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고레스와 이사야의 역사 신학적 지평의 관계를 고찰했다. 이사야는 하나님으로부터 영적 통찰력을 부여 받은 자로 혼란스러웠던 그 시대의 사건들을 바라보며 유다와 이스라엘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27939
2003
Korean
200.000
학술저널
61-79(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레스와 이사야의 역사 신학적 지평의 관계를 고찰했다. 이사야는 하나님으로부터 영적 통찰력을 부여 받은 자로 혼란스러웠던 그 시대의 사건들을 바라보며 유다와 이스라엘의...
본 논문은 고레스와 이사야의 역사 신학적 지평의 관계를 고찰했다. 이사야는 하나님으로부터 영적 통찰력을 부여 받은 자로 혼란스러웠던 그 시대의 사건들을 바라보며 유다와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예언적 심판을 과감히 선포했다. 그리고 그 역사적인 심판이 가까워질 무렵, 모든 예언서들이 가진 공통점으로서 죄와 심판의 현실을 넘어 있는 하나님의 구속하심을 예고하기에 이른다.
먼저 이스라엘의 역사적인 회복에 있어 이사야는 바사왕 고레스의 등장을 예언한다. 그는 실제 역사적인 인물로서 비빌론의 유대인 포로들을 고국으로 귀국시킨다. 그러나 이사야는 고레스의 사역을 진술함에 있어 그와 유사한 새로운 인물을 또 한명 소개한다. 그는 일인칭 어미로 표현된 여호와의 종이다.
이 여호와의 종의 사역은 구속적인 면에서는 고레스의 사역과 유사하나 그 사역의 특성과 그 사역의 범위가 세계적인데 있어서는 고레스의 역사적 정황을 분명 초월한다. 아사야는 아주 세밀한 유추법과 예표론적 기법들을 동원하여 역사적 고레스를 여호와의 종의 메시아적 사역을 설명하기 위한 원형-대형으로 진술한다. 고레스가 이스라엘을 회복시킨 역사적 인물이었다면 이제 여호와의 종은 땅 끝까지 이르러 이방과 이스라엘의 남은자를 구속할 미래의 메시아인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여호와의 종은 성육신 하신 예수 그리도의 원형이였음을 신약 저자들은 후에 복음서를 통해 입증하고 있다.
우리는 아사야서의 역사-신학지평의 관계를 통해 본문을 중심으로 한 편집비평들을 재평가 해볼 필요가 있다. 이사야서는 이 두 지평의 융합을 히브리인들의 고유적인 문학적 기법으로 통일성 있게 구성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본문은 하나님의 계시를 대변함으로서 초월성의 가능성을 배제한 그 어떠한 접근도 적절하지 못함을 암시하고 있다. 아사야서를 통해 예고된 하나님의 놀라운 구원의 역사는 육신이 되어 이 땅에 오신 그 메시아를 믿는 모든 자들에게 오늘날도 계속 이루어져 가고 있음을 교회는 입증하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성인 EFL학습자에 대한 화용 능력계발과 문화지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