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잡 크래프팅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Occupational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Based on the Job Crafting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5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in their occupations using the Job Crafting model. This study was identified that the nurses’ occupational motivation affected task, cognitive, and relational crafting. The factors affecting job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were also identified.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96 participating nurses working in common general hospitals and tertiary hospitals within South Kore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verify the fitness of this model.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motivation was positive affectivity job crafting. Cognitive craf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embeddedness. As a result of comparing by size of the hospital, the Job Crafting model validated in this study showed higher fitness at tertiary hospitals than in common general hospitals. Conclusion: We found that nurses’ job crafting behavior and occupational motivation cause them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which are factors of job effectivenes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in their occupations using the Job Crafting model. This study was identified that the nurses’ occupational motivation affected task, co...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motivation and effectiveness in their occupations using the Job Crafting model. This study was identified that the nurses’ occupational motivation affected task, cognitive, and relational crafting. The factors affecting job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were also identified.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96 participating nurses working in common general hospitals and tertiary hospitals within South Korea.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verify the fitness of this model.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motivation was positive affectivity job crafting. Cognitive craf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ask and relational crafting, but task crafting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embeddedness. As a result of comparing by size of the hospital, the Job Crafting model validated in this study showed higher fitness at tertiary hospitals than in common general hospitals. Conclusion: We found that nurses’ job crafting behavior and occupational motivation cause them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embeddedness, which are factors of job effectiv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의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직무자율성, 직무복잡성,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지지의 동기부여가 업무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과 조직몰입 및 직무배태성의 직무효과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적합도롤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59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고, 수정모형에 대한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다중집단모형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최종모형의 결과에서 외생변수인 간호사의 동기부여 요인은 내생변수인 잡 크래프팅과 직무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잡 크래프팅의 인지 크래프팅은 업무 크래프팅과 관계 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업무 크래프팅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조직몰입은 직무배태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병원의 규모에 따른 모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에서 종합병원보다 모형의 적합성이 더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잡 크래프팅 행위와 이를 유발하는 동기부여요인이 직무효과 요인인 조직몰입과 직무배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의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직무자율성, 직무복잡성,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지지의 동기부여가 업...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의 모델에 근거한 간호사의 동기부여와 직무효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직무자율성, 직무복잡성, 긍정심리자본 및 사회적지지의 동기부여가 업무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과 조직몰입 및 직무배태성의 직무효과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적합도롤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59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고, 수정모형에 대한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다중집단모형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최종모형의 결과에서 외생변수인 간호사의 동기부여 요인은 내생변수인 잡 크래프팅과 직무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잡 크래프팅의 인지 크래프팅은 업무 크래프팅과 관계 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업무 크래프팅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조직몰입은 직무배태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병원의 규모에 따른 모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에서 종합병원보다 모형의 적합성이 더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잡 크래프팅 행위와 이를 유발하는 동기부여요인이 직무효과 요인인 조직몰입과 직무배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명기,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JCQ-K)의 타당화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1 (21): 181-206, 2014

      2 임태홍,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PPC) 타당화 검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 (16): 157-166, 2014

      3 송영선, "조직문화 유형과 학습조직 수준 및 조직효과성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1 (11): 115-151, 2009

      4 이성화, "조직구성원에게 인식된 조직의 미덕이 직무성과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경영정보학회 35 (35): 81-108, 2016

      5 박선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이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325-334, 2015

      6 이슬기, "상사의 분노표출이 창의 과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정 정서의 매개효과와 리더 동일시의 조절 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339-366, 2014

      7 김은희,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 18 (18): 394-401, 2012

      8 Gavin R. Slemp, "Workplace Well-Being: The Role of Job Crafting and Autonomy Support"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5 (5): 2015

      9 Michael P. O’Driscoll, "Work/family conflict,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 longitudinal study in New Zealand" Emerald 23 (23): 36-56, 2004

      10 Terence R. Mitchell,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44 (44): 1102-1121, 2001

      1 임명기,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JCQ-K)의 타당화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1 (21): 181-206, 2014

      2 임태홍, "한국판 긍정심리자본척도(K-PPC) 타당화 검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6 (16): 157-166, 2014

      3 송영선, "조직문화 유형과 학습조직 수준 및 조직효과성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1 (11): 115-151, 2009

      4 이성화, "조직구성원에게 인식된 조직의 미덕이 직무성과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한경영정보학회 35 (35): 81-108, 2016

      5 박선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이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325-334, 2015

      6 이슬기, "상사의 분노표출이 창의 과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정 정서의 매개효과와 리더 동일시의 조절 효과"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7 (27): 339-366, 2014

      7 김은희,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 18 (18): 394-401, 2012

      8 Gavin R. Slemp, "Workplace Well-Being: The Role of Job Crafting and Autonomy Support"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5 (5): 2015

      9 Michael P. O’Driscoll, "Work/family conflict,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 longitudinal study in New Zealand" Emerald 23 (23): 36-56, 2004

      10 Terence R. Mitchell,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44 (44): 1102-1121, 2001

      11 Justin M. Berg, "When Callings Are Calling: Crafting Work and Leisure in Pursuit of Unanswered Occupational Callings"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 (INFORMS) 21 (21): 973-994, 2010

      12 Koo J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proactive behavior" Korea University 2009

      13 Richard T Mowday,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Elsevier BV 14 (14): 224-247, 1979

      14 Slemp GR,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3 (3): 126-146, 2013

      15 Shusha A,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vidence from egyptian medical centers" 7 (7): 140-149, 2014

      16 Frederick P. Morgeson, "The Work Design Questionnaire (WDQ): Developing and validating a comprehensive measure for assessing job design and the nature of work."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1 (91): 1321-1339, 2006

      17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8 "Survey of nurse activity statu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9 Yu JP,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 and understanding" Hannarae Publishing Co 160-176, 2012

      20 Ghitulescu BE, "Shaping tasks and relationships at work: Examin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loyee job crafting" University of Pittsburgh 2006

      21 FRED LUTHA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ley 60 (60): 541-572, 2007

      22 Tiago Esteves, "Leading to Crafting: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Perception and Nurses’ Job Crafting" SAGE Publications 39 (39): 763-783, 2017

      23 Gordon HJ, "Job crafting and performance of dutch and american health care professionals" 14 (14): 192-202, 2015

      24 Isabelle Joumard, "Health Care Systems: Efficiency and Institutions" Elsevier BV 2010

      25 Douglas C. Maynard,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Task Complexity on Performance" Informa UK Limited 10 (10): 303-330, 1997

      26 Amabile T, "Do happier people work harder" New York Times

      27 "Current status of medical institutions" National Health Insurance Sharing Service, Health Insurance Statistics

      28 김미지, "Culture-Work-Health 모델에 근거한 임상간호사의 직장 삶의 질 구조모형 구축" 한국간호과학회 45 (45): 879-889, 2015

      29 Amy Wrzesniewski,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26 (26): 179-201, 2001

      30 Mohw press release, "2030, 158,000 nurses and 7,600 doctors will have a tribal perspectiv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asures to manage medical personnel supply and dem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98 2.98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6 2.96 4.5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