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en"s Founders thought that an autocrat should be restrained his absolute power because they tried to establish the Chosen under the "BALANCEABLE AUTHORITY" between the retainers and the lord. Thus the king should be observed and 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44075
2008
-
360
KCI등재
학술저널
1-34(3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sen"s Founders thought that an autocrat should be restrained his absolute power because they tried to establish the Chosen under the "BALANCEABLE AUTHORITY" between the retainers and the lord. Thus the king should be observed and t...
Chosen"s Founders thought that an autocrat should be restrained his absolute power because they tried to establish the Chosen under the "BALANCEABLE AUTHORITY" between the retainers and the lord. Thus the king should be observed and the substantial power need to be dispersed. On the basis of this belief, the Founders made various regimes and codified the laws as a means to an end for checking the king"s absolute power. The Founders set out each system in Chosen for the permanence of political community. especially, the era of the end of the Korea Dynasty to the beginning of the Chosen Dynasty, Jung Do-jun and his companies who studied Sung Confucianism were absorbed to create specific political system in the concrete. Such conception was embodied by enacting The Code of Kyeng Kuk Tae Jeon which was taken 30years.<BR> Jung Do-jun led such systematization process to actualize the idealism of new dynasty after Chosen was established. He declared the legitimacy of Chosen Dynasty via framing a Message of Enthronement. In Korea Dynasty, each office ruled by its own precedents and rules, a coherent code was unsettled. Unlike Korea Dynasty, Chosen"s Founders tried settling a centralized national operating system through establishing the law regime. Jung Do-jun completed the Code of Chosen Kyeng Kuk Jeon which is the first code of constitutional law in Chosen Dynasty. The Chosen Kyeng Kuk Jeon influenced not only for the Kyung Je Yuk Jeon(the Code about Economy)but also the Code of Kyeng Kuk Tae Jeon. Compiling the code was the way of strengthening the nation"s public rights and the compelling power would be guarantied by the specific code. Chosen Dynasty put forth its ideology, Confucianism due to the compilation of codes and ruled by schola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진희권, "조선초기의 관료제의 성립과 정도전을 통해서 본 사상적 기반" (18) : -49,
2 이재룡, "조선시대의 규범이론과 규범체계 1권"
3 오영교, "조선 건국과 경국대전체제의 형성" 혜안 2004
4 삼봉정도전선생기념사업회, "정치가 정도전의 재조명" 경세원 2004
5 최상용, "정치가 정도전" 까치 2007
6 김인호, "정도전의 역사인식과 군주론의 기반 - <경제문감>의 분석을 중심으로 -"
7 김인호, "정도전의 역사인식과 군주론의 기반 - <경제문감>의 분석을 중심으로 -"
8 최상용, "전게서"
9 박병호, "전게서"
10 오영교, "전게서"
1 진희권, "조선초기의 관료제의 성립과 정도전을 통해서 본 사상적 기반" (18) : -49,
2 이재룡, "조선시대의 규범이론과 규범체계 1권"
3 오영교, "조선 건국과 경국대전체제의 형성" 혜안 2004
4 삼봉정도전선생기념사업회, "정치가 정도전의 재조명" 경세원 2004
5 최상용, "정치가 정도전" 까치 2007
6 김인호, "정도전의 역사인식과 군주론의 기반 - <경제문감>의 분석을 중심으로 -"
7 김인호, "정도전의 역사인식과 군주론의 기반 - <경제문감>의 분석을 중심으로 -"
8 최상용, "전게서"
9 박병호, "전게서"
10 오영교, "전게서"
11 윤국일, "전게서"
12 연명모, "전게서"
13 한영우, "전게서"
14 이한수, "전게서"
15 전봉덕, "전게서"
16 이재룡, "전게서"
17 최상용, "전게서"
18 김영수, "전게서"
19 김용옥, "전게서"
20 김영, "전게서"
21 한영우,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지식산업사 2006
22 최연식, "여말 선초의 권력구상" 32 (32): -31,
23 김난옥, "여말 선초 정치변동과 배타적 家門意識 - 정도전을 중심으로 -" (27) : -243,
24 이한수, "세종시대 ‘家’와 ‘國"
25 김용옥,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통나무 2004
26 연명모, "국가설계의 정치사상" 대경 2005
27 김영수, "건국의 정치" 이학사 2006
28 金錫根, "개혁과 혁명 그리고 주자학" (97) : -101,
29 田鳳德, "韓國近代法思想史" 博英社 1981
30 김상용, "韓國法史 중심 法史와 法政策" 한국법제연구원 2006
31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法文社 1983
32 윤국일, "經濟六典과 經國大典" 신서원 1998
경국대전체제에 나타난 유교적 법치주의의 구조와 성격 - 『조선왕조실록』 기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7-10-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ungKyunKwan Law Review | ![]() |
2008-05-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교법연구소 -> 법학연구소영문명 : Institute for Comparative Legal Studies ->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57 | 0.849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