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과학수업에서 WISE(Web-based Inquiry Science Environment)활용여부에 따른 수업효과 비교 = Investigating the WISE(Web-based Inquiry Science Environment) Effect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using Multi-Group Structura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17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WISE-facilitated learning and conventional learning mode. The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among four variable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t influence of p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WISE-facilitated learning and conventional learning mode. The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among four variable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t influence of prior knowledge and cognitive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science process skills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28 6th grades from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analyzed the data using ANCOVA and Multi-group Structural Analysis. It results show that the WISE group’s learning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higher when a prior knowledge was set as a control variable. However scicence inquiry skill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Utilizing multi-group structural analysis, a model showing the same paths except for one linking from prior knowledge to cognitive presence was selected most proper. It implies learners with more prior knowledge may be expected to have a higher degree of cognitive presence in the WISE class requiring a new learning methodolo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의 WISE(Web-based Inquiry Science Environment) 활용효과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사전지식, 인지실재감, 과학탐구능력, 과학성취도 네 변인들 간의 구조관...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의 WISE(Web-based Inquiry Science Environment) 활용효과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사전지식, 인지실재감, 과학탐구능력, 과학성취도 네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A 초등학교 6학년 228명이었으며, WISE를 활용하여 과학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에 110명, 기존의 과학수업 형식으로 진행한 통제집단에 118명이 배정되었다. 두 집단 비교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측정도구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공분산분석과 다집단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지식을 통제한 공분산분석 결과 과학성취도에서는 실험집단의 평균(M=32.63)이 통제집단(M=30.05)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과학탐구능력에서는 두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 집단의 구조모형 경로계수 비교에서는 사전지식이 인지실재감을 예측하는 경로가 실험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WISE를 활용한 과학탐구학습에서 학습자의 사전지식은 인지실재감을 높이고, 나아가 학습 성과를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학습자의 사전지식이 WISE 활용에서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변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명섭, "초등학교 과학 교육을 위한 웹사이트의 평가 도구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201-209, 2008

      2 최인규, "초등체육 웹기반 탐구수업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33-150, 2008

      3 송윤희, "초등사회과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효과 비교" 한국교육공학회 27 (27): 177-211, 2011

      4 박승재, "초․중등 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 정책 연구"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2002

      5 권재술, "초,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학습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14 (14): 251-264, 1994

      6 강숙희, "인터넷과 수업" 교육과학사 2001

      7 성은모,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 탐구학습이 학습자들의 탐구능력, 학업성취도 및 파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29-159, 2006

      8 백남권, "웹기반 학습프로그램의 투입 시시가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 (23): 123-130, 2004

      9 강명희,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요인 규명"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07-134, 2008

      10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1 송명섭, "초등학교 과학 교육을 위한 웹사이트의 평가 도구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201-209, 2008

      2 최인규, "초등체육 웹기반 탐구수업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33-150, 2008

      3 송윤희, "초등사회과 서책형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의 효과 비교" 한국교육공학회 27 (27): 177-211, 2011

      4 박승재, "초․중등 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 정책 연구"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2002

      5 권재술, "초,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학습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14 (14): 251-264, 1994

      6 강숙희, "인터넷과 수업" 교육과학사 2001

      7 성은모, "인터넷 활용 문제중심 탐구학습이 학습자들의 탐구능력, 학업성취도 및 파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129-159, 2006

      8 백남권, "웹기반 학습프로그램의 투입 시시가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 (23): 123-130, 2004

      9 강명희,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요인 규명"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07-134, 2008

      10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11 강명희, "수학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성과에 대한 정보리터러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예측력과 인지적 실재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127-150, 2011

      12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연구소 11 (11): 29-56, 2010

      13 백남영,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웹 활용 수업의 설계 및 적용" 15 : 157-188, 2003

      14 이양락,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5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16 강명희, "WISE(Web-based Inquiry Science Environment)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수업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의 차이 검증"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1-19, 2009

      17 Linn, M. C., "WISE design for knowledge integration" 87 (87): 517-538, 2003

      18 Kang, M., "Validating an emotional presence scale to measure online learners' engagement" 6079-6082, 2008

      19 Akyol, Z., "Understanding cognitive presence in an online and blended community of inquiry: Assessing outcomes and processes for deep approaches to learning" 42 (42): 233-250, 2011

      20 Stevens, K. C., "The effect of background knowledge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ninth grader" 12 (12): 151-154, 1980

      21 Byrne, B. M., "Testing for the equivalence of factorial covariance and mean structures : The issue of partial measurement invariance" 105 : 456-466, 1989

      22 Manuel, K., "Teaching Information Literacy to Generation" 36 (36): 195-217, 2002

      23 Bangert-Drowns, R. L., "Student engagement with educational software : An exploration of literate thinking with electronic literature" 24 (24): 213-234, 2001

      24 봉미미,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net self-efficacy in Web-based instruction" SPRINGER 48 (48): 5-17, 200006

      25 Chiappetta, E. L.,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5th ed.)" Merrill Prentice Hall 2002

      26 Aikenhead, G. S., "Objectivity : The opiate of the academic" 3 (3): 581-585, 2008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2000

      28 Schneider, W., "Memory development between two and twenty.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7

      29 Cuevas, P., "Improving science inquiry with elementary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42 (42): 337-357, 2005

      30 Jonassen, D.,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31 Csikszentmihalyi, M., "Flow :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per and Row 1990

      32 Kim, M., "Experts’ Opinions on the High Achievement of Scientific Literacy in PISA 2003: A Comparative Study in Finland and Korea" 5 (5): 379-399, 2009

      33 Garrison, D. R.,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Falmer 2003

      34 홍세희, "Direct and indirect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 achievement: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across ethnic groups" AMER PSYCHOLOGICAL ASSOC 97 : 32-42, 200502

      35 Wang, M., "Cybergogy for engaged learning: A framework for creating learner engagemen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Publishing 2006

      36 Vaughan, N., "Creating cognitive presence in a blended faculty development community" 8 : 1-12, 2005

      37 Biemans, H. J. A., "Contact-2 : A computer-assisted instructional strategy for promoting conceptual change" 24 (24): 157-176, 1996

      38 Kanuka, H., "Blended learning : Uncovering its transformative potential in higher education" 7 (7): 95-105, 2004

      39 Sun, K., "A study on learning effect among different learning styles in a web-based lab of scien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50 (50): 1411-1422, 2008

      4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수준 산출 참고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4 1.94 2.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35 2.393 0.9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