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지훈, "朗山 宋持養과 『衆香漫筆』에 관한 一考" 동방한문학회 (55) : 231-264, 2013
2 이관성, "홍석모의 <皇城雜詠> 小考 - 조선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연경의 시적 형상화" 민족어문학회 (58) : 229-258, 2008
3 김혈조, "한문학을 통해 본 금강산" 우리한문학회 1 : 1999
4 이동환, "조선후기의 미학사유 ‘천기론과 그 문예․사상사적 전개’" 28 : 2001
5 심경호, "조선후기 문인의 동유체험과 한시" 태학사 (6) : 1998
6 정우봉,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한국한문학회 (49) : 101-136, 2012
7 이혜순, "조선중기의 유산기 문학" 집문당 1997
8 이종묵, "조선전기 문인의 금강산 유람과 그 문학" 한국한시학회 6 : 1998
9 김채식, "어당 이상수의 산수론과 「동행산수기」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10 김영진, "스승의 뜻이 담긴 책 『文趣』" (24) : 2003
1 윤지훈, "朗山 宋持養과 『衆香漫筆』에 관한 一考" 동방한문학회 (55) : 231-264, 2013
2 이관성, "홍석모의 <皇城雜詠> 小考 - 조선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연경의 시적 형상화" 민족어문학회 (58) : 229-258, 2008
3 김혈조, "한문학을 통해 본 금강산" 우리한문학회 1 : 1999
4 이동환, "조선후기의 미학사유 ‘천기론과 그 문예․사상사적 전개’" 28 : 2001
5 심경호, "조선후기 문인의 동유체험과 한시" 태학사 (6) : 1998
6 정우봉,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한국한문학회 (49) : 101-136, 2012
7 이혜순, "조선중기의 유산기 문학" 집문당 1997
8 이종묵, "조선전기 문인의 금강산 유람과 그 문학" 한국한시학회 6 : 1998
9 김채식, "어당 이상수의 산수론과 「동행산수기」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10 김영진, "스승의 뜻이 담긴 책 『文趣』" (24) : 2003
11 손오규, "산수문학연구" 부산대 출판부 1994
12 고연희, "산수기행예술연구" 일지사 2001
13 이관성, "도애 홍석모의 한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4 김인규, "귤산 이유원의 『임하필기』 연구" 성균관대 2015
15 이군선, "관암 홍경모의 시문과 그 성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16 홍석모, "陶厓詩集"
17 홍석모, "陶厓詩文選"
18 이군선, "陶厓 洪錫謨의 「游燕藁」" 우리한문학회 11 (11): 361-384, 2004
19 송지양, "衆香漫筆"
20 홍석모, "看觀錄"
21 홍석모, "游燕藁"
22 김명순, "洪錫謨의 游燕藁 硏究" 동방한문학회 27 : 257-290, 2004
23 홍경모, "冠巖全書"
24 鄭雨峰, "19세기 詩論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2
25 안득용,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산수유기 연구 : 농암 김창협과 삼연 김창흡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