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빠른 음주시작이 알코올사용장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31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의 목적은 음주시작 연령, 성 연령, 문제음주 가족력 및 문제음주의 위험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음주문제를 예방하고 개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지난 1년간 음주경험이 있는 1,11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1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시작연령은 성, 연령, 음주문제 가족력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빠른 음주시작 연령(15세 이전)은 늦은 음주시작 연령(19세 이후)에 비해 알코올사용 장애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음주시작 연령은 음주문제 위험수준을 예측하는 강력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주시작 연령을 지연시키는 음주 예방 전략이 적절한 목표임을 시사한다. 예방 프로그램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음주시작 연령, 성 연령, 문제음주 가족력 및 문제음주의 위험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음주문제를 예방하고 개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지난 1년간 음주경...

      본 연구의 목적은 음주시작 연령, 성 연령, 문제음주 가족력 및 문제음주의 위험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음주문제를 예방하고 개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지난 1년간 음주경험이 있는 1,11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1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시작연령은 성, 연령, 음주문제 가족력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빠른 음주시작 연령(15세 이전)은 늦은 음주시작 연령(19세 이후)에 비해 알코올사용 장애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음주시작 연령은 음주문제 위험수준을 예측하는 강력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주시작 연령을 지연시키는 음주 예방 전략이 적절한 목표임을 시사한다. 예방 프로그램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nset of alcohol drinking age (ADO), its precursor such as sex, age, family history of problem drinking, and the link to later risks of problem drink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1,117 drinkers in workplac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4.0 program. Sex, age, and family history of problem drinking were clearly linked to the ADO. Several factors including sex, age, family history of problem drinking, and drinking culture in work place were themselv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isk of alcohol disorder. However, early alcohol initiation of alcohol use (before age 15) predicts all risk levels of alcohol use disorder than later initiators(after age 19) under these factors are controll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laying the initiation of drinking may be an appropriate goal for prevention.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nset of alcohol drinking age (ADO), its precursor such as sex, age, family history of problem drinking, and the link to later risks of problem drink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nset of alcohol drinking age (ADO), its precursor such as sex, age, family history of problem drinking, and the link to later risks of problem drink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1,117 drinkers in workplac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4.0 program. Sex, age, and family history of problem drinking were clearly linked to the ADO. Several factors including sex, age, family history of problem drinking, and drinking culture in work place were themselv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isk of alcohol disorder. However, early alcohol initiation of alcohol use (before age 15) predicts all risk levels of alcohol use disorder than later initiators(after age 19) under these factors are controll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laying the initiation of drinking may be an appropriate goal for prevention.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문헌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및 논의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문헌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및 논의
      • Ⅴ. 결론: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2차년도)" 2004

      2 문옥륜, "한국 알코올 정책의 현황과 정책방향: 주류에 대한 건강부담금 부과가 필요하다" 3-44, 2002

      3 장승옥, "직장인의 알코올사용 위험수준, 근무환경 그리고 알코올 남용요인" 한국심리학회 27 (27): 469-484, 2008

      4 김재훈, "직장인들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5 이희종, "직장인 음주문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02

      6 김명순, "직업관련 특성이 여성의 음주소비에 미친 영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1-23, 2004

      7 장승옥, "음주행위의 성별 차이와 성역할 기대" 89-106, 2008

      8 통계청, "업로드파일 KN010501.xls & KN010505.xls"

      9 배경희, "성인 정신지체인의 음주행위에 관한 연구- 성, 연령, 고용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5 : 83-102, 2003

      10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사업장 근로자의 절주능력 증진을 위한 홍보전략개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06

      1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2차년도)" 2004

      2 문옥륜, "한국 알코올 정책의 현황과 정책방향: 주류에 대한 건강부담금 부과가 필요하다" 3-44, 2002

      3 장승옥, "직장인의 알코올사용 위험수준, 근무환경 그리고 알코올 남용요인" 한국심리학회 27 (27): 469-484, 2008

      4 김재훈, "직장인들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5 이희종, "직장인 음주문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02

      6 김명순, "직업관련 특성이 여성의 음주소비에 미친 영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1-23, 2004

      7 장승옥, "음주행위의 성별 차이와 성역할 기대" 89-106, 2008

      8 통계청, "업로드파일 KN010501.xls & KN010505.xls"

      9 배경희, "성인 정신지체인의 음주행위에 관한 연구- 성, 연령, 고용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5 : 83-102, 2003

      10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사업장 근로자의 절주능력 증진을 위한 홍보전략개발"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06

      11 조성기, "사업장 근로자의 절주능력 증진을 위한 홍보전략 개발" 건강증진기금 사업보고서 1-430, 2006

      12 정원철,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인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47-372, 2006

      13 김용석, "국내외 알콜사용장애선별척도의 비교를 통한 한국 성인의 알콜사용장애역학조사" 37 : 67-88, 1999

      14 이영준, "“알코올중독자 200만 시대… 재활시설 ‘감나무 집’에 가다,” 『서울신문』"

      15 Davey, J. D., "Work demographics and officers' percep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which add to the prediction of at risk alcohol consumption within an Australian police sample" 23 (23): 69-81, 2000

      16 Greenberg E. S., "Work alienation and problem alcohol behavior" 36 (36): 83-101, 1995

      17 Frone, M. R., "Work Stress and alcohol use" 23 (23): 284-291, 1999

      18 National Institute of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 "Underage drinking: Why do adolescents drink. what are the risks and how can underage drinking be prevented" 2006

      19 National Institute of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 "Underage drinking: A major public health challenge" 2003

      20 Roman, P. M., "The workplace and Alcohol Problem prevention" 26 (26): 49-57, 2002

      21 Sonnenstuhl, W., "The social construction of alcohol problems in a union's peer counseling program" 17 (17): 223-254, 1987

      22 Dawson, D. A., "The link between family history and early onset alcoholism: Earlier initiation of drinking or more rapid development of dependence?" 61 : 637-646, 2000

      23 Harford, T. C., "The impact of current residence and high school drinking on alcoho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63 (63): 271-279, 2002

      24 Nelson, C. B., "Temporal progression of alcohol dependence symptoms in the U. S. Household population: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morbidity Survey" 66 : 474-483, 1998

      25 Ames, G., "Social control and workplace drinking norms: A comparison of two organizational studies" 61 : 203-219, 2000

      26 Berglund, K, "Self-reported health functioning in Swedish alcohol-dependent individuals: Age and gender perspectives" 62 (62): 405-412, 2008

      27 Hawkins, J. 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alcohol and other drug problems in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Implications for substance abuse prevention" 112 : 64-105, 1992

      28 Hamilton, L. C., "Regression with Graphics: A Second Course in Applied Statistics" Duxbury Press 1992

      29 Leonard, K. E., "Peer and partner drinking and the transition to marriage: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selection and influence process" 12 (12): 115-125, 2003

      30 Warner, L. A., "Longitudinal effects of age at onset and first drinking situations on problem drinking" 38 (38): 1983-2016, 2003

      31 Hawkins, J. D., "Exploring the effects of age of alcohol use initiation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on subsequent alcohol misuse" 58 : 280-290, 1997

      32 LaBrie, J. W., "Early alcohol initiation increases risk related to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17 (17): 125-141, 2007

      33 Flory, K., "Early adolescent through young adult alcohol and marijuana use trajectories: early predictors, young adult outcomes and predictive utility" 16 : 193-213, 2004

      34 Park, H. S., "Drinking with co-workers: The utilities of social gatherings in the Korean civil engineering industry" 2004

      35 Andersson, C., "Alcohol involvement in swedich Universiy freshmen related to gender, age, serious relaionship and family history of alcohol Problems" 42 (42): 448-455, 2007

      36 Devon, J., "Alcohol in the vulnerable lives of college women" 48 (48): 2002

      37 Prause, J., "Alcohol Drinking Onset: A Reliability Study" 16 (16): 79-90, 2007

      38 National Institute of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Alcohol & Workplace" 1999

      39 Pitkanen, T., "Age of onset of drinking and he use of alcohol in adulthood: A follow-up study from age 8-42 for females and males" 100 : 652-661, 2005

      40 Hingson, R. W., "Age of drinking onset and unintentional injury involvement after drinking" 284 : 1527-1533, 2000

      41 Dooley, D., "Age of Alcohol Drinking Onset: Precursors and the Mediation of alcohol disorder" 15 (15): 19-37, 2005

      42 Grant, B. F., "Age at onset of alcohol use and its association with DSM-IV alcohol abuse and dependence: Result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alcohol epidemiologic survey" 9 : 103-110, 1997

      43 Bates, M. E., "Adolescent risk factors and the prediction of persistent alcohol and drug use into adulthood" 21 : 944-950, 1997

      44 Babor, T. F., "AUDIT: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

      45 Andersen, A., ""Tracking of drinking behaviour from age 15–19."Addiction 98,1505–1511" 98 : 1505-151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