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의 감염병 위기관리체계를 비교 검토하여 메르스와 같은 감염병 발생시 효율적인 위기관리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은 위기발생시 재난 및 안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3459
2015
-
300
KCI등재
학술저널
219-242(24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의 감염병 위기관리체계를 비교 검토하여 메르스와 같은 감염병 발생시 효율적인 위기관리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은 위기발생시 재난 및 안전...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의 감염병 위기관리체계를 비교 검토하여 메르스와 같은 감염병 발생시 효율적인 위기관리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은 위기발생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근거로 국민안전처가 총괄기능을 수행하나, 감염병 분야는 보건복지부가 주관부처 역할을 수행하며, 주로 위기경보단계별 조치사항에 따라 위기활동이 이루어진다. 미국은 스태포드법을 근간으로 국가재난대응체계에 따라 연방위기관리처의 총체적 책임 하에 보건부 산하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대유행 단계(0-6단계)별 연방정부의 대응조치를 정립함으로써 위기관리에 있어 유기적 연계체계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감염병에 따른 국가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조치법, 정부 행동계획 등을 정비하고, 이에 따라 미발생 단계부터 해외 발생 단계, 국내 발생 초기 단계, 국내 감염 단계, 소강 단계까지 5개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3개국의 위기관리체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위기관리체계의 법, 조직, 활동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고, 제2의 메르스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감염병 특이적인 사항들로 구체화하며, 실효성 있는 위기관리활동체계로 재정립할 것을 제안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호택,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 개선방안-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6 (6): 235-243, 2006
2 채정호, "해외 방문 현황 조사를 통한 (가칭)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모형 및 운영체계 개발" 보건복지부 2014
3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책 특별위원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책 특별위원회 활동결과보고서" 대한민국 국회 2015
4 김은경,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4 (14): 69-76, 2013
5 이종구, "인플루엔자 범유행 대응 정책" 대한의사협회 53 (53): 52-58, 2010
6 손영수, "의학분야에서의 국가위기관리에 대한 논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 (1): 64-84, 2005
7 서정표, "우리나라의 재해구호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3 (13): 185-193, 2013
8 보건복지부,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계획" 보건복지부 2006
9 전병율, "신종 감염병 감염관리 현황과 대처방안" 9 (9): 7-26, 2015
10 신의철, "세계 각국의 감염병 관련 공중보건대응체계 현황분석" 질병관리본부 2014
1 최호택,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지방정부 역할 개선방안-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6 (6): 235-243, 2006
2 채정호, "해외 방문 현황 조사를 통한 (가칭)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모형 및 운영체계 개발" 보건복지부 2014
3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책 특별위원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책 특별위원회 활동결과보고서" 대한민국 국회 2015
4 김은경,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4 (14): 69-76, 2013
5 이종구, "인플루엔자 범유행 대응 정책" 대한의사협회 53 (53): 52-58, 2010
6 손영수, "의학분야에서의 국가위기관리에 대한 논의"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 (1): 64-84, 2005
7 서정표, "우리나라의 재해구호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3 (13): 185-193, 2013
8 보건복지부,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계획" 보건복지부 2006
9 전병율, "신종 감염병 감염관리 현황과 대처방안" 9 (9): 7-26, 2015
10 신의철, "세계 각국의 감염병 관련 공중보건대응체계 현황분석" 질병관리본부 2014
11 김현주, "국외 감염병 대응체계 사례" 2015 : 30-33, 2015
12 정지범, "국민안전과 정부의 위기관리" 14-17, 2015
13 길병옥, "국가위기관리의 현황과 정책적 과제" 83-107, 2009
14 행정안전부, "국가 위기관리 매뉴얼 정비 추진"
15 이진용, "감염병관리사업 정책개발" 질병관리본부 2011
16 보건복지부, "감염병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17 서재호, "감염병 대응 방역체계 개편방안"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5-50, 2015
18 中央防災会議, "防災基本計画" 2015
19 内閣府, "日本の災害対策" 2015
20 内閣官房, "新型インフルエンザ等対策政府行動計画等" 2013
21 WHO, "Pandemic Influenza Risk Management WHO interim Guidance"
22 WHO,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and Response" 2009
23 Homeland Security Council, "National Strategy for Pandemic Influenza: Implementation Plan" 2006
24 Fidler. David P, "From International Sanitary Conventions to Global Health Security: The new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 4 (4): 361-365, 2005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실태 평가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액 및 채택된 사업수의 변동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이주자 의료서비스정책 평가: MIPEX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9 | 1.16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