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두 점의 감로도는 각각 1750년과 1764년에 제작된 작품으로서, 18세기 감 로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1750년에 화승 덕인과 유봉이 조성한 건륭15년명 감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23610
2021
-
911
KCI등재
학술저널
2-17(1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두 점의 감로도는 각각 1750년과 1764년에 제작된 작품으로서, 18세기 감 로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1750년에 화승 덕인과 유봉이 조성한 건륭15년명 감로...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두 점의 감로도는 각각 1750년과 1764년에 제작된 작품으로서, 18세기 감 로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1750년에 화승 덕인과 유봉이 조성한 건륭15년명 감로탱화(전라북 도 유형문화재 제185호)는 상단에 7여래를 비롯한 불·보살, 산수를 경계로 중단에 육도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의식장면과 시식단, 하단에 세속의 여러 가지 환난장면과 아귀고가 묘사되어 있어 18세기 감로도의 전형적인 3단 구도를 보여준다. 특히 하단에 표현된 수묵 몰골양식의 무주고혼은 고혼을 불국토로 천도하 기 위한 의식인 수륙재용 불화로서의 감로도의 의미를 잘 보여준다. 16세기부터 표현된 망령을 각 인물마 다 묘사하고 있는 점은 1730년 운흥사 감로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감로도 등을 따르고 있지만 이 감로도 를 마지막으로 망령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점은 18세기 감로도의 도상연구에 기준이 된다. 1764년에 수 화승 치상(치삭)을 비롯해 13명의 화승이 제작한 대곡사명 감로왕도(보물 제1990호)는 상단에 7여래를 비 롯한 불·보살, 그 아래로 의식장면 및 아귀와 고혼을 배치하였다. 이 감로도에서 보는 것처럼 상단 화면의 중심에 7여래가 등장하는 것은 1701년 남장사 감로도에서 정립된 이후 일반화되었지만, 대곡사명 감로왕 도의 상단에는 1589년 일본 야쿠센지 소장 감로도처럼 비명횡사한 고혼들을 천도하기 위해 내영하는 아 미타삼존이 등장하는 등 16세기 감로도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어, 18세기 감로도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 닌다. 또한 하단에 횡으로 길게 펼쳐진 전쟁장면이 화면 전체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모습은 다른 감로도 에서는 볼 수 없다. 여러 폭의 비단을 이어 붙인 거대한 화면에 유려하고 탄력 있는 필치로 다양한 장면을 묘사했을 뿐 아니라 40여 명 이상의 발원자와 13명의 화원이 동참하여 조성했다는 점에서도 18세기 감로 왕도의 수작으로 꼽을 만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희, "한국의 불화, 19-대학박물관편Ⅱ" 성보문화재연구원 1999
2 유근자, "조선후반기 제2·3기 불상조성기를 통한 불상 조성의 배경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0) : 151-180, 2013
3 변주승, "조선후기 유민 생존방식의 일면–승려, 居士, 明火賊 집단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9 : 2004
4 김승희, "조선시대 풍속화" 국립중앙박물관 2002
5 김승희, "조선시대 甘露圖에 대한 몇 가지 斷想-題名과 관련하여" 국립중앙박물관 2008
6 박은경, "일본소재 조선 16세기 수륙회불화 甘露幀, 조선시대 甘露幀 上 甘露" 통도사성보박물관 2005
7 유경희, "여수 興國寺 義謙作 觀音菩薩圖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8 : 2009
8 김승희, "감로도에 보이는 공양물의 내용과 그 의미 : 보석사감로도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7 : 289-327, 2013
9 김정희, "감로도 도상의 기원과 전개 -연구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7) : 143-181, 2016
10 안귀숙, "韓國의 佛畵(10)-月精寺 本ㆍ末寺篇" 성보문화재연구원 1997
1 김승희, "한국의 불화, 19-대학박물관편Ⅱ" 성보문화재연구원 1999
2 유근자, "조선후반기 제2·3기 불상조성기를 통한 불상 조성의 배경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0) : 151-180, 2013
3 변주승, "조선후기 유민 생존방식의 일면–승려, 居士, 明火賊 집단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9 : 2004
4 김승희, "조선시대 풍속화" 국립중앙박물관 2002
5 김승희, "조선시대 甘露圖에 대한 몇 가지 斷想-題名과 관련하여" 국립중앙박물관 2008
6 박은경, "일본소재 조선 16세기 수륙회불화 甘露幀, 조선시대 甘露幀 上 甘露" 통도사성보박물관 2005
7 유경희, "여수 興國寺 義謙作 觀音菩薩圖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8 : 2009
8 김승희, "감로도에 보이는 공양물의 내용과 그 의미 : 보석사감로도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7 : 289-327, 2013
9 김정희, "감로도 도상의 기원과 전개 -연구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7) : 143-181, 2016
10 안귀숙, "韓國의 佛畵(10)-月精寺 本ㆍ末寺篇" 성보문화재연구원 1997
11 이은희, "雲興寺와 畵師義謙에 관한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원 (24) : 195-211, 1991
12 이숙희, "甘露幀에 나타난 민간 예능인 집단 연구" 국립민속국악원 3 : 2003
13 이경화, "朝鮮時代 甘露幀畵 下段畵의 風俗場面 考察" 한국미술사학회 220 : 1998
14 연제영, "朝鮮時代 甘露幀畵 下段場面과 社會相의 相關性"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9) : 3-24, 2010
15 김승희, "朝鮮時代 甘露圖의 圖像硏究" 한국미술사학회 196 : 1992
16 안귀숙, "朝鮮後期 佛畵僧의 系譜와 義謙比丘에 관한 硏究(上)(下)" 미술사연구회 8 : 9-, 1995
17 박정원, "朝鮮前期 水陸會圖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70 (270): 35-65, 2011
18 김다영, "朝鮮 後期 浮休門中의 佛事와 義謙派 佛畫 - 順天 松廣寺 佛畫 造成 佛事를 중심으로 -" 국립중앙박물관 (98) : 154-175, 2020
19 이숙희, "作法舞의 변천과 조선후기 군영 취타악과의 관계 : 甘露幀을 중심으로" 韓國傳統音樂學會 6 : 2005
20 김정희, "佛畵 속에 표현된 湖南的 感性 -義謙 佛畵의 圖像과 樣式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49) : 289-330, 2011
21 김승희, "19세기 감로도의 인물상에 보이는 새로운 양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9) : 99-121, 2010
22 정명희, "1725년 義謙畫派의 송광사 불조전 〈五十三佛圖〉" 국립중앙박물관 (95) : 142-165, 201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