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Smart Media Literacy`s Factors for Primary School Student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5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of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through identifying the factors of smart media literacy(SML) for primary school student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ith a level of SML and learning effectiveness(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To address this goal, 1,188 primary school students(5 grade 584, 6 grade 604)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is male 620(52.2%) and female 568(47.8%). Mean age of Participants is 13.49(SD=.52). Three types of survey are administered regarding SMLQ as 18 items, students`` subject attitude(language, mathematic, an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in terms of normality,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As a result, three factors are identifie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and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mart media literacy, subject attitude (except mathematic attitude), and achievement. Students, high level of SML, are more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Learning ability with using smart media in SML is a posi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o this,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in SML is a nega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Especially,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are more positive relationship on learning effectiveness by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n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are discussed and proposed further research in detai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of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through identifying the factors of smart media literacy(SML) for primary school student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ith a level of SML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of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through identifying the factors of smart media literacy(SML) for primary school student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ith a level of SML and learning effectiveness(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To address this goal, 1,188 primary school students(5 grade 584, 6 grade 604)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is male 620(52.2%) and female 568(47.8%). Mean age of Participants is 13.49(SD=.52). Three types of survey are administered regarding SMLQ as 18 items, students`` subject attitude(language, mathematic, an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in terms of normality,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As a result, three factors are identifie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and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mart media literacy, subject attitude (except mathematic attitude), and achievement. Students, high level of SML, are more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Learning ability with using smart media in SML is a posi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o this,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in SML is a nega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Especially,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are more positive relationship on learning effectiveness by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n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are discussed and proposed further research in detai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순식,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193-220, 2009

      2 권영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교적응력이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 21 (21): 99-107, 2012

      3 성은모, "초기 청소년의 휴대폰 활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253-281, 2013

      4 성은모,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휴대폰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441-467, 2012

      5 성은모, "전원학교 이러닝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인식, 교수매체활용 지식 및 의지가 교수매체활용 및 교육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7 (27): 599-623, 2011

      6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7 최윤정,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엘지씨엔에스 12 (12): 87-104, 2013

      8 배지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학습에서 인접성 원리의 적용이 학업성취 및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9 (29): 491-516, 2013

      9 성은모,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이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621-650, 2014

      10 성은모, "스마트미디어 연구 포럼, 스마트미디어의 이해" 미래인 251-276, 2014

      1 서순식, "초등학생용 ICT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193-220, 2009

      2 권영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교적응력이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 21 (21): 99-107, 2012

      3 성은모, "초기 청소년의 휴대폰 활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253-281, 2013

      4 성은모,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휴대폰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441-467, 2012

      5 성은모, "전원학교 이러닝 교수학습환경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인식, 교수매체활용 지식 및 의지가 교수매체활용 및 교육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7 (27): 599-623, 2011

      6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7 최윤정, "스마트폰 활용에 관한 측정지표 개발 연구" 엘지씨엔에스 12 (12): 87-104, 2013

      8 배지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학습에서 인접성 원리의 적용이 학업성취 및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9 (29): 491-516, 2013

      9 성은모,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이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621-650, 2014

      10 성은모, "스마트미디어 연구 포럼, 스마트미디어의 이해" 미래인 251-276, 2014

      11 임정훈,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1-24, 2013

      12 임정훈, "스마트기기의 속성 및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의 인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1 (21): 137-163, 2015

      13 임정훈,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327-353, 2014

      14 곽덕훈, "스마트 러닝의 의미와 전망" 2010

      15 임병노,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9 (29): 459-489, 2013

      16 임정훈, "모바일 기반 스마트 러닝: 개념 탐색과 대학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1-13, 2011

      17 우영희, "대학간 네트워크 기반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방안" 교육과학기술부․한국방송통신 2012

      18 우영희, "대학간 네트워크 기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러닝환경 구축방안" 교육과학기술부․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2

      19 백순근, "교육연구 및 통계분석" 교육과학사 2005

      20 강인애,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283-303, 2012

      21 Oulasvirta, A., "What does it mean to be good at using a mobile device? : An investigation of three levels of intermediate experience and skill" 69 : 155-169, 2011

      22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23 Wang, L., "The effect of internet use on adolescents' lifesyles : A national survey" 28 : 2007-2013, 2012

      24 김명랑, "SNS에서 상호작용 분석과 교육적 활용" 2012

      25 Livingstone, S., "Risky experiences for children online : Charting European research on children and the internet" 22 : 314-323, 2008

      26 Belsley, D. A., "Regression diagnostics: Identifying influential data and sources of collinearity" John Wiley and Sons 1980

      27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9-340, 1989

      28 송미영,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9 Zulkefly, S. N., "Mobile phone use amongst students in a university in Malaysia : Its correlates and relation to psychological health" 37 : 206-218, 2009

      30 Ebner, M., "Microblogs in higher education: A chance to facilitate informal and process-oriented learning?" 55 (55): 92-100, 2010

      31 이원규, "ICT 리터러시 검사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32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Framework for 21sr century learning"

      33 Epstein, R. A.,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 computer use and electronic game use" 2012

      34 Ryan, S. D., "Exploring educational and cultural adaption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10 : 1-16, 2011

      35 Gardiner, W. L., "Can computers teaching inside-out, transform education, and redefine literacy?" Transaction Publisher 1988

      36 Neter, J., "Applied linear regression models" Irwin Inc 1990

      37 O'Brien, R. M., "A caution regarding rules of thumb for variance inflation factors" 41 (41): 673-690, 2007

      38 전우천, "A Study on Development of Smart Literacy Standard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s"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4 (14): 59-70, 2013

      39 Bellanca, J., "21st century skills: Rethinking how students learn" Solution Tree Press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