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홍종, "論山 麻田里 遺蹟" 고려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0
2 김영희, "호남지방 鳥形土器의 성격" 호남고고학회 44 : 79-107, 2013
3 김태곤, "한국의 신화" 시인사 1988
4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2
5 신정훈, "한국 고대의 서상과 정치" 혜안 2013
6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 관념과 祭儀" 32 : 1999
7 권주현, "통일신라시대의 食文化 연구- 왕궁의 식문화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68) : 263-300, 2012
8 조태섭, "청주 봉산리 삼국시대 토광묘 출토 꿩뼈의 연구" 중부고고학회 16 (16): 5-25, 2017
9 고은별, "임당 고총 동물부장 연구 : 조류 부장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138-171, 2018
10 윤선태, "월성 해자 목간의 연구 성과와 신 출토 목간의 판독" 한국목간학회 (20) : 79-104, 2018
1 이홍종, "論山 麻田里 遺蹟" 고려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0
2 김영희, "호남지방 鳥形土器의 성격" 호남고고학회 44 : 79-107, 2013
3 김태곤, "한국의 신화" 시인사 1988
4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2
5 신정훈, "한국 고대의 서상과 정치" 혜안 2013
6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 관념과 祭儀" 32 : 1999
7 권주현, "통일신라시대의 食文化 연구- 왕궁의 식문화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68) : 263-300, 2012
8 조태섭, "청주 봉산리 삼국시대 토광묘 출토 꿩뼈의 연구" 중부고고학회 16 (16): 5-25, 2017
9 고은별, "임당 고총 동물부장 연구 : 조류 부장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138-171, 2018
10 윤선태, "월성 해자 목간의 연구 성과와 신 출토 목간의 판독" 한국목간학회 (20) : 79-104, 2018
11 이양수, "영혼의 전달자-새, 풍요, 숭배" 국립김해박물관 2004
12 고은별,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경산 임당유적 출토 동물유존체분석자료집Ⅰ-포유류・조류" 영남대학교박물관 2017
13 이기길, "영광 마전・군동・원당・수동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한국도로공사 2003
14 이용현, "안압지와 東宮 庖典" 國立慶州博物館 1 : 2007
15 이용현, "안압지 목간과 동궁(東宮) 주변" 한국역사연구회 (65) : 253-287, 2007
16 홍보식, "신라·가야지역 象形土器의 변화와 의미" 한국상고사학회 90 (90): 35-64, 2015
17 이장웅, "신라 娑蘇(仙桃聖母) 神話의 변화와 國家祭祀" 신라사학회 (38) : 215-261, 2016
18 김길식, "상형토기의 세계(丹豪文化硏究12)" 용인대학교박물관 2008
19 金東淑, "상형토기의 세계(丹豪文化硏究12)" 용인대학교박물관 2008
20 김영관, "삼국시대 동물원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회 (13) : 1-51, 2008
21 박중환, "백제권역 동물희생 관련 考古자료의 성격" 백제문화연구소 1 (1): 177-204, 2012
22 박중환, "문헌자료를 통해 본 百濟 祭祀의 動物犧生" 9 : 2010
23 李俊貞, "농업의 고고학" 사회평론 2013
24 이준정, "꿩 대신 닭?-고분 부장 동물유존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韓國考古學會 2017
25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 2002
26 김용성, "고분으로 본 신라의 장송의례와 그 변혁" 중앙문화재연구원 (15) : 61-104, 2014
27 장인성, "고대 동아시아 역사상의 백제 원지" 백제문화연구소 (56) : 367-388, 2017
28 최영주, "鳥足文土器의 變遷樣相" 한국상고사학회 55 (55): 79-114, 2007
29 趙現鐘, "鳥形木製品과 農耕儀禮" 호남사학회 19 : 571-583, 2002
30 "魏書"
31 이희덕, "高麗時代 天文思想과 五行說 硏究" 一潮閣 2000
32 李志映, "韓國神話의 神格 由來에 관한 硏究" 태학사 1995
33 李恩奉, "韓國古代宗敎思想-天神・地神・人神의 構造" 集文堂 1984
34 李熙德, "韓國古代 自然觀과 王道政治" 혜안 1999
35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雁鴨池 發掘調査報告書" 1978
36 이용현, "釜山 금석문-역사를 새겨 남기다" 부산시립박물관 2018
37 이성주, "貯藏祭祀와 盛饌祭祀 : 목곽묘의 토기부장을 통해 본 음식물 봉헌과 그 의미" 영남고고학회 (70) : 106-141, 2014
38 김훈희, "蕨手型 有刺利器의 變遷과 意味" 한국고고학회 (81) : 39-76, 2011
39 신대곤, "羽毛附冠飾의 始末" 8 : 1997
40 金東秀, "神話를 통해본 古代人의 鳥類觀" 44 : 2000
41 盧明鎬, "百濟의 東明神話와 東明墓-東明神話의 再生成 現象과 관련하여" 10 : 1981
42 金永炫, "百濟社會의 災異觀에 관한 고찰" 45 : 1989
43 한정호, "百濟 절터 출토 壁畵片과 法隆寺 玉蟲廚子" 석당학술원 (60) : 241-270, 2014
44 "白虎通"
45 "漢書"
46 모기철, "池山洞 44號古墳 出土 動物遺骸에 對한 考察, 大伽倻古墳發掘調査報告書" 高靈郡 1979
47 "東國李相國集"
48 "日本書紀"
49 尹瑞石, "新羅時代 飮食의 硏究-三國遺事를 中心으로 하여-" (創刊) : 1980
50 辛鍾遠, "新羅初期佛敎史硏究" 民族社 1992
51 金東淑, "新羅ㆍ伽耶 墳墓의 祭儀遺構와 遺物에 관한 硏究" 영남고고학회 30 : 59-98, 2002
52 "山海經"
53 "宋書"
54 서울대학교 박물관, "夢村土城發掘調査報告" 1985
55 국립진주박물관, "固城貝塚" 2003
56 "周書"
57 "史記"
58 權珠賢, "加耶人의 生活文化-食文化를 中心으로" 16 : 1999
59 "三國遺事"
60 "三國志"
61 "三國史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