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항운동 후 트레드밀 걷기 강도 차이가 비만중년여성의 혈중 아디포넥틴, 레지스틴, 렙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besity middle-age woman's adiponectin, resistin, and leptin in blood, by differences in intensity of treadmill walking after weight trai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9843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way of exercise for fat loss of middle-age women by finding pertinent intensity of walking exercise that is carried out after weight training, and it is done by checking any changes in adiponectin, resistin, and leptin ...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way of exercise for fat loss of middle-age women by finding pertinent intensity of walking exercise that is carried out after weight training, and it is done by checking any changes in adiponectin, resistin, and leptin after doing walking exercise at 40%, 50%, and 60% of intensity. Research subjects are 28 females between 42-53 years old with over 30% body fat, and separated into groups of no-exercise, 40%, 50%, 60% walking intensity after weight training, 7 people for each group. Adiponectin, resistin and leptin are used for blood analysis, and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of SPSS 17.0 program is used for data processing. For adiponectin, 50% exercise intensity group has higher adiponectin level than 40% and 60% groups, and 40% and 60% intensity group have higher level than non-exercise group. For resistin, 60% and 50% intensity groups show higher level than non-exercise group. For leptin, 50% and 60% intensity groups have higher leven than 40% intensity and non-exercise group. Accordingly, walking exercise after finishing weight training is giving positive effects to obesity related factors of this research, and especially 50% to 60% intensity of walking exercise is appeared to be more effective intensity of walking to fight against obes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규, "유산소성 운동과 비만여고생의 신체조성, 인슐린, 렙틴,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2 최춘길,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 및 저항운동의 병행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혈중지질, 렙틴 및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 (43): 579-588, 2004

      3 고기준, "유ㆍ무산소 운동 참여가 비만 여성들의 Leptin과 혈청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1 (11): 421-430, 2002

      4 박진국, "웨이트 트레이닝 후 정리운동의 형태가 SOD, CAT및 MDA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5) : 815-824, 2009

      5 박진국, "웨이트 트레이닝 후 정리운동의 형태가 SOD, CAT및 MDA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5) : 815-824, 2009

      6 김상원,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렙틴, 혈중지질, 유산소 운동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9

      7 나승희, "비만중년여성들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신체구성 및아디포넥틴과 C-반응성 단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1025-1032, 2007

      8 박재현, "비만 중년여성의 복합운동이 아디포넥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107-116, 2005

      9 이강옥, "비만 여성들의 저칼로리 식이와 복합 운동이 신체조성 및 adipocytokines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1157-1169, 2007

      10 신윤아, "복합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비만인의 렙틴, 아디포넥틴 농도와 대사증후군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4 (14): 569-582, 2005

      1 이재규, "유산소성 운동과 비만여고생의 신체조성, 인슐린, 렙틴,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2 최춘길, "유산소 운동과 유산소 및 저항운동의 병행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혈중지질, 렙틴 및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 (43): 579-588, 2004

      3 고기준, "유ㆍ무산소 운동 참여가 비만 여성들의 Leptin과 혈청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1 (11): 421-430, 2002

      4 박진국, "웨이트 트레이닝 후 정리운동의 형태가 SOD, CAT및 MDA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5) : 815-824, 2009

      5 박진국, "웨이트 트레이닝 후 정리운동의 형태가 SOD, CAT및 MDA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5) : 815-824, 2009

      6 김상원, "운동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렙틴, 혈중지질, 유산소 운동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9

      7 나승희, "비만중년여성들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신체구성 및아디포넥틴과 C-반응성 단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1025-1032, 2007

      8 박재현, "비만 중년여성의 복합운동이 아디포넥틴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107-116, 2005

      9 이강옥, "비만 여성들의 저칼로리 식이와 복합 운동이 신체조성 및 adipocytokines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1157-1169, 2007

      10 신윤아, "복합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비만인의 렙틴, 아디포넥틴 농도와 대사증후군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14 (14): 569-582, 2005

      11 김태운, "복합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여대생의 염증지표와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4) : 955-962, 2008

      12 김유섭, "복합운동과 물리치료 수중운동 요법 병행이중년 비만여성의 내장지방 및 아디포넥틴과 레지스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4 (44): 417-428, 2005

      13 이충휘, "등장성 혹은 등척성 정리운동이 동적근력회복에 미치는 효과" 1 (1): 67-74, 1994

      14 장재훈, "걷기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비만지표와 렙틴, 아디포넥틴 및 그렐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성" 한국체육학회 46 (46): 419-428, 2007

      15 Yang, W.S, "Weight reduction increases plasma levels of an adipose-derived anti-inflammatory protein, adiponectin" 86 : 3815-3819, 2001

      16 Paffenbarger RS Jr, "The association of hanges in physical-activity level and other lifestyle characteristics with mortality among men" 328 (328): 538-545, 1993

      17 Shuldiner, A.R, "Resisti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The emerging role of the adipocyte as an endocrine organ" 345 : 1345-1346, 2001

      18 Kim, B, "Resistin inhibitsglucose up take in L6 Skeletal muscle cell independent of changes in insulin signaling components and Glut-4 translocation" 285 : E 106-115, 2002

      19 Yatagai, T, "Relation -ship between exercise training-induced increase in insulin sensitivity and adiponectinemia in healthy men" 50 (50): 233-238, 2003

      20 Fruebis, J, "Proteolytic cleavage product of 30-kDa adipocyte complement-related protein increases fatty acid oxidation in muscle and causes weight loss in mice" 98 : 2005-2010, 2001

      21 Hotta, K, "Plasma concentrations of a novel, adipose- specific protein, adiponecti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20 : 1595-1599, 2000

      22 Hotta, K, "Plasma concentration of a novel, adipose- specific protein, adiponecti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20 : 1595-1599, 2000

      23 Lacroix AZ, "Maintaining mobility in late life II Smoking,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137 (137): 858-869, 1993

      24 Kopelman, P.G, "Is obesity a disease" 25 : 1405-, 2001

      25 Matsubara, M,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adiponectin and leptin concentrations in normal-weight and obese women" 147 : 173-180, 2002

      26 Maeda, K, "DNA cloning and expression of a novel dipose specific collagen-like factor, apM1(Adipose ost abundant Gene transcript" 221 : 286-289, 1996

      27 Yamamoto, Y, "Correlation of the adipocyte- derived protein adiponectin with insulin resistance index and serum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dependent of body mass index, in the Japanese population" 103 : 137-142, 2002

      28 Yamauchi, T, "Cloning of adiponectin receptors that mediate antidiabetic metabolic effects" 423 (423): 762-769, 2003

      29 Bjorntorp, P, "Calssification of obese patients and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surplus fat" 6 : 131-137, 1990

      30 Yannakoulia, M, "Body fat mass and macronutrient intake in relation to circulating soluble leptin receptor, free leptin index, daiponectin, and resistin concentrations in healthy humans" 88 : 1730-1736, 2003

      31 Hara, T, "Body composition is related to increase in plasma adiponectin levels rather than training in young obese men" 94 (94): 520-526, 2005

      32 Robert, R. K, "Adiponectin responses to continuous and progressively intense intermittent exercise" 1320-1325, 2003

      33 Hulver, M.W, "Adiponectin is not altered with exercise training despite enhanced insulin action" 283 (283): 861-E865, 2002

      34 Boudou, P, "Absence of exercise-induced variations in adiponectin levels despite decreased abdominal adiposity and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men" 149 (149): 421-42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