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자의 전성시대」와 「紅樹林」에 나타난 여성 이주담론 = The Study of Theory of Female Migration in <Yeong-ja in Her Prime> and <Red wo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1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양국은 산업화 시대의 도래로 농촌의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는 ‘이촌향도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우선 정부의 저곡가, 저임금 정책으로 인해 도·농간의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지게 되면서 농민들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농촌을 떠날 수밖에 없게 되었고, 도시로 이주했다고 한들 그들은 경제적 차이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의 월등한 차이로 도시 사람들이 외면한 3D 업종을 면할 수 없게 되면서 도시 사람들의 차별과 멸시의 대상으로 전락되고 만다. 특히, 여성의 경우 이에 더해 성추행, 성폭행과 같은 성범죄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작가 조선작과 莫言은 고도성장의 이면에 존재했던 ‘여성의 상품화’ 현상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며 한중양국 사회의 슬픈 자화상을 담은 작품 「영자의 전성시대」와 「紅樹林」을 출간하게 된다.
      한중양국의 두 작가는 여성 이주 노동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환경과 그들의 불행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여 산업화 이면에 숨겨있던 우리 사회의 윤리 부재를 폭로함으로써 여성 근로자가 보다 나은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생활환경의 개선을 촉구할 뿐만 아니라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여성으로서의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여성 인권 신장을 호소하고 있다. 본고는 1970년대 산업화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 조선작과 莫言의 작품 「영자의 전성시대」와 「紅樹林」을 이주담론의 시각에서 비교․분석하여 당대 농촌의 빈궁한 삶과 도시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던 여성 이주 노동자의 삶을 살펴보고 그들이 왜 불행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었는지 그들을 둘러싼 사회 환경적 요소와 고도 성장기의 비윤리적 실태를 낱낱이 파헤쳐 보고자 한다.


      주제어: 산업화, 이주, 여성, 노동자, 삶
      번역하기

      한중양국은 산업화 시대의 도래로 농촌의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는 ‘이촌향도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우선 정부의 저곡가, 저임금 정책으로 인해 도·농간의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지�...

      한중양국은 산업화 시대의 도래로 농촌의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는 ‘이촌향도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우선 정부의 저곡가, 저임금 정책으로 인해 도·농간의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지게 되면서 농민들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농촌을 떠날 수밖에 없게 되었고, 도시로 이주했다고 한들 그들은 경제적 차이뿐만 아니라 교육수준의 월등한 차이로 도시 사람들이 외면한 3D 업종을 면할 수 없게 되면서 도시 사람들의 차별과 멸시의 대상으로 전락되고 만다. 특히, 여성의 경우 이에 더해 성추행, 성폭행과 같은 성범죄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작가 조선작과 莫言은 고도성장의 이면에 존재했던 ‘여성의 상품화’ 현상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며 한중양국 사회의 슬픈 자화상을 담은 작품 「영자의 전성시대」와 「紅樹林」을 출간하게 된다.
      한중양국의 두 작가는 여성 이주 노동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환경과 그들의 불행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여 산업화 이면에 숨겨있던 우리 사회의 윤리 부재를 폭로함으로써 여성 근로자가 보다 나은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생활환경의 개선을 촉구할 뿐만 아니라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여성으로서의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여성 인권 신장을 호소하고 있다. 본고는 1970년대 산업화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 조선작과 莫言의 작품 「영자의 전성시대」와 「紅樹林」을 이주담론의 시각에서 비교․분석하여 당대 농촌의 빈궁한 삶과 도시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던 여성 이주 노동자의 삶을 살펴보고 그들이 왜 불행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었는지 그들을 둘러싼 사회 환경적 요소와 고도 성장기의 비윤리적 실태를 낱낱이 파헤쳐 보고자 한다.


      주제어: 산업화, 이주, 여성, 노동자, 삶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혜, "한중 노동소설 비교연구-황석영, 조세희, 유경방, 조정로의 소설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2015

      2 송현호, "한국현대소설론" 민지사 2010

      3 송현호, "한국현대 문학의 이주 담론 연구" 태학사 2017

      4 권경미, "하층계급 인물의 생성과 사회 구조망 -조선작의 ≪영자의 전성시대≫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9) : 427-451, 2012

      5 송현호, "춘원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한중인문학회 (51) : 23-42, 2016

      6 정제각, "이주정책론" 인간사랑 2010

      7 서은혜, "이광수의 상해·시베리아행과 「유정」의 자서전적 텍스트성" 춘원연구학회 (9) : 223-256, 2016

      8 이소영, "여성의 몸과 노동, 그리고 민주주의 - 1970년대 수기와 소설에 드러난 정동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54) : 43-90, 2018

      9 조선작, "성벽징소리" 동아출판사 1995

      10 김현주, "박정희정부의 산업정책 네트워크 분석 : 박정희 전 대통령의 면담자료(1964년-1979년) 분석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09

      1 양혜, "한중 노동소설 비교연구-황석영, 조세희, 유경방, 조정로의 소설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2015

      2 송현호, "한국현대소설론" 민지사 2010

      3 송현호, "한국현대 문학의 이주 담론 연구" 태학사 2017

      4 권경미, "하층계급 인물의 생성과 사회 구조망 -조선작의 ≪영자의 전성시대≫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9) : 427-451, 2012

      5 송현호, "춘원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한중인문학회 (51) : 23-42, 2016

      6 정제각, "이주정책론" 인간사랑 2010

      7 서은혜, "이광수의 상해·시베리아행과 「유정」의 자서전적 텍스트성" 춘원연구학회 (9) : 223-256, 2016

      8 이소영, "여성의 몸과 노동, 그리고 민주주의 - 1970년대 수기와 소설에 드러난 정동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54) : 43-90, 2018

      9 조선작, "성벽징소리" 동아출판사 1995

      10 김현주, "박정희정부의 산업정책 네트워크 분석 : 박정희 전 대통령의 면담자료(1964년-1979년) 분석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09

      11 송현호, "문학이란 무엇인가 -춘원의 삶과 문학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67) : 5-30, 2017

      12 송현호, "韓國學報" 일지사 3-29, 2017

      13 莫言, "紅樹林" 上海文艺出版社 2012

      14 이언홍, "『유정』에 나타난 이주와 ‘정(情)’의 연구" 춘원연구학회 (8) : 109-133, 2015

      15 송현호, "『무정』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65) : 105-128, 2017

      16 최선호, "『무정』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 춘원연구학회 (8) : 83-107, 2015

      17 양녕, "「소년의 비애」와 「傷逝」에 나타난 이주 담론" 춘원연구학회 (12) : 147-174, 2018

      18 송현호, "「삼봉이네 집」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춘원연구학회 (9) : 167-190, 2016

      19 소윤권, "70년대 소설에 나타난 식모의 양상"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7 : 29-60,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