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은경, "陵寢制度를 통해 본 高句麗, 百濟 陵寺의 性格과 特徵" 고구려발해학회 47 : 61-105, 2013
2 황수영, "한국의 불교미술" 동화출판공사 1974
3 최완수, "한국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2" 대원사 2007
4 손경수, "한국12지생초의 연구" 4 : 1962
5 곽승훈, "통일신라시대의 정치변동과 불교" 국학자료원 2002
6 채상식, "통일신라기의 성전사원의 구조와 기능" 15 : 1984
7 강우방, "통일신라 12지상의 양식적 고찰" (154・155) : 1982
8 楊寬, "중국 역대 능침제도" 서경 2005
9 강현숙, "중국 길림성 집안 지역 고구려 왕릉의 구조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학회 (41) : 5-46, 2006
10 정중한, "이홍직박사회갑기념 사학논총" 1969
1 양은경, "陵寢制度를 통해 본 高句麗, 百濟 陵寺의 性格과 特徵" 고구려발해학회 47 : 61-105, 2013
2 황수영, "한국의 불교미술" 동화출판공사 1974
3 최완수, "한국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2" 대원사 2007
4 손경수, "한국12지생초의 연구" 4 : 1962
5 곽승훈, "통일신라시대의 정치변동과 불교" 국학자료원 2002
6 채상식, "통일신라기의 성전사원의 구조와 기능" 15 : 1984
7 강우방, "통일신라 12지상의 양식적 고찰" (154・155) : 1982
8 楊寬, "중국 역대 능침제도" 서경 2005
9 강현숙, "중국 길림성 집안 지역 고구려 왕릉의 구조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학회 (41) : 5-46, 2006
10 정중한, "이홍직박사회갑기념 사학논총" 1969
11 강우방, "원융과 조화" 열화당 1990
12 정구복, "역주삼국사기 3 주석편(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3 전기웅, "신라하대의 화랑세력" (10・11) : 1994
14 이호영, "신라중대 왕실과 봉덕사" 8 : 1974
15 김영미, "신라인의 이상적 인간상 -聖人觀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3) : 223-251, 2004
16 이근직, "신라의 상장례와 능원제도" 28 : 2007
17 이인철, "신라의 불교사원" 백산자료원 2003
18 이근직, "신라왕릉연구" 학연문화사 2012
19 김창겸, "신라와 바다" 문현 2018
20 엄기표,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2003
21 박방룡, "신라도성" 학연문화사 2013
22 조범환, "신라 화랑도와 승려" 인문과학연구소 (33) : 179-214, 2012
23 김창겸, "신라 하대 국왕과 정치사" 도서출판 온샘 2018
24 이영호, "신라 중대 왕실사원의 관사적 기능" 43 : 1983
25 강태호, "신라 왕릉의 입지와 풍수형국" 신라문화연구소 41 (41): 195-214, 2013
26 김복순, "신라 왕경 사찰의 분포와 체계" 27 : 2006
27 김용성, "신라 십이지신장상 호석 능묘의 변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1) : 115-154, 2012
28 김창겸, "신라 승려 심지 연구" 34 : 2013
29 김선주, "신라 선덕여왕과 영묘사" 한국고대사학회 (71) : 281-316, 2013
30 김철준, "신라 상대의 Dual Organization(하)" 2 : 1952
31 김용성, "신라 능원의 의의" 민족문화연구소 (53) : 1-43, 2013
32 박남수, "신라 「法光寺石塔記」와 御龍省의 願堂 운영" 한국고대사학회 (69) : 217-252, 2013
33 김영태, "승려낭도고" 7 : 1970
34 전덕재, "봉덕사의 위치와 그 성격" 36 : 2015
35 김종만, "백제 성왕과 그의 시대" 부여군 2007
36 전제현, "동명왕릉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94
37 김일성종합대학, "동명왕릉과 그 부근의 고구려유적"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76
38 국립부여박물관, "능사" 2000
39 최인선, "광양 광룡사 선각국사 도선의 부도전지와 석관" (6・7) : 1997
40 강인구, "고분연구" 학연문화사 2000
41 김창겸, "계촌민병하교수정년기념 사학논총" 1988
42 최민희, "경주 서악동고분군에 대한 새로운 왕릉 명칭 비정" 신라사학회 (40) : 123-154, 2017
43 김용성, "경주 서악동 능원과 그 의의" 2012
4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감은사발굴조사보고서" 1997
45 三池賢一, "新羅內政官制考" 62 : 1971
46 박남수, "新羅 眞殿寺院의 조영과 그 思想的 背景" 신라문화연구소 40 (40): 49-74, 2012
47 韓基汶, "新羅 下代 興輪寺와 金堂 十聖의 性格" 신라문화연구소 (20) : 171-196, 2002
48 이영호, "文字資料로 본 新羅王京" 대구사학회 132 : 71-125, 2018
49 이병호, "扶餘 陵山里寺址 伽藍中心部의 變遷 過程" 한국사연구회 (143) : 35-76, 2008
50 김상현, "9세기 후반의 해인사와 신라 왕실의 후원" 신라문화연구소 (28) : 235-25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