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의 임대주택 REITs의 성과 특성을 분석하고, 임대주택 REITs의 수요자 선호요인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임대주택시장에서 REITs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임대주택 REITs의 효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4378
-
2010년
Korean
리츠 ; Rental Housing ; Real Estate Investment Corporations ; Tenants ; Risk Adjustment Model ; Housing Policy ; Leasing ; Analysis of Demanders ; Asset Management ; REITs ; 임대주택 ; 임대주택 리츠 ; 투자 성과 ; 수요자 선호 ; 입지요인 ; 주택관리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의 임대주택 REITs의 성과 특성을 분석하고, 임대주택 REITs의 수요자 선호요인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임대주택시장에서 REITs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임대주택 REITs의 효과...
본 연구는 미국의 임대주택 REITs의 성과 특성을 분석하고, 임대주택 REITs의 수요자 선호요인 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임대주택시장에서 REITs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임대주택 REITs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조건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장기간의 성과 특성분석을 통해 볼 때 미국의 임대주택 REITs는 중위험-중수익 투자상품으로서 평균적인 REITs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기본적인 사업성의 측면에서 임대주택 REITs는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로, 미국 시애틀의 Ballinger Commons를 사례로 한 임대주택 REITs 거주자 특성분석을 통해 볼 때, 임대주택 REITs는 젊은 연령의 중산층이 자가주택으로 이전하기 이전에 머무르는 중간단계의 주택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아파트시설과 관리능력이 담보될 경우,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가지는 주택대안임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에서도 높은 수준의 아파트시설과 관리능력, 그리고 적절한 입주자 구성이 확보될 경우, 임대주택 REITs가 중산층 등 일부 계층에 있어서는 자가주택으로 이전하기 이전의 주거대안으로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임대주택 REITs가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을 위한 경쟁력 있는 주거대안이 되기 위해서는, 주요 수요자가 될 수 있는 표적 계층을 선점하고, 이들 계층을 끌어들이기 위한 경쟁력 있는 모델의 정립이 필요하며, 주택개발 및 관리 능력을 갖춘 REITs의 등장을 유도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임대주택에 대한 이미지 제고 및 브랜드화를 위한 전략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firstl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REITs' performance, secondly, to examine the preference factors of housing REITs' demanders, and lastly, to present use of housing REITs as a housing alternative of middl...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firstl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REITs' performance, secondly, to examine the preference factors of housing REITs' demanders, and lastly, to present use of housing REITs as a housing alternative of middle class in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erformances of US housing REIT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risk-middle return structures, and thus, housing REITs are considered as valid investment alternatives in Korea. Secondly, the case study of Ballinger Commons in Seattle shows that the main tenants of housing REITs are housing of young age-middle class, and housing REITs with qualified facilities and management may be competitive housing alternatives for these class. Thirdly, housing REITs also may be valid residence alternatives for middle class, if they have qualified facilities, management capacity and appropriate tenants mix. Finally, the main strategies of activating housing REITs are first, to target key demand groups and forming effective housing model, second, to encourage the establishment of competitive housing REITs with the capacity of developing and managing apartment estates, and third, to arrange strategic approaches for upgrading image and brand power of RE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