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14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사회와 정부 3.0의 등장은 인터넷, SNS, 트위터 등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다양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렇게 소통과 참여가 더욱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올바르게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담고 있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토대로 진단도구를 개발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도구를 통해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는 기술(22), 활용(11), 마인드(9)영역의 총 42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교제나 소통과 관련한 마인드나 기술적 이용능력에서 다소 낮은 리터러시를 보이고 있었다. 진단도구의 개발과 이를 통해 이용자의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한 본 연구는 향후 정보격차를 위한 정보화교육이나 정책지원 사업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사회에 적합한 진단도구를 제시하고 이의 개발과정에서 객관적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번역하기

      스마트사회와 정부 3.0의 등장은 인터넷, SNS, 트위터 등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다양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렇게 소통과 참여가 더욱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올바르게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

      스마트사회와 정부 3.0의 등장은 인터넷, SNS, 트위터 등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다양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렇게 소통과 참여가 더욱 활성화되면서 정보를 올바르게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사회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담고 있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토대로 진단도구를 개발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도구를 통해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는 기술(22), 활용(11), 마인드(9)영역의 총 42개 지표로 구성되었다. 현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교제나 소통과 관련한 마인드나 기술적 이용능력에서 다소 낮은 리터러시를 보이고 있었다. 진단도구의 개발과 이를 통해 이용자의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한 본 연구는 향후 정보격차를 위한 정보화교육이나 정책지원 사업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스마트사회에 적합한 진단도구를 제시하고 이의 개발과정에서 객관적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mergence of the smart society and the government 3.0 is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change of th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Internet, SNS and Twitt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the significance of digital literacy has increased.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e elements which should be contained in the digital literacy in the smart society and to develop a self-diagnostic tool. Through this tool, this study measured the current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The diagnostic tool of digital literacy is composed of Technology(22), Application(11) and Mind(9) areas with a total of 42 indice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is generally high, but they show comparatively low literacy level in Mind area, specifically the indica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developed and revised diagnostic tool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or policy study for mitigating digital divid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diagnostic tool should be suitable for the smart societ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indicators should continue to be verified scientifically.
      번역하기

      Emergence of the smart society and the government 3.0 is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change of th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Internet, SNS and Twitt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the significance of digital literacy has increased. Th...

      Emergence of the smart society and the government 3.0 is closely related to the rapid change of th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s such as Internet, SNS and Twitt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the significance of digital literacy has increased.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core elements which should be contained in the digital literacy in the smart society and to develop a self-diagnostic tool. Through this tool, this study measured the current level of the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The diagnostic tool of digital literacy is composed of Technology(22), Application(11) and Mind(9) areas with a total of 42 indice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level of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is generally high, but they show comparatively low literacy level in Mind area, specifically the indica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developed and revised diagnostic tool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or policy study for mitigating digital divid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diagnostic tool should be suitable for the smart societ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indicators should continue to be verified scientific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논의
      • Ⅲ.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의 개발
      • Ⅳ.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의 검증 및 평가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논의
      • Ⅲ.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의 개발
      • Ⅳ.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의 검증 및 평가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성, "한국인의 표준 디지털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2 권성호,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소 8 (8): 120-140, 2014

      3 한승준, "조사방법의 이해와 SPSS의 활용" 대영문화사 2006

      4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부 3.0 새로운 대한민국을 꿈꾸다" 2013

      5 김문조,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123-155, 2002

      6 김현성, "일반국민의 정보통신활용능력 기준(ICT) 및 교육과정" 교육학술정보원 2001

      7 허경아,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25-252, 2011

      8 이명진,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소비자 문제의 특징과 그 함의 - IT 이용자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정보화진흥원 15 (15): 62-76, 2008

      9 이수상, "우리나라 대학생의 정보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문헌정보학회 41 (41): 85-103, 2007

      10 이복자, "스마트사회의 인재적 특성, 정보화 역량, 사회적 네트워크의 관계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5 (15): 121-146, 2012

      1 김현성, "한국인의 표준 디지털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2 권성호,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소 8 (8): 120-140, 2014

      3 한승준, "조사방법의 이해와 SPSS의 활용" 대영문화사 2006

      4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부 3.0 새로운 대한민국을 꿈꾸다" 2013

      5 김문조,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123-155, 2002

      6 김현성, "일반국민의 정보통신활용능력 기준(ICT) 및 교육과정" 교육학술정보원 2001

      7 허경아,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25-252, 2011

      8 이명진,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소비자 문제의 특징과 그 함의 - IT 이용자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정보화진흥원 15 (15): 62-76, 2008

      9 이수상, "우리나라 대학생의 정보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문헌정보학회 41 (41): 85-103, 2007

      10 이복자, "스마트사회의 인재적 특성, 정보화 역량, 사회적 네트워크의 관계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5 (15): 121-146, 2012

      11 이복자, "스마트사회의 인재, 조건과 역량에 관한 시론" 1-13, 2011

      12 김성태, "스마트사회를 향한 대한민국 미래전략" 법문사 2011

      13 명승환, "스마트 사회 전환에 따른 Gov 3.0 기반의 전자정부 개념과 패러다임 변화" 325-341, 2012

      14 임영식, "사이버공간의 도움행동과 현실에서의 인간관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8

      15 김현성, "빅데이터시대에서 정보기술 패러다임의 변화와 스마트정부의 공공정보 활용방안" 한국국정관리학회 22 (22): 277-302, 2012

      16 공병호, "미래 인재의 조건" 21세기북스 2008

      17 유영만, "러닝과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습능력" 8 : 83-107, 2002

      18 조일수, "디지털 시민의식에 대한 규범적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2 (12): 11-29, 2009

      19 김민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확인을 위한 문항개발 및 능력 평가"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159-192, 2003

      20 노형진, "다변량 데이터의 통계분석" 효산 2008

      21 최호진, "Web의 진화와 전자정부의 발전방향: Web 2.0을 넘어 Web 3.0으로" 56 : 80-89, 2009

      22 Pink, Daniel, "The adventures of Johnny Bunko: the last career guide you’ll ever need" Riverhead Books 2008

      23 Weiser, Mark, "The Computer for the Twenty-First Century" 94-100, 1991

      24 EAVI(European Association for Viewers Interests), "Study on Assessment Criteria for Media Literacy Level"

      25 윤영민, "IT의 발달과 일상생활의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26 Collins, J. C., "Good to great: Why some companies make the leap...and other don’t" Harper Collins 2001

      27 Rothwell, W., "Effective secession Planning: Ensuring Leadership Continuity and Building Talent from Within" AMACOM 2001

      28 University of Washington, "Digital literacy self-assessment. Retrieved August 10"

      29 Gilster, Paul, "Digital Literacy" John Wiley & Sons, Inc 1997

      30 Larson, L., "Digital Literacy" Health Service University of Washington 2000

      3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2 1.33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