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96년 12월 13일 영월 지진의 진도 및 에너지감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nsity and Energy Attenuation of the 13 December 1996 Yeongweol Earthquake,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6년 12월 13일 강원도 영월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설문 조사를 남한 전지역에 걸친 262개 지역에서 실시하고 진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남한 지역에서의 지진 에너지 감쇠특성을 분석하였다. 진도평가 결과 이번 지진은 남한지역에서 진도II~진도VIII 사이의 분포를 보이나 남한 일대의 전반적인 진도분포를 잘 보여주고 있다. 진도 VI이상의 지역에서는 벽에 금이 가는 등 상당한 지진피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등진도도에서 나타난 가장 현저한 특징은 이 지진의 규모가 기상청에서 4.5로 보고된 점을 감안할 때 감진 지역이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 전지역을 포함하여 타 지진의 경우보다 두드러지게 넓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이 지진도 규모가 실제 보다 낮게 평가되었거나 진원의 심도가 보다 깊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지진이 기상청 발표과 같이 진원심도가 10km 이하인 천발지진이라고 가정할 때 등진도도에서 진도 IV에서 VII사이의 등진도 등고선에 의해 둘러싸인 감진 지역의 면적으로부터 규모를 산정한 결과 규고가 평균 5.4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원거리 지진기록을 이용한 보다 정밀한 규모 및 진원 깊이의 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1996년 12월 13일 강원도 영월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설문 조사를 남한 전지역에 걸친 262개 지역에서 실시하고 진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남한 지역에서의 지진 에너지 감쇠특성을 분석하였...

      1996년 12월 13일 강원도 영월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설문 조사를 남한 전지역에 걸친 262개 지역에서 실시하고 진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남한 지역에서의 지진 에너지 감쇠특성을 분석하였다. 진도평가 결과 이번 지진은 남한지역에서 진도II~진도VIII 사이의 분포를 보이나 남한 일대의 전반적인 진도분포를 잘 보여주고 있다. 진도 VI이상의 지역에서는 벽에 금이 가는 등 상당한 지진피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등진도도에서 나타난 가장 현저한 특징은 이 지진의 규모가 기상청에서 4.5로 보고된 점을 감안할 때 감진 지역이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 전지역을 포함하여 타 지진의 경우보다 두드러지게 넓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이 지진도 규모가 실제 보다 낮게 평가되었거나 진원의 심도가 보다 깊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지진이 기상청 발표과 같이 진원심도가 10km 이하인 천발지진이라고 가정할 때 등진도도에서 진도 IV에서 VII사이의 등진도 등고선에 의해 둘러싸인 감진 지역의 면적으로부터 규모를 산정한 결과 규고가 평균 5.4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원거리 지진기록을 이용한 보다 정밀한 규모 및 진원 깊이의 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intensity survey on the 13 December 1996 Yeogweol earthquake has mode for 262 locations throughout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n we investigated attenuation properties in the south Korean region as well as intensities distribution. In this study, intensities are estimated to be from II to possibly VIII. The iso-seismal intensity map we obtained shows general pattern of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south korean region quite clearly despite the inherent uncertainties included in the process of intensity estimation. In case of intensity larger than VI, considerable damages such as fracturing walls are frequently reported. One of the significant feature of this intensity map is, considering its magnitude 4.5 reported by KMA, the felt area is unusually large covering most of the Korean Peninsular except Cheju island. This result indicates either the magnitude is under estimated or the focal depth is much deeper than expected. Assuming indicates either the magnitude is under estimated or the focal depth is much deeper than expected. Assuming shallow earthquake whose focal depth is by iso-seismal contour lines for intensity IV to VII, respectively. To resolve this ambiguity, more reliable estimation of focal depth and magnitude by using telesesmic instrumental record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번역하기

      An intensity survey on the 13 December 1996 Yeogweol earthquake has mode for 262 locations throughout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n we investigated attenuation properties in the south Korean region as well as intensities distribution. In thi...

      An intensity survey on the 13 December 1996 Yeogweol earthquake has mode for 262 locations throughout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n we investigated attenuation properties in the south Korean region as well as intensities distribution. In this study, intensities are estimated to be from II to possibly VIII. The iso-seismal intensity map we obtained shows general pattern of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south korean region quite clearly despite the inherent uncertainties included in the process of intensity estimation. In case of intensity larger than VI, considerable damages such as fracturing walls are frequently reported. One of the significant feature of this intensity map is, considering its magnitude 4.5 reported by KMA, the felt area is unusually large covering most of the Korean Peninsular except Cheju island. This result indicates either the magnitude is under estimated or the focal depth is much deeper than expected. Assuming indicates either the magnitude is under estimated or the focal depth is much deeper than expected. Assuming shallow earthquake whose focal depth is by iso-seismal contour lines for intensity IV to VII, respectively. To resolve this ambiguity, more reliable estimation of focal depth and magnitude by using telesesmic instrumental record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