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구 구성원 특성과 가전제품 사용에 따른 가정용 전력 수요의 예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42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8년 한국 내 가정용 전력 사용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 구성원 및 거주 주택의 특성이 가정용 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가계단위에서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구 내 가전제품의 보유 현황과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 등 여러 가지의 전력수요 결정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양한 가구 특성이 가정용 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가구 소득이 높아지면 가정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시점에서는 소득이 늘어나도 전력 사용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② 5세 미만의 영유아나 65세 이상 노인이 가구에 포함된 경우 전력 사용량이 줄어드나, 가전제품의 보유 여부와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을 통제하면 가구 내의 영유아와 노인의 유무는 가정의 전력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③ 남성이나 여성으로만 구성된 가구는 남녀 혼성으로 구성된 가구보다 전력 사용량이 적다. ④ 주택의 방 개수, 크기, 건축연도, 형태는 전력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나, 가전제품의 보유 여부와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을 통제하였을 때는 방 개수만이 전력 사요량에 전력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8년 한국 내 가정용 전력 사용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 구성원 및 거주 주택의 특성이 가정용 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가계단위에서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구 내 ...

      본 연구는 2008년 한국 내 가정용 전력 사용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 구성원 및 거주 주택의 특성이 가정용 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가계단위에서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구 내 가전제품의 보유 현황과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 등 여러 가지의 전력수요 결정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양한 가구 특성이 가정용 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가구 소득이 높아지면 가정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시점에서는 소득이 늘어나도 전력 사용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② 5세 미만의 영유아나 65세 이상 노인이 가구에 포함된 경우 전력 사용량이 줄어드나, 가전제품의 보유 여부와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을 통제하면 가구 내의 영유아와 노인의 유무는 가정의 전력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③ 남성이나 여성으로만 구성된 가구는 남녀 혼성으로 구성된 가구보다 전력 사용량이 적다. ④ 주택의 방 개수, 크기, 건축연도, 형태는 전력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나, 가전제품의 보유 여부와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을 통제하였을 때는 방 개수만이 전력 사요량에 전력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household demographics on electricity demand using data from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2008.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 of various household degographics on electricity consump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usage of various household appliances and durable goods as well as traditional factors affecting electricity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 (1) there is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electricity consumption. Specifically,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s as household income increases at a decreasing rate ; (2) the presence of toddlers under age 5 or elders over age 65 in a household decrease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These effects however disappear when the usage of household appliances and natural gas consumption are controlled for ; (3) Various house characteristics such as house size, number of rooms, age and type of house affect electricity consumption while only the effect of number of rooms remain robust to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and natural gas consumption.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household demographics on electricity demand using data from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2008.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 of various household degographics on electricity consumption after controlling ...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household demographics on electricity demand using data from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2008.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 of various household degographics on electricity consump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usage of various household appliances and durable goods as well as traditional factors affecting electricity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 (1) there is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electricity consumption. Specifically,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s as household income increases at a decreasing rate ; (2) the presence of toddlers under age 5 or elders over age 65 in a household decrease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These effects however disappear when the usage of household appliances and natural gas consumption are controlled for ; (3) Various house characteristics such as house size, number of rooms, age and type of house affect electricity consumption while only the effect of number of rooms remain robust to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and natural gas consum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실증분석 자료 및 모형
      • Ⅲ. 실증분석 결과
      • Ⅳ. 결론 및 정책시사점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실증분석 자료 및 모형
      • Ⅲ. 실증분석 결과
      • Ⅳ. 결론 및 정책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준모, "한국과 일본의 에너지 절약정책 비교연구"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17 (17): 131-178, 2008

      2 임현진, "지구온난화가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력수요를 중심으로" 에너지경제연구원 12 (12): 33-58, 2013

      3 박희천, "우리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에 관한 연구" 2 (2): 1-57, 1994

      4 박광수, "에너지소비에 대한 기온변화의 영향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5 임기추, "생활양식이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

      6 나인강, "기술 발전을 고려한 에너지 수요 추정" 5 (5): 205-222, 2006

      7 에너지관리공단,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및 DB 구축사업조사-가정부문" 2008

      8 이성근, "국가 에너지 절약 및 효율향상 추진체계 개선방안 연구: 가정 상업부문의 에너지효율 평가"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9 김유란, "공동주택 가족구성원별 전력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2 (22): 43-50, 2011

      10 원두환, "고령화가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력수요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경제학회 21 (21): 341-369, 2012

      1 양준모, "한국과 일본의 에너지 절약정책 비교연구"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17 (17): 131-178, 2008

      2 임현진, "지구온난화가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력수요를 중심으로" 에너지경제연구원 12 (12): 33-58, 2013

      3 박희천, "우리나라 가정부문 전력수요에 관한 연구" 2 (2): 1-57, 1994

      4 박광수, "에너지소비에 대한 기온변화의 영향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5 임기추, "생활양식이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04

      6 나인강, "기술 발전을 고려한 에너지 수요 추정" 5 (5): 205-222, 2006

      7 에너지관리공단,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및 DB 구축사업조사-가정부문" 2008

      8 이성근, "국가 에너지 절약 및 효율향상 추진체계 개선방안 연구: 가정 상업부문의 에너지효율 평가"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9 김유란, "공동주택 가족구성원별 전력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2 (22): 43-50, 2011

      10 원두환, "고령화가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력수요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경제학회 21 (21): 341-369, 2012

      11 노정녀, "가구 구성원 특성이 난방용 도시가스의 수요에 미치는 영향" 2014

      12 Beenstock, Michael, "The Demand for Electricity in Israel" 21 (21): 168-183, 1999

      13 Filippini, Massimo, "Swiss Residential Demand for Electricity" 6 (6): 533-538, 1999

      14 Houthakker, Hendrik, "Some Calculations on Electricity Consumption in Great Britain" 114 (114): 359-371, 1951

      15 Halicioglu, Ferda,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Dynamics in Turkey" 29 (29): 199-210, 2007

      16 Fullerton, Thomas,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Seattle" 34 (34): 1693-1699, 2012

      17 Yatchew, Adonis, "Household Gasoline Demand in Canada" 69 (69): 1697-1709, 2001

      18 Ironmonger, "Economies of Scale in Energy Use in Adult-only Households" 17 (17): 301-310, 1995

      19 Nasr, G., "Econometric Modelling of Electricity Consumption in Post-war Lebanon" 22 (22): 627-640, 2000

      20 York, Richard, "Demographic Trends and Energy Consumption in European Union Nations, 1960-2025" 36 (36): 855-872, 2007

      21 Fritzsche, David, "An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Patterns by Stage of Family Life Cycle" 18 (18): 227-232, 1981

      22 Van Raaij, W. F., "A Behavioral Model of Residential Energy Use" 3 (3): 39-63, 1983

      23 에너지관리공단, "2008년 가정 에너지 소비량"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1.2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