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單語와 文章의 文法性 = Grammaticality of Words and Sent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8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dgement of grammatical words and ungrammatical words is even more difficult than judgement of grammatical sentences and ungrammatical sentences. Why these asymmetric results occur? Starting from this simple question, this paper examines grammaticality by comparing and analys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words and sentences.
      Discussing some properties related with words and sentences, we research asymmetry of morphology and syntax. And we review factors can be grammaticality criterion of words and sentences among six properties, that is possibility, actuality, well-formedness, acceptability, familiarity, and conventionality. Possibility and actuality are common in words and sentences. However, Others make some differences between words and sentences. Well- formedness and acceptability are closely related with sentences, familiarity and conventionality are closely related with words.
      번역하기

      Judgement of grammatical words and ungrammatical words is even more difficult than judgement of grammatical sentences and ungrammatical sentences. Why these asymmetric results occur? Starting from this simple question, this paper examines grammaticali...

      Judgement of grammatical words and ungrammatical words is even more difficult than judgement of grammatical sentences and ungrammatical sentences. Why these asymmetric results occur? Starting from this simple question, this paper examines grammaticality by comparing and analysing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of words and sentences.
      Discussing some properties related with words and sentences, we research asymmetry of morphology and syntax. And we review factors can be grammaticality criterion of words and sentences among six properties, that is possibility, actuality, well-formedness, acceptability, familiarity, and conventionality. Possibility and actuality are common in words and sentences. However, Others make some differences between words and sentences. Well- formedness and acceptability are closely related with sentences, familiarity and conventionality are closely related with wor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법적인 단어와 그렇지 않은 단어’를 判斷하는 일은 ‘문법적인 문장과 그렇지 않은 문장’을 판단하는 것과 비교할 때, 훨씬 까다로운 作業에 해당한다. 왜 이와 같은 비대칭적인 양상이 관찰되는 것일까? 우리는 이러한 소박한 물음에서 출발하여, 단어와 문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文法性’을 탐구하였다.
      그간 단어 및 문장과 관련하여 論議된 바 있는 몇 가지 속성을 검토하면서, 단어와 문장의 비대칭성을 탐색하였다. ‘가능성, 실재성, 적격성, 수용성, 친숙성, 규범성’의 6가지 속성을 대상으로 단어와 문장의 ‘문법성’ 기준이 될 만한 要因들을 두루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가능성, 실재성’은 단어와 문장에서 공통적으로 포착되는 속성인 데 반해 ‘적격성, 수용성’은 문장과, ‘규범성, 친숙성’은 단어와 密接한 요인임을 밝히고, 이를 통해 통사론과 형태론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문법적인 단어와 그렇지 않은 단어’를 判斷하는 일은 ‘문법적인 문장과 그렇지 않은 문장’을 판단하는 것과 비교할 때, 훨씬 까다로운 作業에 해당한다. 왜 이와 같은 비대칭적인 양상...

      ‘문법적인 단어와 그렇지 않은 단어’를 判斷하는 일은 ‘문법적인 문장과 그렇지 않은 문장’을 판단하는 것과 비교할 때, 훨씬 까다로운 作業에 해당한다. 왜 이와 같은 비대칭적인 양상이 관찰되는 것일까? 우리는 이러한 소박한 물음에서 출발하여, 단어와 문장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함으로써 ‘文法性’을 탐구하였다.
      그간 단어 및 문장과 관련하여 論議된 바 있는 몇 가지 속성을 검토하면서, 단어와 문장의 비대칭성을 탐색하였다. ‘가능성, 실재성, 적격성, 수용성, 친숙성, 규범성’의 6가지 속성을 대상으로 단어와 문장의 ‘문법성’ 기준이 될 만한 要因들을 두루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가능성, 실재성’은 단어와 문장에서 공통적으로 포착되는 속성인 데 반해 ‘적격성, 수용성’은 문장과, ‘규범성, 친숙성’은 단어와 密接한 요인임을 밝히고, 이를 통해 통사론과 형태론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한데로, "臨時語의 實在性 確立을 위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119-149, 2013

      2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3 박진호, "형태론의 제자리 찾기" 형태론 1 (1): 319-340, 1999

      4 송원용, "형태론과 공시태.통시태" 국어국문학회 131 : 2002

      5 노명희, "한자어 형태론" 국어학회 29 : 309-339, 1997

      6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2

      7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서울대학교 1994

      8 강명윤, "촘스키 언어학 사전" 한신문화사 1998

      9 정한데로, "임시어의 형성과 등재: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화’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52 : 211-241, 2011

      10 정한데로, "임시어에 관한 몇 문제" 국어학회 (71) : 61-91, 2014

      1 정한데로, "臨時語의 實在性 確立을 위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119-149, 2013

      2 노명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8) : 255-281, 2010

      3 박진호, "형태론의 제자리 찾기" 형태론 1 (1): 319-340, 1999

      4 송원용, "형태론과 공시태.통시태" 국어국문학회 131 : 2002

      5 노명희, "한자어 형태론" 국어학회 29 : 309-339, 1997

      6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2

      7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구조" 서울대학교 1994

      8 강명윤, "촘스키 언어학 사전" 한신문화사 1998

      9 정한데로, "임시어의 형성과 등재: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화’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52 : 211-241, 2011

      10 정한데로, "임시어에 관한 몇 문제" 국어학회 (71) : 61-91, 2014

      11 송원용, "인지형태론의 과제와 전망" 한국어학회 16 : 65-87, 2002

      12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2003

      13 박상훈, "우리 나라에서의 어휘정리" 사회과학출판사 1986

      14 김의수, "언어단위의 저장에 관하여" 언어과학회 (70) : 45-60, 2014

      15 김의수, "언어단위로서의 상당어(相當語) 설정 시고" 형태론 4 (4): 81-101, 2002

      16 김의수, "어휘부와 통사론" 국어학회 (66) : 415-444, 2013

      17 채현식, "어휘부란 무엇인가-인접 학문 분야와와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66) : 307-334, 2013

      18 문병열, "어휘부 등재소와 복합 구성" 국어학회 (69) : 135-166, 2014

      19 국립국어원, "사전에 없는 말 신조어" 태학사 2007

      20 김창섭, "북한의 ‘말 다듬기’ 이론과 ‘다듬은 말’" 주시경연구소 7 : 3-27, 1991

      21 Radford, A., "변형문법이란 무엇인가" 을유문화사 1981

      22 정한데로, "명명 과제(naming task)를 기반으로 한 임시어의 형태론-도구 명사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68) : 367-404, 2013

      23 Jackendoff, R, "마음의 구조" 태학사 2000

      24 이호승, "단어형성과정의 공시성과 통시성" 형태론 3 (3): 113-119, 2001

      25 정한데로, "단어의 공인화에 관한 고찰" 국어학회 (74) : 233-266, 2015

      26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어휘연구실, "단어만들기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74

      27 한정한, "단어를 다시 정의해야 하는 시급한 이유들" 한국언어학회 34 (34): 761-788, 2009

      28 정한데로, "단어 형성 과정의 개념화와 언어화: 19세기 말~20세기 초 자료의 의의" 언어정보연구소 24 : 125-158, 2015

      29 신승용, "국어학개론" 태학사 2013

      30 송철의,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태학사 1992

      31 김인균, "국어의 명사 문법 I" 역락 2005

      32 시정곤, "국어의 단어형성 원리" 한국문화사 1998

      33 황화상,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 月印 2001

      34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태학사 2005

      35 이선웅, "국어 명사의 논항구조 연구" 월인 2005

      36 최기용, "국어 명사의 논항 구조에 대한 단상-이선웅(2005)를 중심으로-" 형태론 9 (9): 183-203, 2007

      37 정한데로, "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강대학교 2014

      38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태학사 2003

      39 박진호, "관용표현의 통사론과 의미론" 국어학회 41 : 361-379, 2003

      40 황화상, "관용어의 문법 범주와 범주 특성: 용언형 관용어의 의미와 통사" 언어정보연구소 15 : 27-51, 2011

      41 황화상, "관용 표현과 어휘부, 그리고 문장의 형성" 한국어학회 65 : 295-320, 2014

      42 남기탁, "新語 形成 過程과 再分析" 국어국문학회 (163) : 5-38, 2013

      43 Aronoff, M., "Word formation in Generative Grammar" The MIT Press 1976

      44 Taylor, J. R., "The Mental Corpus: How Language is Represented in the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45 Lyons, J., "Semantics, Vol.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46 Halle, M., "Prolegomena to a theory of word-formation" 4 (4): 3-16, 1973

      47 Di Sciullo A-M, "On the Definition of Word" MIT 1987

      48 Bauer, L., "Morphological Produc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9 Lieber, R., "Introducing Morp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0 Bauer, L., "English Word-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51 Chomsky, N.,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MIT Press 1965

      52 Lipka, L., "An Outline of English Lexicology: Lexical Structure, Word Semantics, and Word-Formation" Walter de Gruyter 1992

      53 국립국어연구원, "2000년 신어" 국립국어연구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