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과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 및 지식의 주요 원천으로서의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은 인간의 기억 활용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환경 특히,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트랜잭티브 메모리에 대한 ...

      정보 및 지식의 주요 원천으로서의 인터넷의 폭발적 성장은 인간의 기억 활용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환경 특히,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트랜잭티브 메모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트랜잭티브 메모리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공유된 기억체계를 의미한다.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사람들은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증대됨에 따라 트랜잭티브 메모리는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그 유용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랜잭티브 메모리를 형성하고 활용하는 개인의 역량을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이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는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자기감시성, 핵심자기평가를 제시하였고,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이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과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직장인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연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델에 포함된 네 가지 선행요인은 개인의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트랜잭티브 메모리 역량은 테르티우스 융겐스 성향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토의와 함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plosive growth of the internet as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as greatly impacted the manner in which people make use of their memory. As a result, interest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in the role of transact...

      The explosive growth of the internet as the main sourc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as greatly impacted the manner in which people make use of their memory. As a result, interest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in the role of transactive memory in a social media environment, has been heightened. Transactive memory means the shared memory system which is forme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people. Through social media, people have been able to form various human networks, which in turn have made it possible to acquire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is sense, the utility of transactive memory has been further increased in a soci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introduced social interaction, social presence, self-monitoring, and core self-evaluation as the factors impacting the formation of transactive memory capacity. The impact of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on the tertius iungens orientation and individual job performance were also verified. Data from 225 workers was collec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was empirically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revealed that the four antecedent s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significantly impacted individuals’ transactive memory capability, and t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