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언어 순수주의와 국어 순화 = Linguistic Purism and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0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some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 by criticall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linguistic purism shown in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To do so,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linguistic purism, and distinguishes its concepts from the concept of language purification. Then, it compares and contrasts the concepts of linguistic purism and that of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 Thirdly, this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several aspects of linguistic purism, such as multi-stratification, popularization, politicization, and de-politicization,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 Finally, this paper indicates that the politicization of linguistic purism and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should be recognized, and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language users to engage more actively in their interests and discussions regarding the objects and subjects, and the aims and necessities of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some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 by criticall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linguistic purism shown in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To do so, this paper firstly exa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some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 by criticall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linguistic purism shown in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To do so,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linguistic purism, and distinguishes its concepts from the concept of language purification. Then, it compares and contrasts the concepts of linguistic purism and that of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 Thirdly, this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several aspects of linguistic purism, such as multi-stratification, popularization, politicization, and de-politicization,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 Finally, this paper indicates that the politicization of linguistic purism and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should be recognized, and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language users to engage more actively in their interests and discussions regarding the objects and subjects, and the aims and necessities of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에서의 국어 순화에서 나타나는 언어 순수주의의 측면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국어 순화와 관련된 몇 가지 근본적 문제들을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언어 순수주의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며, 또한 그 개념과 언어 순화의 개념을 구분하여 논의할 것이다. 다음으로 언어 순수주의의 개념과 한국에서의 국어 순화 개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한다. 셋째, 본고는 국어 순화의 실행 과정에서 언어 순수주의의 다층화, 민중화, 정치화, 탈정치화 등 몇 가지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언어 순수주의와 국어 순화의 정치성을 인정해야 함을 지적하고, 또한 언어 사용자들이 국어 순화의 대상 및 주체,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토론에 더 적극적으로 임해야 함을 강조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에서의 국어 순화에서 나타나는 언어 순수주의의 측면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국어 순화와 관련된 몇 가지 근본적 문제들을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이러한 ...

      본고는 한국에서의 국어 순화에서 나타나는 언어 순수주의의 측면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국어 순화와 관련된 몇 가지 근본적 문제들을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언어 순수주의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며, 또한 그 개념과 언어 순화의 개념을 구분하여 논의할 것이다. 다음으로 언어 순수주의의 개념과 한국에서의 국어 순화 개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한다. 셋째, 본고는 국어 순화의 실행 과정에서 언어 순수주의의 다층화, 민중화, 정치화, 탈정치화 등 몇 가지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언어 순수주의와 국어 순화의 정치성을 인정해야 함을 지적하고, 또한 언어 사용자들이 국어 순화의 대상 및 주체,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토론에 더 적극적으로 임해야 함을 강조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수, "한국말 가다듬기 – 국어 순화의 목표와 방법" 15-23, 2013

      2 고광모, "좌담-국어 순화의 바른 길" 국립국어연구원 14 : 59-79, 1988

      3 김석득, "우리말 순화의 원리 – 우리말의 세계화를 내다보면서" 사단법인 국어순화추진회 1-14, 2013

      4 피터 로드니, "쉬운 언어 정책과 자국어 보호 정책의 만남" 피어나 2013

      5 이정복, "사회언어학에서 본 국어 순화의 문제점" 한국사회언어학회 11 (11): 187-214, 2003

      6 민현식, "국어정책 60년의 평가와 반성"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31 : 37-74, 2003

      7 박갑수, "국어순화운동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9 : 61-69, 1976

      8 박성의, "국어순화운동의 이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1 : 3-23, 1977

      9 김민수, "국어 순화의 현실과 전망" 국립국어연구원 14 : 4-13, 1988

      10 김하수, "국어 순화의 비판적 대안" 국립국어원 21 (21): 123-136, 2011

      1 김정수, "한국말 가다듬기 – 국어 순화의 목표와 방법" 15-23, 2013

      2 고광모, "좌담-국어 순화의 바른 길" 국립국어연구원 14 : 59-79, 1988

      3 김석득, "우리말 순화의 원리 – 우리말의 세계화를 내다보면서" 사단법인 국어순화추진회 1-14, 2013

      4 피터 로드니, "쉬운 언어 정책과 자국어 보호 정책의 만남" 피어나 2013

      5 이정복, "사회언어학에서 본 국어 순화의 문제점" 한국사회언어학회 11 (11): 187-214, 2003

      6 민현식, "국어정책 60년의 평가와 반성"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31 : 37-74, 2003

      7 박갑수, "국어순화운동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9 : 61-69, 1976

      8 박성의, "국어순화운동의 이념"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1 : 3-23, 1977

      9 김민수, "국어 순화의 현실과 전망" 국립국어연구원 14 : 4-13, 1988

      10 김하수, "국어 순화의 비판적 대안" 국립국어원 21 (21): 123-136, 2011

      11 김하수, "국어 순화의 문제점과 극복의 길" 국립국어원 15 (15): 19-35, 2005

      12 민현식, "국어 순화의 국어학적 연구" 33-212, 2003

      13 김선철, "국어 순화의 개념과 방향 설정에 대하여" 한국사회언어학회 17 (17): 1-23, 2009

      14 남기심, "국어 순화와 관련하여" 국립국어연구원 9-11, 2003

      15 허웅, "국어 순화는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1 : 125-153, 1977

      16 이남호, "국어 순화는 국어 풍요가 되어야 한다" 15 (15): 89-101, 2005

      17 한재영, "국어 순화, 왜 필요한가?-다시 생각해 보는 국어 순화" 국립국어연구원 15-27, 2003

      18 유재원, "국어 순화, 왜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나?" 국립국어원 15 (15): 7-17, 2005

      19 최용기, "국어 순화 정책의 역사와 개관" 국립국어연구원 3-30, 2003

      20 고길섶, "국어 순화 정책, 무엇이 문제인가?-국어 순화 정책의 역사적, 문화적비판" 국립국어연구원 35-44, 2000

      21 남영신, "국어 순화 정책 방향 모색" 국립국어연구원 83-96, 2000

      22 崔炅鳳, "外來語 使用의 肯定的?否定的 側面과 그 受容 方案"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365-388, 2007

      23 Jernudd, B.H., "The politics of language purism" Mouton de Gruyter 1989

      24 Shapiro, M.J, "The politics of language purism" Mouton de Gruyter 21-29, 1989

      25 Langer, N., "The Handbook of historical sociolinguistics" Wiley-Blackwell 607-625, 2012

      26 Langer, N., "Linguistic purism in the Germanic languages" Walter de Gruyter 1-17, 2005

      27 Thomas, G, "Linguistic purism" Longman 1991

      28 Trask, R.L, "Key concepts in language and linguistics" Routledge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