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복분자주의 관광상품적 가치에 관한 연구 : 고창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ourism Product Value Of Bokbunja(Rubus coreanus Miquel)Wine : In Gochang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48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고창지역은 건강주의 인기상승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복분자주의 시장수요에 힘입어 고창군 일대를 복분자 산업 특구로 지정하고 복분자 축제를 여는 등 농촌 관광자원으로서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액에 따른 가치는 소비자의 구매 전 단계의 선택행동 뿐 아니라 구매 후 단계의 추천의향 및 재방문 행위에까지도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인지도가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가 구매행동, 구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고, 복분자주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요인 등을 파악하여 복분자주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관광 상품으로서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고창군의 관광 상품 개발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5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적 범위는 전라북도 고창군으로 한정시켜, 고창 선운산 및 국화 축제에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현재 고창의 특산품인 복분자주를 대상으로 하여 향후 그것이 관광 상품으로서 지니고 있는 가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Literature study)와 실증 연구(Empirical study)를 병행하였다.
      제2장의 이론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실증조사의 설계부분으로서 표본의 설계, 가설의 설정,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을 서술하였다.
      설문조사는 250부 중 200부가 유효 표본을 얻어 SPSS13.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가설검증을 위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과 차이검증(T-test, One-way ANOVA)을 활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증조사의 분석으로 응답자의 특성 및 기술통계특성과 인지도와 가치 추정 결과에 관한 실증분석의 결과에 대한 요약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가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명은 지각된 가치를 평가하는 변수로 설정하였기에 요인 1은 감정적 품질, 요인 2는 평판, 요인 3은 행동가격, 요인 4는 화폐가격으로 명명하였다.
      가설 검증결과 가설 Ⅰ, 가설 Ⅱ, 가설 Ⅲ, 가설 Ⅳ, 가설 Ⅴ는 회귀방정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위의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가설 Ⅵ의 복분자주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가설 Ⅵ-1은 기각, 가설 Ⅵ-2는 채택, 가설 Ⅵ-3은 기각되었다
      제5장은 결론부분으로 본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나아가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제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분자주의 관광상품 브랜드화이다.
      둘째, 품질 시스템 구축을 통해 고품질 복분자주의 생산이다.
      셋째, 고창 복분자주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고창 복분자주에 대한 지리적 표시제의 강화를 통해 복분자주 브랜드 가치의 고급화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고창 복분자 주류의 유통시장의 강화 및 점검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는 홍보/판촉의 측면과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지속적인 품질 증진 노력과, 가격과 함께 가격요인들을 낮출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복분자주 관련 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 있어 도출된 한계점은 연구의 대상적 범위에 있어 전라북도 고창군으로 한정시킨 점과, 고창 선운산 및 국화 축제에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정에 따른 짧은 조사기간으로 인한 부족한 표본수와 고창지역의 관광 상품개발에 있어 고창 복분자주의 상품개발만을 제시하고 있어 이를 실행할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고창의 관광 상품 개발의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고창지역은 건강주의 인기상승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복분자주의 시장수요에 힘입어 고창군 일대를 복분자 산업 특구로 지정하고 복분자 축제를 여는 등 농촌 관광자원으로서의 ...

      최근 고창지역은 건강주의 인기상승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복분자주의 시장수요에 힘입어 고창군 일대를 복분자 산업 특구로 지정하고 복분자 축제를 여는 등 농촌 관광자원으로서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금액에 따른 가치는 소비자의 구매 전 단계의 선택행동 뿐 아니라 구매 후 단계의 추천의향 및 재방문 행위에까지도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인지도가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가 구매행동, 구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고, 복분자주의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요인 등을 파악하여 복분자주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관광 상품으로서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고창군의 관광 상품 개발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5년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적 범위는 전라북도 고창군으로 한정시켜, 고창 선운산 및 국화 축제에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현재 고창의 특산품인 복분자주를 대상으로 하여 향후 그것이 관광 상품으로서 지니고 있는 가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Literature study)와 실증 연구(Empirical study)를 병행하였다.
      제2장의 이론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실증조사의 설계부분으로서 표본의 설계, 가설의 설정,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을 서술하였다.
      설문조사는 250부 중 200부가 유효 표본을 얻어 SPSS13.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가설검증을 위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과 차이검증(T-test, One-way ANOVA)을 활용하였다.
      제4장에서는 실증조사의 분석으로 응답자의 특성 및 기술통계특성과 인지도와 가치 추정 결과에 관한 실증분석의 결과에 대한 요약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가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요인명은 지각된 가치를 평가하는 변수로 설정하였기에 요인 1은 감정적 품질, 요인 2는 평판, 요인 3은 행동가격, 요인 4는 화폐가격으로 명명하였다.
      가설 검증결과 가설 Ⅰ, 가설 Ⅱ, 가설 Ⅲ, 가설 Ⅳ, 가설 Ⅴ는 회귀방정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위의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가설 Ⅵ의 복분자주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가설 Ⅵ-1은 기각, 가설 Ⅵ-2는 채택, 가설 Ⅵ-3은 기각되었다
      제5장은 결론부분으로 본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나아가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제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분자주의 관광상품 브랜드화이다.
      둘째, 품질 시스템 구축을 통해 고품질 복분자주의 생산이다.
      셋째, 고창 복분자주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고창 복분자주에 대한 지리적 표시제의 강화를 통해 복분자주 브랜드 가치의 고급화를 고려해야 한다.
      넷째, 고창 복분자 주류의 유통시장의 강화 및 점검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는 홍보/판촉의 측면과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지속적인 품질 증진 노력과, 가격과 함께 가격요인들을 낮출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복분자주 관련 관광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 있어 도출된 한계점은 연구의 대상적 범위에 있어 전라북도 고창군으로 한정시킨 점과, 고창 선운산 및 국화 축제에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정에 따른 짧은 조사기간으로 인한 부족한 표본수와 고창지역의 관광 상품개발에 있어 고창 복분자주의 상품개발만을 제시하고 있어 이를 실행할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고창의 관광 상품 개발의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wing to the explosively increasing market demand resulting from the popularity of health drink, Gochang area has been recently putting spurs to developing a rural tourist attraction of Bokbunja wine, by appointing the whole area of Gochang county to a special industrial zone and holding the Bokbunja fest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of enhancing the product value of Bokbunja wine and to find out its limitations on being a tourism product, ultimately aiming to propose about Gochang county's tourism product development. For the purpose, the study grasps the influence of awareness on perceived value,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on purchase behavior and oral transmission, and elements effecting perceived value of Bokbunja wine, on the assumption that value for money not only influences customers' choice behavior at the prepurchase phase but also affects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and return behavior at the postpurchase phase.
      To achieve the purpose effectively, time scope is set up to 2005 and the subject is limited to Gochang, Jeollabukdo - the tourists who visit Mount Seonun and Chrysanthemum Festival. The content of the study, which is about Bokbunja wine, one of Gochang's specialties, is an analysis of its future value as a tourism product.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study goes side by side with an empirical study.
      The second chapter is a theoretical research which examines the study setting and preceding studies.
      The third chapter is a planning of the empirical research which describes hypothesis establishment an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gets 200 valid samples out of 250 questionnaires, and SPSS13.0 is used to appl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hypothe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fourth chapter is an analysis of the empirical research, which presents a summary of respondent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n awareness and the result of value estim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 factors are drawn out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perceived value, and the names of the factors are set up by variances evaluating perceived value, so the factor 1 is named emotional quality, the factor 2 reputation, the factor 3 behavior price, and the factor 4 monetary price.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e regression equations of hypothesis Ⅰ, Ⅱ, Ⅲ, Ⅳ, and Ⅴ turn out to be significant, so the hypotheses are all accepted. In consequence of T-test and one-way ANOVA for identifying differences of perceived value of Bokbunja wine in hypothesis Ⅵ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ypothesis Ⅵ-2 is accepted, and hypothesis Ⅵ-1 and Ⅵ-3 are rejected.
      The fifth chapter is conclusion, which presents a summary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limit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Followings are the proposals.
      First, Bokbunja wine should be get a brand as a tourism product.
      Second, Bokbunja wine should be produced in high quality by constructing a quality system.
      Third, making the brand value of Bokbunja wine exclusive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strengthening the geographical indication system for Gochang's Bokbunja wine, to increase awareness.
      Fourth, strengthening and examining of the circulation market of Goghang's Bokbunja drinks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and connected with advertisement and promotion.
      Fifth, making a continuous effort to improve quality and to decrease pricing factors is necessary.
      Sixth, other tourism products related to Bokbunja wine need to be developed.
      The main limitations drawn out while conducting the research are that the study limited the subject scope to Gochang county in Jeollabukdo, that the sample was small because the research sampled only from visitors in Mount Seonun and Chrysanthemum Festival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at the study couldn't accompany more concrete operation program because only Bokbunja wine is suggested for developing Gochang's tourism products. So following studies may have to cover a concrete operation program about development of Gochang's tourism products.
      번역하기

      Owing to the explosively increasing market demand resulting from the popularity of health drink, Gochang area has been recently putting spurs to developing a rural tourist attraction of Bokbunja wine, by appointing the whole area of Gochang county to ...

      Owing to the explosively increasing market demand resulting from the popularity of health drink, Gochang area has been recently putting spurs to developing a rural tourist attraction of Bokbunja wine, by appointing the whole area of Gochang county to a special industrial zone and holding the Bokbunja fest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of enhancing the product value of Bokbunja wine and to find out its limitations on being a tourism product, ultimately aiming to propose about Gochang county's tourism product development. For the purpose, the study grasps the influence of awareness on perceived value,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on purchase behavior and oral transmission, and elements effecting perceived value of Bokbunja wine, on the assumption that value for money not only influences customers' choice behavior at the prepurchase phase but also affects their intention to recommend and return behavior at the postpurchase phase.
      To achieve the purpose effectively, time scope is set up to 2005 and the subject is limited to Gochang, Jeollabukdo - the tourists who visit Mount Seonun and Chrysanthemum Festival. The content of the study, which is about Bokbunja wine, one of Gochang's specialties, is an analysis of its future value as a tourism product.
      To attain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study goes side by side with an empirical study.
      The second chapter is a theoretical research which examines the study setting and preceding studies.
      The third chapter is a planning of the empirical research which describes hypothesis establishment and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The survey gets 200 valid samples out of 250 questionnaires, and SPSS13.0 is used to appl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hypothe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fourth chapter is an analysis of the empirical research, which presents a summary of respondent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on awareness and the result of value estim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 factors are drawn out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perceived value, and the names of the factors are set up by variances evaluating perceived value, so the factor 1 is named emotional quality, the factor 2 reputation, the factor 3 behavior price, and the factor 4 monetary price.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the regression equations of hypothesis Ⅰ, Ⅱ, Ⅲ, Ⅳ, and Ⅴ turn out to be significant, so the hypotheses are all accepted. In consequence of T-test and one-way ANOVA for identifying differences of perceived value of Bokbunja wine in hypothesis Ⅵ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ypothesis Ⅵ-2 is accepted, and hypothesis Ⅵ-1 and Ⅵ-3 are rejected.
      The fifth chapter is conclusion, which presents a summary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limit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Followings are the proposals.
      First, Bokbunja wine should be get a brand as a tourism product.
      Second, Bokbunja wine should be produced in high quality by constructing a quality system.
      Third, making the brand value of Bokbunja wine exclusive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strengthening the geographical indication system for Gochang's Bokbunja wine, to increase awareness.
      Fourth, strengthening and examining of the circulation market of Goghang's Bokbunja drinks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and connected with advertisement and promotion.
      Fifth, making a continuous effort to improve quality and to decrease pricing factors is necessary.
      Sixth, other tourism products related to Bokbunja wine need to be developed.
      The main limitations drawn out while conducting the research are that the study limited the subject scope to Gochang county in Jeollabukdo, that the sample was small because the research sampled only from visitors in Mount Seonun and Chrysanthemum Festival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at the study couldn't accompany more concrete operation program because only Bokbunja wine is suggested for developing Gochang's tourism products. So following studies may have to cover a concrete operation program about development of Gochang's tourism produ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감사의 글 = ⅳ
      • 목차 = ⅴ
      • 그림목차 = ⅷ
      • 표목차 = ⅸ
      • 국문초록 = ⅰ
      • 감사의 글 = ⅳ
      • 목차 = ⅴ
      • 그림목차 = ⅷ
      • 표목차 = ⅸ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 = 1
      • 1. 문제의 제기 = 1
      • 2. 연구의 목적 = 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5
      • 1. 연구의 범위 = 5
      • 2. 연구의 방법 = 5
      • 제3절 연구의 구성과 연구 흐름 = 6
      • 1. 연구의 구성 = 6
      • 2. 연구의 흐름 = 7
      •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 9
      • 제1절 관광 상품의 이론 = 9
      • 1. 관광 상품의 정의 = 9
      • 2. 관광 상품의 특성 = 10
      • 3. 관광 상품의 분류 = 13
      • 4. 관광 상품화 전략 = 15
      • 제2절 관광 상품 가치에 관한 이론 = 18
      • 1. 가치의 개념 = 18
      • 2. 지각된 관광 상품 가치의 개념 = 21
      • 3. 지각된 관광 상품 가치의 구성과 변화 = 25
      • 4. 지각된 관광 상품 가치의 측정 = 29
      • 제3절 가치의 구성변수 간 상호관계 = 32
      • 제4절 관광 상품 인지도 = 36
      • 1. 인지의 개념 = 36
      • 2. 브랜드와 복분자 = 37
      • 3. 브랜드 인지도의 개념 = 38
      • 4. 지역 특산품 복분자 인지도의 중요성 = 40
      • 5. 인지도에 관한 선행 고찰 = 42
      • 제5절 복분자의 일반적 특징과 현황 = 44
      • 1. 복분자의 의의 = 44
      • 2. 복분자의 특징 = 47
      • 3. 고창복분자의 품종 특성 = 47
      • 4. 복분자의 효능 = 48
      • 5. 우리나라 복분자 산업의 현황 = 51
      • 제6절 복분자의 관광 상품적 가치 = 57
      • 1. 관광객의 시대별 관광 상품 구매성향 = 57
      • 2. 관광 상품의 구매행동 특성 = 58
      • 3. 복분자의 관광 상품적 가치 = 60
      • 제3장 조사설계와 분석방법 = 61
      • 제1절 연구 모형 = 61
      • 제2절 변수설정 = 64
      • 1. 가치 = 64
      • 2. 가격 = 65
      • 제3절 가설설정 = 68
      • 1. 가설 Ⅰ = 69
      • 2. 가설 Ⅱ = 69
      • 3. 가설 Ⅲ = 70
      • 4. 가설 Ⅳ = 70
      • 5. 가설 Ⅴ = 70
      • 6. 가설 Ⅵ = 71
      • 제4절 조사설계 = 71
      • 1. 조사 목적 = 71
      • 2. 조사방법과 분석방법 = 72
      • 3. 설문지 구성 = 73
      • 제4장 실증분석결과와 종합토의 = 75
      • 제1절 자료분석 결과(측정척도 평가) = 75
      • 1. 표본의 구성(표본의 일반적 특성) = 75
      • 2. 신뢰도 검증 = 79
      • 제2절 실증분석 결과 = 81
      • 1. 요인분석 = 81
      • 2. 가설검증 = 84
      • 제3절 분석결과의 종합토의 = 91
      • 1. 분석결과의 요약 = 91
      • 2. 분석결과의 종합토의 = 95
      • 제5장 결론 = 99
      • 참고문헌 = 103
      • 부록 Ⅰ 설문지 = 111
      • 부록 Ⅱ 고창군의 관광환경 분석 = 116
      • Abstract = 1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