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공관리의 등장으로 인해 행정학적 차원에서 공적 성과의 도출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성과 도출을 위해 조직문화의 조성이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지만, 조직 내에 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16468
2021
Korean
학술저널
363-38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신공공관리의 등장으로 인해 행정학적 차원에서 공적 성과의 도출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성과 도출을 위해 조직문화의 조성이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지만, 조직 내에 얽...
신공공관리의 등장으로 인해 행정학적 차원에서 공적 성과의 도출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성과 도출을 위해 조직문화의 조성이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지만, 조직 내에 얽혀있는 수많은 정치적 조직문화들은 공공조직에 속해 있는 개인으로 하여금 성과를 도출하는 것보다 조직에 융화되는 것을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게 한다. 정치적 조직문화는 개인에게 의사결정 시 침묵하도록 직·간접적인 압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성과 도출에 있어, 조직정치와 조직침묵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조직 내 정치 문화와 정부성과 간에 인과적 관계에서 조직침묵이 매개적 영향력을 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조직침묵은 침묵에 대한 개인의 태도에 따라 체념적 침묵, 순응적 침묵, 친사회적 침묵으로 구분하여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기반으로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직정치가 개인에게 ‘수동적’인 선택을 하도록 압력을 가할 것이라 판단하여 ‘수동성’에 기반한 체념적 침묵과 순응적 침묵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선행연구에서와 동일하게 본 연구에서도 조직 내 정치는 정부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정치는 체념적 침묵과 순응적 침묵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체념적 침묵은 정부성과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순응적 침묵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직정치가 정부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침묵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변수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공공조직에서의 성과 도출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인력의 전문성 제고방안 - 재난안전관리 업무담당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