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모듈을 탈부착 할 수 있는 의복 형태의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탈부착 모듈은 의복에 부착되었을 때 배터리와 메인 모듈로 연결되는 버스 모듈구조로 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0921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모듈을 탈부착 할 수 있는 의복 형태의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탈부착 모듈은 의복에 부착되었을 때 배터리와 메인 모듈로 연결되는 버스 모듈구조로 되...
본 연구에서는 모듈을 탈부착 할 수 있는 의복 형태의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디자인을 제안한다. 탈부착 모듈은 의복에 부착되었을 때 배터리와 메인 모듈로 연결되는 버스 모듈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한 모듈만 착용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모듈을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컴퓨터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복에 모듈을 고정시키는 기존의 웨어러블 컴퓨터에 비해 세탁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전선을 내피에 은폐시키는 기존방식에서 벗어나 웨어넷을 외부로 장식화시킴으로 사용자의 개성 표현을 유도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탈부착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에게 적합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이를 검토한 결과, 모듈의 착용성과 모듈의 안정성은 상충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모듈이 의복 바깥에 부착되면 착용성은 좋으나 외부의 충격을 받을 수 있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반면([그림 2]의 좌측), 모듈을 의복 내에 부착하면 안정성은 좋으나 모듈이 내부로 돌출되어 착용성이 떨어진다([그림 3]의 우측). 따라서 두 가지 안의 절충안으로 모듈의 반은 돌출되고, 반은 의복에그림 모듈과 의복 간의 위치 관계 은폐되는 형태를그림 탈부착 모듈의 폼팩터 선택하였다([그림 2]의 중앙).
또한 심미성을 고려하여 모듈의 중앙에 날개 부분을 달아 모듈이 의복과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모듈이 얇게 보이게 하고, 모듈홀더 부분과 의복의 연결부분을 가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기존에 사용되어 지고 있는 와이어는 터널처럼 와이어를 원기둥 형태로 감쌀는 방법을 채택할 수 도 있지만 이는 착용감이 떨어짐을 알수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의복과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고 플렉서블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샘플작업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형태나 부착방법을 연구하여 사용자의 자율성과 장식성이 부각될 수 있도록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