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음악과 교수역량 교과목 연구 = A Study on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of Music i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45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에 들어서 경제적 성장과 함께 문화예술의 향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제정하고 다양한 경로로 문화예술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는 문화예술지원정책의 하나로서 2012년에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내용과 변천을 살펴보고 그중의 한 분야인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수역량 교과목을 고찰하고자 한다. 교수역량 교과목은 예술가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가로서의 자질을 육성하는 것과 학교 및 사회전반의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할 교육가의 역량을 기르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음악과 교수역량 교과목을 살펴볼 때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실질적으로 유용한 내용의 교과목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기에 이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21세기에 들어서 경제적 성장과 함께 문화예술의 향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제정하고 다양한 경로로 문화예술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문화예...

      21세기에 들어서 경제적 성장과 함께 문화예술의 향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가에서는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을 제정하고 다양한 경로로 문화예술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는 문화예술지원정책의 하나로서 2012년에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내용과 변천을 살펴보고 그중의 한 분야인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수역량 교과목을 고찰하고자 한다. 교수역량 교과목은 예술가로서 뿐만 아니라 교육가로서의 자질을 육성하는 것과 학교 및 사회전반의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할 교육가의 역량을 기르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음악과 교수역량 교과목을 살펴볼 때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실질적으로 유용한 내용의 교과목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기에 이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as the nation-wide interests in the enjoyment of arts and culture have increased,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Act and implemented the policies on arts and culture in various ways. The Arts and Culture Educator System is one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olicies, which started in 2012 and still working.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and chronological change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or system. Also,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of music i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will be focused.
      The curriculum of cultural arts educator System should be focused on raising capacity and quality of educators, so that they can take charg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schools and societies as a whole.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aims at equipping the trainees as artists and educators. This paper will examine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of Music i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for the purpose of finding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번역하기

      In the 21st century, as the nation-wide interests in the enjoyment of arts and culture have increased,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Act and implemented the policies on arts and culture in various ways. The Arts ...

      In the 21st century, as the nation-wide interests in the enjoyment of arts and culture have increased,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Act and implemented the policies on arts and culture in various ways. The Arts and Culture Educator System is one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olicies, which started in 2012 and still working.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and chronological changes of the arts and culture educator system. Also,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of music i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will be focused.
      The curriculum of cultural arts educator System should be focused on raising capacity and quality of educators, so that they can take charg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schools and societies as a whole.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aims at equipping the trainees as artists and educators. This paper will examine Teaching Competency Curriculum of Music in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for the purpose of finding problems and suggesting solu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유정,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조사: 활동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2016

      2 남기현, "해외 예술강사 사례를 통해 본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방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1 (11): 1-28, 2013

      3 최미영,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음악교수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163-184, 2015

      4 신지혜, "중등교사양성프로그램이 예비음악교사의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음악교육학회 45 (45): 169-186, 2016

      5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교육지원법시행령"

      6 신지영, "소외계층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성취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다솜,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서울교대 2016

      8 강성룡,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과 창의성"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05-27, 2012

      9 남기현, "문화예술교육사(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수진,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현황 조사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 임유정, "현직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국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조사: 활동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2016

      2 남기현, "해외 예술강사 사례를 통해 본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방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1 (11): 1-28, 2013

      3 최미영,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음악교수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163-184, 2015

      4 신지혜, "중등교사양성프로그램이 예비음악교사의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음악교육학회 45 (45): 169-186, 2016

      5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교육지원법시행령"

      6 신지영, "소외계층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성취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다솜,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서울교대 2016

      8 강성룡, "문화예술교육사의 역량과 창의성"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05-27, 2012

      9 남기현, "문화예술교육사(Arts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0 김수진, "문화예술교육사 제도도입에 따른 대학 무용(학)과 교과현황 조사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1 이주연,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립을 위한 전문예술교육가(TA) 해외 사례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33 (33): 267-286, 2012

      12 권영임,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가치와 발전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5 (15): 601-617, 2015

      13 이하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교육과정 참여자의 교육만족도 및 행동의도" 숙명여대 2014

      14 임학순, "문화예술교육사 국가자격증제도 도입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개발방향 모색" 6 : 2012

      15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사 2급과정 안내"

      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교수자용)"

      17 송미숙, "문화예술교육 지원 단체 및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31 (31): 77-102, 2013

      18 소경희, "독일 함부르크 주의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 탐색" 한국음악교육학회 43 (43): 25-45, 2014

      19 이인선, "대한민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예술지원정책 연구 : 음악교육지원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1

      20 윤명원, "국악 전공자의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이수 전략"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7) : 227-242, 2013

      21 심지원, "국내 예술교육가(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현황 및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2 이수지, "교육대학원 커리큘럼과 2009 개정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학교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3 김지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4 민경훈, "교과교육학의 관점에서 중등학교 음악 교사의 역량 강화에 관한 논의"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8) : 251-274, 2014

      25 문화체육관광부, "개정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안내 (리플릿)"

      26 Lehmann, Gabrielle, "Zum Kompetenzmodelle"

      27 Reinmann, Gabi, "Foerderung von Lehrkompetenz in der wissenschaftlichen Weiterbildung: Ausgangslage, Anforderungen und erste Ideen. Aktionsfelder von Hochschuldidaktik, Von der Weiterbildung zum Diskurs" Muenster Waxmann 2011

      28 이영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역량 증진에 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5 (45): 187-216,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0-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KCI등재후보
      2008-10-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0.78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