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Experience on Development of Sociabil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930946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01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93.9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 49 p. : 삽도 ; 26 cm.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데 그 초점을 두고, 음악줄넘기 운동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와 초등학교 아동들의 사회적 성격과 관련된 여러 변인들이 어떻게 변화되며, 신체활동을 통한 아동의 사회화과정과 스포츠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 한 초등학교 1곳에서 음악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간의 사회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즉 4, 5, 6학년에서 각 80명씩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총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도구는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1989)와 이화여자 대학교 보건체육연구소(1991)에서 체육활동 참가와 관련된 문항을 선정하였고, 정범모(1971)의 인성검사지, 한국행동과학 연구소의 사회성숙도 검사지의 문항을 기초로 하여 사회성 요인을 뽑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 문항은 7개의 하위 영역(책임감, 자율성, 정서성, 성취성, 지배성, 사교성, 활동성)으로 나누어 사회성 발달의 세부적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 줄넘기 운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에서 책임성과 자율성, 성취성, 활동성, 사교성의 5가지 하위 영역에서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의 아동보다 더 발달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 줄넘기 운동은 아동의 책임성과 자율성, 활동성, 사교성 그리고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서정과, 지배성은 음악줄넘기 운동의 실시에 의하여 사회성 정도가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음악줄넘기 운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에서 사교성은 여자 아동이 남자 아동보다 더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책임성과 자율성, 성취성, 정서성, 활동성은 남녀간의 약간의 발달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별다른 의미를 찾을 수 가 없었다.
      셋째. 학년과 음악 줄넘기 운동이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서 활동성이 5학년이 4학년과 6학년에 비해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활동성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사회성은 학년이 높을수록 발달하였으나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데 그 초점을 두고, 음악줄넘기 운동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와 초등학교 아동...

      본 연구는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데 그 초점을 두고, 음악줄넘기 운동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와 초등학교 아동들의 사회적 성격과 관련된 여러 변인들이 어떻게 변화되며, 신체활동을 통한 아동의 사회화과정과 스포츠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 한 초등학교 1곳에서 음악줄넘기 운동을 실시한 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집단간의 사회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즉 4, 5, 6학년에서 각 80명씩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총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도구는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1989)와 이화여자 대학교 보건체육연구소(1991)에서 체육활동 참가와 관련된 문항을 선정하였고, 정범모(1971)의 인성검사지, 한국행동과학 연구소의 사회성숙도 검사지의 문항을 기초로 하여 사회성 요인을 뽑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 문항은 7개의 하위 영역(책임감, 자율성, 정서성, 성취성, 지배성, 사교성, 활동성)으로 나누어 사회성 발달의 세부적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 줄넘기 운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에서 책임성과 자율성, 성취성, 활동성, 사교성의 5가지 하위 영역에서 실험집단 아동이 통제집단의 아동보다 더 발달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 줄넘기 운동은 아동의 책임성과 자율성, 활동성, 사교성 그리고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서정과, 지배성은 음악줄넘기 운동의 실시에 의하여 사회성 정도가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음악줄넘기 운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에서 사교성은 여자 아동이 남자 아동보다 더 발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책임성과 자율성, 성취성, 정서성, 활동성은 남녀간의 약간의 발달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별다른 의미를 찾을 수 가 없었다.
      셋째. 학년과 음악 줄넘기 운동이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서 활동성이 5학년이 4학년과 6학년에 비해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활동성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사회성은 학년이 높을수록 발달하였으나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experience on development of sociabil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characters to change a na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lassified of sociability factors as follows relationship, activity, completion, emotion, freedom, responsibility, direction and divided verification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is study got following result as conduct a self-writing questionnaire survey of 187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ir 4th, 5th, 6th grade - located in Seoul only- using the Standardization Personality Testing paper that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ealth institute of Ihwa women's university and, Jung Beom Mo, lab of korea behavior science, made in conjunction.
      relationship, activity, completion, emotion, freedom, responsibility, direction. The result of study of music rope-skipping experience on development of sociability in relationship, activity, completion, freedom, responsibility's factors higher mark than controll group but no means emotion, direction factors. and according to genders of relationship was girl higher mark than boy. Rest factors were not found special means. Last, as school years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experience on development of sociability were 5th grade higher mark than 4th, 6th grade in activity factors so, activities factors increased elder school years .
      번역하기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experience on development of sociabil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characters to change a na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lassified of so...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experience on development of sociabil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characters to change a na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lassified of sociability factors as follows relationship, activity, completion, emotion, freedom, responsibility, direction and divided verification group and controlled group.
      This study got following result as conduct a self-writing questionnaire survey of 187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ir 4th, 5th, 6th grade - located in Seoul only- using the Standardization Personality Testing paper that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ealth institute of Ihwa women's university and, Jung Beom Mo, lab of korea behavior science, made in conjunction.
      relationship, activity, completion, emotion, freedom, responsibility, direction. The result of study of music rope-skipping experience on development of sociability in relationship, activity, completion, freedom, responsibility's factors higher mark than controll group but no means emotion, direction factors. and according to genders of relationship was girl higher mark than boy. Rest factors were not found special means. Last, as school years the effect of music rope-skipping experience on development of sociability were 5th grade higher mark than 4th, 6th grade in activity factors so, activities factors increased elder school years .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의 가설 = 3
      • 4. 연구의 제한점 = 4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3
      • 3. 연구의 가설 = 3
      • 4. 연구의 제한점 = 4
      • II. 이론적 배경 = 5
      • 1. 스포츠 사회화 = 5
      • 2. 아동의 사회성 = 8
      • 3. 아동의 신체 활동 = 9
      • 4. 음악줄넘기 운동 = 11
      • 5. 아동의 사회성 측정방법 = 19
      • III. 연구 방법 = 22
      • 1. 연구 대상 = 22
      • 2. 연구 도구 = 22
      • 3. 연구절차 및 방법 = 23
      • 4. 자료 분석 = 24
      •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26
      • 1. 연구결과 = 26
      • 2. 논의 = 32
      • V. 결론 및 제언 = 34
      • 1. 결론 = 34
      • 2. 제언 = 35
      • 참고문헌 = 36
      • ABSTRACT = 38
      • 설문지 = 39
      • 부록 = 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