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억의 표상에 담긴 지역성 연구: 필리핀 위안부 동상을 중심으로 = Filipino Cultural Identity Reflecting in the Image of the Philippine Comfort Woman Stat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8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Filipino cultural identity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Philippine comfort woman statue, which was created as a representation of memories of the Filipino comfort women during the World War II. As a new approach to the field of area study,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which is a method of understanding texts in the field of literature. Since the comfort woman statue represents the grieved memories of the comfort women during the international war time, the analysis of the image was focused on 'femininity' and 'nationalism'. As for comparison, the Korean comfort woman statue, the Statue of Peace, was taken into the analysis. Upon analyzing, it can be seen that Filipino perception of femininity emphasizes ‘beauty’ rather than ‘purity’ that expressed in the Statue of Peace. And the Philippine nationalism expressed through the comfort woman statue can find ‘elitist and inclusive’ characteristics, unlike the ‘popular and resis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Filipino cultural identity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Philippine comfort woman statue, which was created as a representation of memories of the Filipino comfort women during the World War II. As a new approach to the...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Filipino cultural identity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Philippine comfort woman statue, which was created as a representation of memories of the Filipino comfort women during the World War II. As a new approach to the field of area study,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which is a method of understanding texts in the field of literature. Since the comfort woman statue represents the grieved memories of the comfort women during the international war time, the analysis of the image was focused on 'femininity' and 'nationalism'. As for comparison, the Korean comfort woman statue, the Statue of Peace, was taken into the analysis. Upon analyzing, it can be seen that Filipino perception of femininity emphasizes ‘beauty’ rather than ‘purity’ that expressed in the Statue of Peace. And the Philippine nationalism expressed through the comfort woman statue can find ‘elitist and inclusive’ characteristics, unlike the ‘popular and resis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리차드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11

      2 윤택림, "한국학 연구방법의 모색: 문화기술지적 방법(ethnographic method)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6 (26): 107-124, 2003

      3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년사 편찬위원회, "한국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20년사" 한울아카데미 2014

      4 김부자, "한국의 <평화의 소녀상>과 탈진실(post-truth)의 정치학: 일본의 식민주의/남성중심적인 내셔널리즘과 젠더를 검토한다" 한국여성학회 33 (33): 279-322, 2017

      5 김진령, "한국을 휩쓰는 평화의 소녀상 설립 열기" 174-191, 2015

      6 박지윤, "텍스트 이해를 위한 상호텍스트 활용의 실제 -문학 텍스트와 미디어 텍스트의 징표와 변형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4) : 99-126, 2013

      7 수잔 손택, "타인의 고통" 도서출판 이후 2004

      8 야노토르, "지역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9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뿌리와 이파리 2013

      10 김은경,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의 ‘위안부’ 재현과 기억 정치" 한국학연구소 (35) : 177-203, 2010

      1 리차드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2011

      2 윤택림, "한국학 연구방법의 모색: 문화기술지적 방법(ethnographic method)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6 (26): 107-124, 2003

      3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년사 편찬위원회, "한국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20년사" 한울아카데미 2014

      4 김부자, "한국의 <평화의 소녀상>과 탈진실(post-truth)의 정치학: 일본의 식민주의/남성중심적인 내셔널리즘과 젠더를 검토한다" 한국여성학회 33 (33): 279-322, 2017

      5 김진령, "한국을 휩쓰는 평화의 소녀상 설립 열기" 174-191, 2015

      6 박지윤, "텍스트 이해를 위한 상호텍스트 활용의 실제 -문학 텍스트와 미디어 텍스트의 징표와 변형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4) : 99-126, 2013

      7 수잔 손택, "타인의 고통" 도서출판 이후 2004

      8 야노토르, "지역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9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뿌리와 이파리 2013

      10 김은경,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의 ‘위안부’ 재현과 기억 정치" 한국학연구소 (35) : 177-203, 2010

      11 우에노 치즈코,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다시 쓰는 내셔널리즘과 젠더" 현실문화 2014

      12 최은주, "위안부=‘소녀’상과 젠더 - ‘평화의 비’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66) : 243-262, 2016

      13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이론과 실천을 위한 기억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458-, 2005

      14 김학이,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33 : 227-258, 2005

      15 김도남,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텍스트 이해 단계 설정 검토" 6 : 191-230, 2001

      16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도서출판 박이정 2014

      17 박건용, "상호텍스트성 이론에 따른 텍스트 분석의 한 유형: 프리쉬의 『비더만과 방화범들』의 경우" 22 : 383-409, 2001

      18 김서경, "빈 의자에 새긴 약속 : 평화의 소녀상 작가 노트" 도서출판 말 2016

      19 서지원, "민간 기념물과 논쟁적 기억: 민주화 이후 인도네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 25 (25): 1-47, 2015

      20 정기철, "문화 해석의 진리: 상대주의적 해석" 한국해석학회 (20) : 213-243, 2007

      21 최호림, "동남아시아의 박물관 : 국가 표상과 기억의 문화정치" 이매진 2011

      22 호세 리살, "나를 만지지 마라 1, 2" 도서출판 눌민 2015

      23 전진성, "기억의 정치학을 넘어 기억의 문화사로: '기억' 연구의 방법론적 진전을 위한 제언" 역사문제연구소 (76) : 451-483, 2006

      24 김상준, "기억의 정치학: 야스쿠니 vs. 히로시마" 한국정치학회 39 (39): 215-236, 2005

      25 마단 사럽, "구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하우스 2012

      26 Mosbergen, Dominique, "The Harrowing Story Of Filipina Women Enslaved In Japan's Wartime Rape Camps"

      27 Klein, Ronald D., "Markova: Wartime Comfort Gay in the Philippines, Interview with Walter Dempster, Jr. Intersections: Gender, History and Culture in the Asian Context"

      28 Henson, Maria Rosa, "Maria Rosa Henson: Comfort Woman, Slave of Destiny" Philippine Center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1996

      29 Pitlo, Lucio Blanco III, "Japan's discomfort with history and the PH dilemma"

      30 Seow, Christine, "Interview with Che Tagyamon, Director of Lola Loleng"

      31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Philippine Edition" Anvil Publishing, Inc 1983

      32 Dong, Chengwen, "Feature: Philippines unveils World War II sex slave statue in Manila"

      33 Cepeda, Cody, "8 Facts You Should Know about Filipino Comfort Wom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2 0.812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