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공간무시와 주관적 기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Own Favourite Music on Unilateral Spatial Neglect and Subjective Mood in Stroke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83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편측공간무시와 주관적 기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

      목적: 본 연구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편측공간무시와 주관적 기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실험군 6명과 대조군 6명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환측에 1시간 동안 제공하였고 대조군은 보호자가 보편적인 관리를 1시간 동안 제공하였다. 두 군은 모두 동일하게 하루 1시간, 주 7회 5주간 수행하였다. 측정은 편측공간무시를 평가하기 위하여 알버트 검사, 선나누기 검사, 별 지우기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주관적인 기분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각상사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중재 후, 두 집단의 변화량 비교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선 나누기 검사와 별 지우기 검사에서 유의하게 더 큰 개선이 있었다. 주관적 기분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편측공간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본인이 좋아하는 음악을 환측에 제공하는 중재가 편측공간무시의 개선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wn favourite music on unilateral spatial neglect(USN) and subjective mood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e twelve stroke patients with US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wn favourite music on unilateral spatial neglect(USN) and subjective mood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e twelve stroke patients with US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6 experimental and 6 control groups. Both groups were equally performed for 30 minutes a day and 7 times a week,for 5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own favourite music to the affected side for 30 minutes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sual care by the caregiver for 30 minutes. The outcome measures evaluated Albert test(AT), Line Bisection Test(LBT), Star Cancellation Test(SCT) for USN,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for subjective mood.
      Result: After the intervention, the comparison of change score of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LBT and S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of subjective mood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present investigation suggest that interventions of own favourite music to the affected side may show improvement of USN in stroke pati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