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Jacob Collier의 화성진행을 통한 Negative Harmony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816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음악전공,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 실용음악전공 , 2018.2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8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f Negative Harmony through Jacob Collier’s Chord Progression

      • 형태사항

        vi, 6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김영민
        참고문헌 : p. 52-53

      • UCI식별코드

        I804:11014-200000004753

      • 소장기관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중음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더 이상 쉬운 노래만이 듣기 좋은 노래라고 하는 시대는 지나갔으며, 작/편 곡가들은 언제나 새로운 창작 물을 내놓기 위해 부단히 공부하며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acob Collier라는 아티스트를 통하여 이제 막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Negative Harmony라는 이론을 발굴해내고 그것을 널리 알리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아직 국내외를 통틀어 Negative Harmony를 다루고 있는 서적이 없고, 지금까지 선행연구된 사례 또한 전혀 없었기 때문에 더욱 흥미가 생겨났으며, 인터넷상에 퍼져있는 자료들과 Youtube에 있는 인 터뷰 영상들을 기반으로 연구를 했다. 그래도 궁금증이 풀리지 않는 부 분은 한국에서 Negative Harmony를 처음으로 알려주신 분께도 질문하 였고, 일본에서 Negative Harmony를 연구하고 있는 피아니스트를 소개 받아서 도움을 요청하며 연구에 몰두했다. 그 결과 Negative Harmony 는 기존의 화성학보다는 상위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작곡의 단계 보다는 편곡의 단계에서 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 를 통하여 Negative Harmony가 대중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 이 용이한 이론이 되기를 희망한다.
      번역하기

      대중음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더 이상 쉬운 노래만이 듣기 좋은 노래라고 하는 시대는 지나갔으며, 작/편 곡가들은 언제나 새로운 창작 물을 내놓기 위해 부단히 공부하며 노력하고 ...

      대중음악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더 이상 쉬운 노래만이 듣기 좋은 노래라고 하는 시대는 지나갔으며, 작/편 곡가들은 언제나 새로운 창작 물을 내놓기 위해 부단히 공부하며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acob Collier라는 아티스트를 통하여 이제 막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Negative Harmony라는 이론을 발굴해내고 그것을 널리 알리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아직 국내외를 통틀어 Negative Harmony를 다루고 있는 서적이 없고, 지금까지 선행연구된 사례 또한 전혀 없었기 때문에 더욱 흥미가 생겨났으며, 인터넷상에 퍼져있는 자료들과 Youtube에 있는 인 터뷰 영상들을 기반으로 연구를 했다. 그래도 궁금증이 풀리지 않는 부 분은 한국에서 Negative Harmony를 처음으로 알려주신 분께도 질문하 였고, 일본에서 Negative Harmony를 연구하고 있는 피아니스트를 소개 받아서 도움을 요청하며 연구에 몰두했다. 그 결과 Negative Harmony 는 기존의 화성학보다는 상위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작곡의 단계 보다는 편곡의 단계에서 주로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 를 통하여 Negative Harmony가 대중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 이 용이한 이론이 되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pular music is continuously evolving. The era of easy listening music is gone. Now, song writers and arrangers are putting enormous effort to create new and different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brand new theory, called ‘Negative Harmony’, which is introduced by the artist, Jacob Collier. I got fascinated by this topic since it was not possible to find any book or study on ‘Negative Harmony.’ So my study is based on information on internet and interview videos on YouTube. Further questions were answered by Korean pioneer who introduced ‘Negative Harmony’ and Japanese pianist who was studying on this topic. As a result, I found ‘Negative Harmony’ was considered as a super ordinate concept and used in the arrangement stage than songwriting stage. With my study, I strongly believe ‘Negative Harmony’ will become more popular theory which has easy access for everyone.
      번역하기

      Popular music is continuously evolving. The era of easy listening music is gone. Now, song writers and arrangers are putting enormous effort to create new and different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brand new theory, called ‘...

      Popular music is continuously evolving. The era of easy listening music is gone. Now, song writers and arrangers are putting enormous effort to create new and different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brand new theory, called ‘Negative Harmony’, which is introduced by the artist, Jacob Collier. I got fascinated by this topic since it was not possible to find any book or study on ‘Negative Harmony.’ So my study is based on information on internet and interview videos on YouTube. Further questions were answered by Korean pioneer who introduced ‘Negative Harmony’ and Japanese pianist who was studying on this topic. As a result, I found ‘Negative Harmony’ was considered as a super ordinate concept and used in the arrangement stage than songwriting stage. With my study, I strongly believe ‘Negative Harmony’ will become more popular theory which has easy access for every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vi
      • 제1장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 3
      • 국문 요약 vi
      • 제1장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 3
      • 제2장 본론 5
      • 1. Negative Harmony를 이해하기 위한 재즈화성이론 5
      • (1) Dominant 7th Chord 6
      • ① Primary Dominant 7
      • ② Secondary Dominant 8
      • ③ Related IIm7 11
      • ④ Extended Dominant 12
      • ⑤ Non Resolving Dominant 13
      • (2) Subdominant minor 14
      • ① Subdominant minor의 정의 14
      • ② Subdominant minor의 적용 15
      • ③ Subdominant minor의 Chord Scale 16
      • 2. Negative Harmony를 이해하기 위한 Schoenberg의 범조성 17
      • (1) Schoenberg의 무조음악 17
      • (2) Schoenberg의 12음 기법 18
      • (3) Schoenberg의 영향을 받은 음악가들 20
      • (4) Symmetry 22
      • (5) Mirror Harmony 23
      • 3. Negative Harmony 26
      • (1) Negative Harmony의 정의 26
      • (2) 사용하는 방법과 절차28
      • (3) Chord Pattern의 색깔과 특징 34
      • (4) Negative Harmony와 Mirror Harmony의 공통점과 차이점 37
      • 4. Negative Harmony를 적용한 Jacob Collier의 작품분석 38
      • (1) Jacob Collier의 데뷔 & 무대 경력 38
      • (2) Jacob Collier의 곡 “Flintstones”를 통한 Negative Harmony의 분석 44
      • 5. 자작곡 “My Love”를 통한 Negative Harmony의 적용 46
      • (1) 자작곡 곡설명 46
      • (2) 자작곡 첨부 47
      • 제3장 결론 50
      • 참고문헌 52
      • Abstract 54
      • 부록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