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4-D 0.5mg/1에서 배발생캘러스 생장과 발생빈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2. 배지 중에서 MS배지가 체세포배 형성과 생육에 좋았으며, 1X MS배지 보다 1/2X MS배지가 배형성에 더 효과적이었다. 3. 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46188
1994
Korean
524
KCI우수등재,SCOPUS
학술저널
44-50(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2.4-D 0.5mg/1에서 배발생캘러스 생장과 발생빈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2. 배지 중에서 MS배지가 체세포배 형성과 생육에 좋았으며, 1X MS배지 보다 1/2X MS배지가 배형성에 더 효과적이었다. 3. 탄...
1. 2.4-D 0.5mg/1에서 배발생캘러스 생장과 발생빈도가 가장 양호하였다. 2. 배지 중에서 MS배지가 체세포배 형성과 생육에 좋았으며, 1X MS배지 보다 1/2X MS배지가 배형성에 더 효과적이었다. 3. 탄소원으로는 sucrose가 효과적이었다. 농도는 1%처리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체세포배 형성이 억제되었다. 4. Sucrose 대신 sugar 처리에서도 체세포배 형성이 앙호하였다. 5. 질소원으로는 KNO3 825mg / l 와 NH4NO3 238mg /l 처리가 배발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appropriate medium(especially, carbon and nitrogen source ) for somatic embryogenesis in order to develop the rapid mass production system in suspension culture of chuanxiang Hort. Suitable medium for somatic 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appropriate medium(especially, carbon and nitrogen source ) for somatic embryogenesis in order to develop the rapid mass production system in suspension culture of chuanxiang Hort. Suitable medium for somatic embryo formation was MS medium. The half strength MS medium was effective for somatic embryo development. Sucrose was the most effective carbon source for somatic embryo formation, however, production of somatic embryos was reduced at higher concentration of sucrose. Effects of suger was the same as sucrose. Somatic embryo formation was higher as the decrease of NH4NO3, and optimum ratio of KNO3 : NH4NO3 was 825 : 238mg /1. Regenerated plant was obtained in MS basal medium and survival late of plantlet was 60-70% after transplanted directly to the vermiculite.
수집종(蒐集種) 쑥(Artemisia sp.)의 조기(早期) 재배시(栽培時) 생육특성(生育特性)과 화학성분(化學成分) 함량(含量)
인삼(人蔘)잎의 수분(水分) Potential과 광합성(光合成)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의 수정현상(受精現象)에 관(關)한 연구(硏究)
참당귀(當歸)의 생육단계별(生育段階別) GA3, IAA 및 ABA 함량변화(含量變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