 야생화와 토양 75점에서 모두 88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또한 전북 부안의 격포해수욕장과 격포항 주변 야생화와 토양 35점에서 30균주의 야생 효모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야생 효모들 중A. porosum ASCM32-1, A. scarabaeorum WP49-1, C. athensensis WP4-90-3, C. berkhoutiae WP34-2, C. bracarensis WP35-1, Cy. amylophila GP19-1, K. gamospora WP9-1, M. carpophila BN-17-1, T. namnaoensis WP4-89-1, V. taibaiensis WP13-2 등 10종의 국내 미기록종 후보 균주들을 선별하여 균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 주로 구형~타원형으로 모두 출아방식으로 영양 증식을 하였고V. taibaiensis WP13-2와 K. gamospora WP9-1, C. athensensis WP4-90-3 외 7종의 미기록 효모들은 자낭포자를 형성하지 않은 무포자 효모들이었으며A. porosum ASCM32-1만이 의균사를 생성하였다. 대부분의 균주들은 YPD 배지와 YM 배지에서 생육하였고V. taibaiensis WP13-2와K. gamospora WP9-1, T. namnaoensis WP4-89-1 균주들은 1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생육하는 호염성 효모들이었고, Cy. amylophila GP19-1 균주는 40˚C에서도 생육하였다. C. athensensis WP4-90-3 균주 등 5균주들이 10% 에탄올 내성을 보였고C. athensensis WP4-90-3 균주는 Li<sup>2+</sup> 등 많은 중금속들에 대해서 내성을 보였다. 국내 미기록 효모들과 비병원성 야생 효모 균주 무세포추출물들의 β-glucuronidase 저해 활성은 C. oleophila WP5-19-1의 무세포 추출물이 49.0%로 가장 높았고 미기록 효모인K. gamospora WP9-1의 무세포 추출물도 27.7%를 보였다. 호중구 elastase 저해 활성은W. anomalus HO9-2가 38.4%로 우수하여 건강 소재로 생산에 매우 유용한 균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solate wild yeasts obtained from flowers and soil of the Wolpyung park, Daejeon city and Gykpo beach, Buan, Jeollabuk-do in Korea, and to further characterize previously unrecorded wild yeast strains. In total, 88 strains of 62 di...

      This study aimed to isolate wild yeasts obtained from flowers and soil of the Wolpyung park, Daejeon city and Gykpo beach, Buan, Jeollabuk-do in Korea, and to further characterize previously unrecorded wild yeast strains. In total, 88 strains of 62 different species of wild yeasts were isolated from 75 samples obtained from the Wolpyung park. Among these, six strains of Trichosporon moniliiforme and four strains each of Papiliotrema flavescens and Candida melibiosica were isolated. Additionally, 39 strains of 30 different species of wild yeasts were isolated from 35 samples collected from the Gykpo beach. Among the 127 isolated wild yeast strains, 10 strains, including Apiotrichum porosum ASCM32-1, were previously unrecorded. All the 10 previously unrecorded yeasts were oval or global in shape, and three strains, including Candida athensensis WP4-90-3, formed spores. Three strains, including Vishniacozyma taibaiensis WP13-2, were halophilic yeasts which grew in 15% NaCl-containing YPD(yeast extract-peptone-dextrose) medium. Five strains, including C. athensensis WP4-90-3, showed 15% ethanol resistance. Cell-free extracts from Candida oleophila WP5-19-1 and Wickerhamomyces anomalus HO9-2 showed the highest β-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49.0%) and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38.4%),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민, "향신료 재배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균학회 47 (47): 75-81, 2019

      2 김지윤, "향신료 재배 토양과 주변 산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한국균학회 48 (48): 151-160, 2020

      3 현세희, "한밭 수목원의 과일과 꽃으로부터 효모의 분리" 한국균학회 42 (42): 178-182, 2014

      4 현세희, "충남 예산군 신암면 일대 과수원의 과일과 꽃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분포 특성" 한국균학회 42 (42): 21-27, 2014

      5 한상민, "충남 서천군 갈대밭 주변 토양에서 야생효모의 분리 및 미기록종 특성" 한국균학회 45 (45): 234-240, 2017

      6 한상민, "전라북도 덕유산 일대의 야생화에서 효모의 분리 동정 및 생리기능성" 한국균학회 43 (43): 47-52, 2015

      7 현세희, "전라북도 고군산열도의 선유도 일대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생리기능성" 한국균학회 42 (42): 201-206, 2014

      8 한상민, "우리나라 야생화에서 분리한 효모의 항산화 활성과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균학회 43 (43): 99-103, 2015

      9 한상민, "세종특별자치시 주변의 금강 중류 물과 토양에서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의 특성" 한국균학회 47 (47): 51-61, 2019

      10 한상민, "서울특별시 허브공원 토양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동정 및 미기록 효모의 특성" 한국균학회 44 (44): 108-112, 2016

      1 한상민, "향신료 재배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균학회 47 (47): 75-81, 2019

      2 김지윤, "향신료 재배 토양과 주변 산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특성" 한국균학회 48 (48): 151-160, 2020

      3 현세희, "한밭 수목원의 과일과 꽃으로부터 효모의 분리" 한국균학회 42 (42): 178-182, 2014

      4 현세희, "충남 예산군 신암면 일대 과수원의 과일과 꽃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분포 특성" 한국균학회 42 (42): 21-27, 2014

      5 한상민, "충남 서천군 갈대밭 주변 토양에서 야생효모의 분리 및 미기록종 특성" 한국균학회 45 (45): 234-240, 2017

      6 한상민, "전라북도 덕유산 일대의 야생화에서 효모의 분리 동정 및 생리기능성" 한국균학회 43 (43): 47-52, 2015

      7 현세희, "전라북도 고군산열도의 선유도 일대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생리기능성" 한국균학회 42 (42): 201-206, 2014

      8 한상민, "우리나라 야생화에서 분리한 효모의 항산화 활성과 Xanthine Oxidase 및 Tyrosinase 저해활성" 한국균학회 43 (43): 99-103, 2015

      9 한상민, "세종특별자치시 주변의 금강 중류 물과 토양에서 야생 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의 특성" 한국균학회 47 (47): 51-61, 2019

      10 한상민, "서울특별시 허브공원 토양으로부터 야생 효모의 분리, 동정 및 미기록 효모의 특성" 한국균학회 44 (44): 108-112, 2016

      11 김하근, "동해안 하조대와 경포대 해수욕장 주변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균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한국균학회 47 (47): 249-258, 2019

      12 한상민,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밭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동정" 한국균학회 44 (44): 1-7, 2016

      13 한상민, "대전광역시 옥녀봉과 연자산 나뭇잎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의 특성" 한국균학회 45 (45): 23-30, 2017

      14 한상민, "대전광역시 도시 자연공원 부엽토와 주변 산림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동정 및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특성" 한국균학회 46 (46): 75-82, 2018

      15 한상민, "대전광역시 대전천과 갑천 및 유등천의 물과 주변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의 분리 및 분포 특성" 한국균학회 45 (45): 259-269, 2017

      16 민진홍, "대전 계족산과 충남 오서산 및 전북 백암산 주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한국균학회 41 (41): 47-51, 2013

      17 한상민, "대둔산과 칠갑산 나뭇잎에서 야생효모들의 분리 및 특성" 한국균학회 45 (45): 31-42, 2017

      18 한상민, "낙동강과 영산강 담수와 주변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동정" 한국균학회 44 (44): 350-354, 2016

      19 한상민, "낙동강 상주보와 금강중류 대청댐 주변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한국균학회 48 (48): 237-249, 2020

      20 한상민, "금강 중류 공주시 주변 물과 토양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 특성" 한국균학회 46 (46): 98-104, 2018

      21 김정선, "국내에 서식하는 꽃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 분포 및 종 다양성" 한국균학회 48 (48): 475-484, 2020

      22 현세희, "경북 울릉도와 경남 욕지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종 분포 특성" 한국균학회 42 (42): 28-33, 2014

      23 현세희, "경기도와 제주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동정 및 항통풍성Xanthine oxidase 저해물질의 생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1 (41): 383-390, 2013

      24 오은희, "β-Glucuronidase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결명자를 첨가한 상황 균사체 배양액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620-628, 2012

      25 Jeon Yu-Jeong, "Seven Yeast Strains Isolated from Freshwaters for the First Record in Korea" 한국균학회 48 (48): 523-531, 2020

      26 Lee JS,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osmotolerant and gas-producing yeasts from traditional Doenjang and Kochujang" 5 : 54-58, 1996

      27 Lee IS, "Pleurone, a novel human neutrophil elastase inhibitor from the fruiting bodies of the mushroom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64 : 587-589, 2011

      28 현세희,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New Records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Yokjido, Korea" 한국균학회 42 (42): 198-202, 2014

      29 Sang-Min Ha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Collected around Jangseong Lake in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the Unrecorded Yeast Bullera coprosmaensis" 한국균학회 43 (43): 266-271, 2015

      30 Rhee YK, "Inhibitory effect of Zizyphi fructus on β-glucuronidase and tryptophanase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30 : 199-205, 1998

      31 Li ZP, "Human neutrophil elastase(HNE)inhibitory polyprenylated acylphloroglucinols from the flowers of Hypericum ascyron" 90 : 103075-, 2019

      32 Lee JS, "Enzyme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yeasts from traditional Meju" 25 : 448-453, 1997

      33 Han MJ, "Effect of mushrooms on the growth of intestinal lactic acid bacteria" 28 : 947-952, 1996

      34 Kim DH, "Effect of artificially cultured Phellinus linteus on harmful intestinal bacterial enzymes and rat intestinal α-glucosidases" 13 : 20-23, 1998

      35 Ju-Kyeong Eo, "Diversity of Foliar Endophytic Fungi Inhabiting Coniferous Trees in Korea" 한국균학회 46 (46): 205-212,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1 0.69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