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86년 일본망명자 김옥균 유폐의 전말과 그 원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69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갑신정변에 실패한 김옥균 등이 일본으로 망명한 이후, 조선정부는 이들을 역적으로 간주하고 김옥균의 본국 송환을 위해 노력해 나갔다. 이러한 조선정부와 달리, 일본정부는 국사범을 보호해 일본의 인도적 행동을 드러내고 조선과의 협상카드로 김옥균을 이용하고자 했다. 따라서 번번이 일본국내법과 만국공법, 그리고 조일간 범죄인인도조약의 부재를 이유로 조선정부의 김옥균 송환 요구를 거절했다.
      그렇지만 일본정부의 김옥균 비호 방침은 오사카사건 관련자들의 김옥균에 대한 회유 모색이 발각되고 조선정부가 장은규와 지운영을 파견해 김옥균을 암살하려 하면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김옥균의 일본체류가 일본국내 치안을 불안하게 만들고 외교 분쟁의 빌미를 제공한다는 사실이 표면화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자 일본정부는 김옥균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강구했는데, 공교롭게도 이때 스스로를 지키고자 한 김옥균의 행동이 일본정부를 더욱 자극했다.
      일본정부는 1885년까지 망명 국사범의 보호라는 명분과 대조선 정책에서의 활용이라는 실리를 모두 얻고자 김옥균의 일본체류를 묵인했다. 그렇지만 점차 조?청 양국의 반복적인 송환 요구와 일본내 반정부세력과의 연계, 암살자들의 도일 등으로 김옥균을 내치외교의 걸림돌로 판단하게 되었다. 결국 일본정부는 김옥균의 공식적인 신변보호 요청을 계기로 추방을 결정해 오가사라와에 유폐시켰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갑신정변에 실패한 김옥균 등이 일본으로 망명한 이후, 조선정부는 이들을 역적으로 간주하고 김옥균의 본국 송환을 위해 노력해 나갔다. 이러한 조선정부와 달리, 일본정부는 국사범을 보...

      갑신정변에 실패한 김옥균 등이 일본으로 망명한 이후, 조선정부는 이들을 역적으로 간주하고 김옥균의 본국 송환을 위해 노력해 나갔다. 이러한 조선정부와 달리, 일본정부는 국사범을 보호해 일본의 인도적 행동을 드러내고 조선과의 협상카드로 김옥균을 이용하고자 했다. 따라서 번번이 일본국내법과 만국공법, 그리고 조일간 범죄인인도조약의 부재를 이유로 조선정부의 김옥균 송환 요구를 거절했다.
      그렇지만 일본정부의 김옥균 비호 방침은 오사카사건 관련자들의 김옥균에 대한 회유 모색이 발각되고 조선정부가 장은규와 지운영을 파견해 김옥균을 암살하려 하면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김옥균의 일본체류가 일본국내 치안을 불안하게 만들고 외교 분쟁의 빌미를 제공한다는 사실이 표면화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자 일본정부는 김옥균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강구했는데, 공교롭게도 이때 스스로를 지키고자 한 김옥균의 행동이 일본정부를 더욱 자극했다.
      일본정부는 1885년까지 망명 국사범의 보호라는 명분과 대조선 정책에서의 활용이라는 실리를 모두 얻고자 김옥균의 일본체류를 묵인했다. 그렇지만 점차 조?청 양국의 반복적인 송환 요구와 일본내 반정부세력과의 연계, 암살자들의 도일 등으로 김옥균을 내치외교의 걸림돌로 판단하게 되었다. 결국 일본정부는 김옥균의 공식적인 신변보호 요청을 계기로 추방을 결정해 오가사라와에 유폐시켰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had constantly promoted the repatriation of political asylum in Japan like Kim Ok-kyun(金玉均) who led a failed coup and fled to Japan. At that time,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Kim was a threat to the regime and made the feelings of the people disturb.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opposed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y permitted Kim’s residence in Japan.
      By the way,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y had chang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the Osaka plot(大阪事件) with Kim Ok-kyun and an assassin dispatch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had to prevent a coup by the opposition with Kim Ok-kyun or the assassins would kill Kim in Japan.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had decided on Kim’s deportation from Japan because of the obstacles in diplomacy and sedition. Then Kim had consulted his personal problems with an Englishman belonging to the judiciary of Japan and moved to a hostel of France concession in Yokohama, leaving Tokyo. Kim then sued Ji un-yeong(池運永) in court. In addition, Kim asked for personal protection and asylum in Russia from the Speyer of Russian consul in Japan.
      However, Kim Ok-kyun’s formal request for personal protection antagonized the Japanese government and made his expulsion one of force. As a result, Kim Ok-kyun was confined to Ogasawara(小笠原) Island.
      번역하기

      The Korean government had constantly promoted the repatriation of political asylum in Japan like Kim Ok-kyun(金玉均) who led a failed coup and fled to Japan. At that time,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Kim was a threat to the regime and made the...

      The Korean government had constantly promoted the repatriation of political asylum in Japan like Kim Ok-kyun(金玉均) who led a failed coup and fled to Japan. At that time,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Kim was a threat to the regime and made the feelings of the people disturb.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opposed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y permitted Kim’s residence in Japan.
      By the way,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y had chang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the Osaka plot(大阪事件) with Kim Ok-kyun and an assassin dispatch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had to prevent a coup by the opposition with Kim Ok-kyun or the assassins would kill Kim in Japan.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had decided on Kim’s deportation from Japan because of the obstacles in diplomacy and sedition. Then Kim had consulted his personal problems with an Englishman belonging to the judiciary of Japan and moved to a hostel of France concession in Yokohama, leaving Tokyo. Kim then sued Ji un-yeong(池運永) in court. In addition, Kim asked for personal protection and asylum in Russia from the Speyer of Russian consul in Japan.
      However, Kim Ok-kyun’s formal request for personal protection antagonized the Japanese government and made his expulsion one of force. As a result, Kim Ok-kyun was confined to Ogasawara(小笠原) Isl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김옥균과 오사카사건
      • Ⅲ. 장은규와 지운영의 김옥균 암살 기도
      • Ⅳ. 김옥균의 유폐 과정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김옥균과 오사카사건
      • Ⅲ. 장은규와 지운영의 김옥균 암살 기도
      • Ⅳ. 김옥균의 유폐 과정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달순, "金玉均의 죽음과 國內政治" 11 : 1994

      2 김상기, "金玉均의 行跡과 遺跡" 호서사학회 (38) : 61-92, 2004

      3 김영작, "金玉均 暗殺事件과 韓・淸・日 三國─旣存 學說에 대한 批判的 再檢討" 11 : 1994

      4 石河幹明, "福沢諭吉伝 3" 岩波書店 1932

      5 井上馨侯伝記編纂会, "世外井上公伝 1~3" 原書房 1968

      6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일기 4"

      7 "일성록"

      8 한성민, "일본의 망명자 김옥균 처우책과 그 성격"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9 "일본외무성 및 육해군성 문서, 메이지―다이쇼 문서 MT 1124, vol 2"

      10 "일본외교문서 18, 19"

      1 이달순, "金玉均의 죽음과 國內政治" 11 : 1994

      2 김상기, "金玉均의 行跡과 遺跡" 호서사학회 (38) : 61-92, 2004

      3 김영작, "金玉均 暗殺事件과 韓・淸・日 三國─旣存 學說에 대한 批判的 再檢討" 11 : 1994

      4 石河幹明, "福沢諭吉伝 3" 岩波書店 1932

      5 井上馨侯伝記編纂会, "世外井上公伝 1~3" 原書房 1968

      6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일기 4"

      7 "일성록"

      8 한성민, "일본의 망명자 김옥균 처우책과 그 성격"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9 "일본외무성 및 육해군성 문서, 메이지―다이쇼 문서 MT 1124, vol 2"

      10 "일본외교문서 18, 19"

      11 김성혜, "일본망명자 김옥균 송환을 둘러싼 조일 양국의 대응" 대동문화연구원 (88) : 333-370, 2014

      12 윤치호, "윤치호 일기" 琴秉洞 1991

      13 "승정원일기"

      14 고균기념회, "김옥균전 상" 경응출판사 1944

      15 河上明裕, "김옥균의 일본망명과 암살"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16 백종기, "김옥균암살사건을 에워싼 한일간의 외교분쟁과 일본의 항청운동" 11 : 1975

      17 "구한국외교문서 日案 1"

      18 김경창, "갑신정변 수모자의 망명 10년의 행적"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1 : 1985

      19 "駐韓使館保存檔案"

      20 김옥균, "韓國의 近代思想" 三省出版社 1977

      21 "韓国亡命者金玉均ノ動静関係雑件(京城訛傳) 1, 2, 3"

      22 金河元, "金玉均のクーデター再起運動と甲申日録" 29 : 1991

      23 "金玉均と日本:その滞日の軌跡" 綠蔭書房

      24 田保橋潔, "近代日鮮関係の研究 上" 文化資料調查会 1940

      25 國家淸史編纂委員會, "李鴻章全集․信函五 卷33"

      26 鈴木省吾, "朝鮮名士金氏言行錄" 博文堂 1886

      27 上田正昭, "日本人名大辞典" 講談社 2001

      28 松尾章一, "大阪事件関係史料集―大阪日報附録 国事犯事件公判傍聽筆記 上下" 日本経済評論社 1985

      29 大阪事件研究会, "大阪事件の研究" 柏書房 1982

      30 平野義太郎, "大井憲太郎" 吉川弘文館 1988

      31 中塚明, "国史論集―創立五十年記念― 2" 読史会 1959

      32 出口光朔, "国史論集―創立五十年記念― 2" 読史会 1959

      33 井上角五郞功勞表彰會, "井上角五郞君略傳" 井上角五郎君功労表彰会 19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