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신건강복지법 개정 전후 응급입원 환자의 특성, 입원유지율 및형태, 재입원율 비교 =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Rate and Types of Admission Continuation, and Rate of Readmission in Psychiatric Emergency Hospitalization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Ac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2017년 개정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전후 응급입원 환자군의 특성, 입원유지비율, 입원 형태, 재입원율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

      목 적 :
      2017년 개정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전후 응급입원 환자군의 특성, 입원유지비율, 입원 형태, 재입원율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2016년, 2018년 각 6개월 동안 서울특별시 은평병원에 응급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445건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으며, 2016년에 입원한 224명과 2018년에 입원한 221명의 특성, 입원유지율 및 형태, 재입원율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
      정신건강복지법 개정 전후 두 군간 사회인구학적, 임상적 변인은 차이가 없었다. 응급입원에 이어 입원이 유지된 비율에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물질 사용 장애군을 제외 시 입원유지율이 감소하였다. 입원이 유지된 군에서 자의 입원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응급입원 후 퇴원한 환자 중 1개월 및 3개월 이내의 재입원율은 증가하였다.
      결 론 :
      응급입원에 이어 입원을 지속하는 환자 중 자발적 입원의 비율이 늘었으며, 이는 정신건강복지법의 개정 목적에 부합하는 변화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일부 환자 집단에서는 입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졌으며, 응급입원 퇴원 후 단시일 내의 재입 원율이 증가는 변화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정신건강복지법의 보완과 개선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rate and types of admission continuation, and rate of readmission in psychiatric emergency hospitalization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

      Objectives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rate and types of admission continuation, and rate of readmission in psychiatric emergency hospitalization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Act.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the 445 patients who underwent psychiatric emergency hospitalization at Seoul Metropolitan City Eunpyeong Hospital in 2016 and 201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and sociodemograhpic characteristics, rate and types of admission continuation, and rate of readmission were compared between 224 patients who admitted in 2016 and 221 patients who admitted in 2018.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t-test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Results :
      There is no difference in clinical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2016 and 2018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admission continuatio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act, while the rat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1.9% to 50.0% when patients with substance use disorder were excluded from overall group. Among those who maintained hospitalization, the proportion of voluntary admission increased from 5.5% to 13.1%. The rate of readmission after discharge from the emergency hospitalization within 1 and 3 month period increased after the revision of the act.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voluntary admission increased in admission continuation, and this change i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Act.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admission continuation decreased in a subgroup of patients, and the readmission rate after discharge from the emergency hospitalization increased.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Act needs further co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방 법
      • 결 과
      • 고 찰
      • 결 론
      • 서 론
      • 방 법
      • 결 과
      • 고 찰
      •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